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희” 에 대한 검색결과 6,2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32)

사전(1,362)

  • 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16년에 간행되었고,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서정옥(徐廷玉)ㆍ이광구(李光久)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8...
  • TD_L14_D_0213 인물 麗季, 辛禑朝 恭讓, 鄭文忠, 金震陽 D_02_01_222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2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2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말ㆍ조선초의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지신사(知申事) 곽추(郭樞)가 주관한 과거에서 급제하여 1389년(공양왕 1) 장령이 되었다. 1391년 사헌집의가 되었으며, 이 때 이염(李恬)이 술에 취하여 왕에게 무례한 행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세종 때 창제된 발상(發祥)의 곡명. [내용] 「정대업(定大業)」이나「보태평(保太平)」처럼 그 당시의 향악과 고취악(鼓吹樂)에 근거를 두고 창제한 발상의 11곡 중 일곱째 곡이다. 이 곡은 남려(南呂, a)‧응종(應鐘, b)‧...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구촌의 아들이자 김좌수의 양아들로, 옥낭의 의붓동생이다. 시업이 김좌수의 후사를 걱정하던 중에 옥낭자가 부모에게 청하여 양자가 된다. 나이는 13세이나 공부를 잘 하고 총명하며 효가 특출하여 좌수 부처와 옥낭을 잘 모신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0)

  • 조선왕실의 불교 미술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김정희 ... | 출판사 : 세창출판사 | 출판일 : 20200522
    유형단행본
  • 재일코리안 운동과 저항적 정체성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새로운 재일코리안상(像)의 정립- | 청암대학교]
    저자 : 정희선외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160715
    유형단행본
    본 연구는 ‘재일코리안운동’이라는 개념으로 재일코리안이 전개한 각종, 각양의 운동을 포괄하고 통시적으로 전반적인 고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재일코리안운동은 사회주의 운동, 독립운동, 노동운동보다 훨씬 확장된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고, 시기적으로도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새로운 재일코리안상(像)의 정립- | 청암대학교]
    저자 : 정희선외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180630
    유형단행본
    본 연구에서는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이 각각의 개별적 시대적 조건, 그리고 역사적 사회적 맥락과 작용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확장되며 나아가 변용되는 일련의 양상을 심도 있게 재조명하고, 재평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더...
  • 재일코리안의 역사적 인식과 역할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새로운 재일코리안상(像)의 정립- | 청암대학교]
    저자 : 정희선외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181030
    유형단행본
    본 연구는 재일코리안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필요성을 ‘현재’라는 관점에서 ‘미래’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하고 그 환경의 정비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도 함께 내포되어 있다. 1990년대 이후 급속도로 확산된 글로벌리즘과 다문화주의는 재일코리안 사회에도 많은 변화와 과...
  •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새로운 재일코리안상(像)의 정립- | 청암대학교]
    저자 : 정희선 외...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3.06.20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제1부 디아스포라론, 이주(移住)의 배경과 과정 제1장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론에 대한 일고찰 제2장 1920년대 일본 도항과 국내 언론 제3장 식민자와 피

논문(5)

고서·고문서(1,916)

  • 4 第四統統首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3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三昌盛里 4 第四統統首김 第一戶 府軍官김年參拾參壬戌本김海父海宗祖益富曾祖銀弼外祖李章德本慶州妻李 姓年參拾壹甲子本慶州父大寬祖甘龍曾祖秀兼外祖崔宗漢本慶州奴得男年壬子前逃亡 等辛卯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三昌盛里
  • 3 第三統統首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六太和里 3 第三統統首김 第一戶 業武김年參拾玖壬戌本김海父海宗祖益富曾祖銀必外祖李長德本 慶州妻李姓年參拾柒甲子本慶州父大寬祖甘龍曾祖秀兼外祖崔宗漢本慶 州奴得男前逃亡等丁酉戶口相准 第二戶...
    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六太和里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웅촌면(熊村面) 1774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六垈如里 7 第七統統首錫 第一戶 幼學錫年陸拾柒戊子本東萊父學生邦尹祖老職通政泰業曾祖宣務郞軍資監主簿思潔外祖學生李廷禮本 蔚山妻朴氏年陸拾捌丁亥籍密陽父學生漢貴祖學生以信曾祖學生廷敏外祖出身李尙安本蔚山...
    연도_면이름1774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六垈如里
  • 答金元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90 文集 卷十九 ITKC_MP_0597A_0190_010_0420 答金元春【】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91년 유(柳)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구술자료(230)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송 역사 인물 현대 함경남도 북청군 구술자료 1. 성장과정과 일제 강점기 2. 그
    구술자송정희 | 직업자영업 | 지역함경남도
  • 죽음 예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옥룡사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예언에 관한 이야기라며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상평마을 옥룡면사무소 | 제보자장한종
  • 이름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정희 이야기를 듣고 있던 제보자가 바로 이어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1청중 - 박채규
    조사일시2010.02.26 | 조사장소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상평마을 옥룡면사무소 | 제보자서동석
  • 집안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군수동의 명당자리 이야기에 이어서 명당에 관한 이야기가 계속되었다.
    조사일시2011.01.14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기타 인터뷰 김 인터뷰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11월 2일 DH_01_PI_김_171102.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308)

