[전체] “정희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3)
사전(129)
- 정희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즉위는 예종이 죽은 바로 그날 이루어졌다. 이는 조종조(祖宗朝)에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이 어렸고, 또 성종에게 형 월산대군(月山大君)이 있었는데도 바로 그 날 즉위한 것은 정희왕후의 결단에 의한 것이었다. 성종이 즉위할 때의 나...이칭별칭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
- 貞熹王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100 貞熹王后 왕실 仰視, 被罪, 臨朝, 羣臣, 積威, 震懾, 俯伏 廢朝, 沈順門 儒先錄 D_10_04_06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성봉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01(태종 1)∼1474(성종 5).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효부(孝夫)ㆍ유행(攸行). 아버지는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엄(?)이며, 부인은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이다. 문음(門蔭)으로이칭별칭 효부(孝夫), 유행(攸行)| 양정(襄靖)
- 정희왕후 윤씨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곧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체직되면서 정희왕후(貞熹王后, 세조비)의 신주를 종묘에 안치할 때 그 실무를 담당하고 봉훈랑(奉訓郞)에 승진하였다. 1489년 남원도호부판관 재직 중 예조정랑에 발령되었다가 곧 공조정랑에 개수(改授)되자, 머뭇거리다가는 다시...
고서·고문서(13)
- 대장경판(大藏經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2690 B042690 대장경판 大藏經板 문화 成宗實錄 十八年(1487) 十一月 성종실록_11811008_002 ○傳曰: “政院其招問之。” 學祖詣承政院, 啓曰: “臣曾受貞熹王后懿旨, 欲重創海印寺大藏經板堂。 然功鉅力微, 遷延歲月, 風摧雨漏, 頹圮殆盡。 請更擇年少僧掌之...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81년 상원사(上院寺)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원사와 낙산사는 각각 세조와 예종을 위한 사찰로 정해져 궁중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절이었다. 1481년 즈음 부유한 낙산사에 비해 형편이 어려웠던 상원사를 딱하게 여긴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낙사사가 해마다 거두어들이는 수입을 상원사와 나누어 쓰라는 지시를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時未書啓。 而領議政獻議中, 結語以爲: ‘曾於急遽之際, 未及考出實錄。 貞熹王后之於睿宗大王, 文定王后之於仁宗大王, 已行之制, 竝宜詳考參定。’ 今者浚吉疏中, 亦有考出實錄之語, 請令春秋館擧行。” 春秋館啓曰: “取考江華府所藏實錄之簿, 睿宗末年及明宗初年, 俱未成帙。 赤裳山城所...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247 B076247 동래 東萊 정치행정 燕山君日記 二年(1496) 正月 연산군일기_10201012_003 臣等聞, 世祖歲給楡岾寺米五十碩, 而貞熹王后與成宗, 同聽政之時, 特命除之, 以其非經遠持久之事耳。 成宗於《續錄》刪定時, 凡可行條件, 無不講究。 給鹽一事, 豈獨遺...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服制, 長子妻朞年, 衆子妻大功, 承重與否, 不爲擧論。 以此觀之, 大王大妃殿服制, 似當爲大功。 而事體重大, 貞熹王后之於章順王后, 昭惠王后之於恭惠王后之喪, 必有已行之制, 請令春秋館, 考出實錄。” 王以實錄在江都, 未易考出, 令更會獻議後, 考出實錄。 壽恒、壽興等, 又以《大典...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통일평론_1978_15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趙順愛 185 私の日記から 李明和 186 歴史の中の女性像-貞熹王后尹氏 187 トラジ短信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8
멀티미디어(50)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2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3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5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26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주제어사전(9)
-
정희왕후 / 貞熹王后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83(성종 14).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비. 윤번의 딸이다. 1428년(세종 10)에 가례를 행하였다. 처음에는 낙랑부대부인에 수봉되었다.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되었다. 성종이 즉위할 때의 나이가 13세였으므로 정희왕후가 7년
-
정희왕후 시책문 / 諡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시책문. 1483년(성종 14)에 대왕대비의 상례를 마치고 나서 '정희(貞熹)'라는 존시를 올리고 애도하는 내용의 책문이다. 원문은《성종실록》14년(1483) 5월 25일(병진) 조에도 보인다.
-
정희왕후 애책문 / 哀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애책문. 1483년(성종 14)에 대왕대비의 상례를 마치고 애도하는 내용의 책문으로 점필재 김종직이 찬술하였다. 원문은《성종실록》14년(1483) 6월 12일(계유) 조와 김종직의《점필재집》권1에 보인다.
-
광릉 / 光陵 [역사/조선시대사]
왕릉. 광릉(光陵)은 조선시대 세조(世祖)의 능으로, 정희왕후(貞熹王后)를 부장(附葬)하였으며, 양주(楊州)의 동쪽 41리 되는 지점인 주엽산(注葉山) 직동(直洞)의 남쪽에 있다. 서울에서 60리 쯤 떨어진 거리이다.
-
세조 / 世祖 [역사/조선시대사]
1417(태종 17)∼1468(세조14). 조선 제7대 왕. 세종의 둘째 아들, 문종의 아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왕비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2년 5월에 문종이 죽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였다. 이에 7월부터 그는 심복인 권람·한명회 등과 함께 정국 전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