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희량”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9(예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부(淳夫), 호는 허암(虛庵). 동지중추부사 충석(忠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참의 침(忱)이고, 아버지는 철원부사 연경(延慶)이다. 어머니는 경간(慶侃...
    이칭별칭 순부(淳夫)| 허암(虛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개설] 본명은 준유(遵儒). 본관은 초계(草溪). 아버지는 참봉 중원(重元)이다. 명문의 자손으로 안음(安陰)에 거주하면서 부귀를 누리다가 순흥으로 이사하였다. [내용] ...
    이칭별칭준유(遵儒)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영조 때 영남에서 난을 일으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3945 인물 放逸, 陰陽學, 筭命, 遁世之志, 登第, 藝文館檢閱, 丁憂, 守墓, 散步 戊午 海州, 義州 淳夫, 虛庵, 燕山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혼돈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글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잡체시이며, 『속동문선』에 전한다. [내용 및 평가] ‘혼돈주’는 거르지 않고 마시는 막걸리라고 서(序)에서 설명하였는데, 천지만물과 자기...

고서·고문서(49)

  • 허암선생유집(虛庵先生遺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허암선생유집(虛庵先生遺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825년 문간공위토사실영초건(文簡公位土事實營草件)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9년에 사건으로 혼입되어 적몰된 문간공 정온의 위토를 환급해 주도록 하였다. 그런데 박사인의 증조인 충원군 동향이 무신년 사건의 적변 시에 양무공신으로 의 적몰된 토지를 사패지로 받았으며, 권철진의 증조 화원군 희학도 의 적몰된 토지를 사패...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등급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25년 안의현감(安義縣監) 문간공위토사실영초건(文簡公位土査實營草件)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9년에 사건으로 혼입되어 적몰된 문간공 정온의 위토를 환급해 주도록 하였다. 그런데 박사인의 증조인 충원군 동향이 무신년 사건의 적변 시에 양무공신으로 의 적몰된 토지를 사패지로 받았으며, 권철진의 증조 화원군 희학도 의 적몰된 토지를 사패...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등급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17년 김노경(金魯敬) 장계(狀啓) 초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7년 12월 20일에 경상도관찰사김노경이 역적사건으로 적몰된 문간공 정온의 위토를 돌려줄 것을 건의하여 올린 장계를 베껴 쓴 것이다.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아버지는 중원. 명문의 자손으로 안음에 거주하면서 부귀를 누리다가 순흥으로 이사하였다. 1728년이인좌·박필현 등과 공모하여, 영조 즉위 후 벼슬에서 밀려난 소론일파의 호응을 얻어 밀풍군 탄을 추대, 왕통을 바로 세워야 한다

  • 이술원 / 李述原 [종교·철학/유학]

    1679(숙종 5)∼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중길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가 난을 일으켜 청주를 점령하고 서울로 북상할 때 안의의 도 이에 호응하여 안의의 남리에서 난을 일으키니 현감 오수욱은 현을 버리고 도망가 버렸다.

  • 혼돈주가 / 渾沌酒歌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 지은 한시. 글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잡체시이며, 『속동문선』에 전한다. ‘혼돈주’는 거르지 않고 마시는 막걸리라고 서(序)에서 설명하였는데, 천지만물과 자기자신이 분별을 넘어선 상태에 있다는 것까지 상징한다. 술을 마시고 취해서 그런 경

  • 신명익 / 愼溟翊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의병. 거창 향임으로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의 반란군이 거창으로 들어오자 반군의 기밀을 탐지하여 병영에 정보를 제공하여 적을 무찌르는 데 크게 공을 세웠으나 적에게 잡혀 죽음을 당하였다. 저서로『보만재

  • 이보혁 / 李普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62).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우방장으로 영남에서 기병한 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분무공신 3등이 됐으며 인평군에 봉하여졌다. 1733년에 동의금·호조참판을 거쳐,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1738년 공홍도관찰사로 재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