  • 시대 빙과열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은희, 게재일 : 2017
    17261 이은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17 박 시대 빙과열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추사 김의 묵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현권, 게재일 : 2005
    40979 김현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5 추사 김의 묵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안보와 민주주의 그리고 박의 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마상윤, 게재일 : 2003
    12938 마상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정치학회 2003 안보와 민주주의 그리고 박의 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시대의 정치와 언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천, 게재일 : 2008
    21953 박동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박 시대의 정치와 언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장시의 창작과정과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영순, 게재일 : 2014
    28732 송영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고 장시의 창작과정과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76)

  • 預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에서 각부부원쳥에 죠회하기를 예법의가 일뎡 규모가잇셔 일호도 죠죵치 못것이라 만약 범위를 어긔면 방한이 업셔 두폐단을 교구수가업고로 본부에셔 본년도 예에 각 관항경비를 년표와 월별표로뎡하야 침량 지발케즉 각 관쳥에셔도 일체쥰졀터인 엇지하야 ...
    게재일1904년 11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台(台) 서울 台 孝悌町 192 금융 - 금융 - 3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鄭熙台(鄭熙台)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朴商店) 서울 朴商店 南大門通 4-10 식료품 - 유과(油菓) 소매 127.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鼎喜(朴鼎喜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유과(油菓)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宗一(-) 부산 宗一 - 西町3-25 - - 곡물 - 38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宗貞喜一(-)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姜(-) 원산 姜 - 海岸通6 - - 식료품잡화상 판매 25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姜貞熙(-)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잡화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693)

  • 의장 한국은행 시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2년 1월 5일 하오 박 의장은 한국은행을 시찰하고 업무현황보고를 듣는 한편, 은행원들에게 국가와 국민들을 위해 친절할 봉사를 할 것을 당부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62년 1월 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대통령 수해지구 시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지난 7월 8일부터 9일까지 내린 폭우로 수해가 발생했다. 박 대통령은 서울과 경기도 시흥지구에 수해현장을 돌아보고 수해복구, 이재민 구호에 대한 지시를 했다. 박근혜는 수해지역인 구로동 수출산업공단을 찾아 피해상황과 복구현황을 보고 받고 근로자들과 이재민들을 위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7년 7월 19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제6대 대통령 취임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7년 7월 1일 거행된 박 대통령의 제6대 대통령 취임식과 관련 행사들을 알리는 영상이다. 세종로에서 거행된 취임식 기념 퍼레이드, 전국 각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 기념 종합예술제, 비행기 편으로 한국에 도착한 각국 사절들이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에게 신임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7월 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제7대 박 대통령 취임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제7대 대통령 취임식 행사들을 알리는 영상이다. 국내외 여러 내빈들이 참석한 취임식장에서 박 대통령이 선서와 취임사 낭독을 하는 장면, 박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가 여러 외국인 사절들을 만나 환담하는 모습, 대통령 취임식 날 새벽에 청와대에서 태어난 새끼 사슴의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1년 7월 3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대통령 긴급명령 발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대통령이 김성진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경제안정과 성장에 대해서 헌법 제73호에 근거 대통령 긴급명령 15호를 발표했음을 전하는 영상. 모든 기업은 사채를 정부에 보고, 3년 거치 후 5년 분할상환 할 것과 2,000억 원 금융채권 발행, 대폭적인 금리인하와 물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2년 8월 3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632)

  • 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428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62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5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박;朴 전남도;목포 18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80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6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김;金 전북 군산 구암리 18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765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9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김;金 경기도;경성 삼판통 142-21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개성부 궁정 374-7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2)

주제어사전(86)

  • / [종교·철학/유학]

    1723년(경종 3)∼1793년(정조 17). 조선 후기 문인. 부친은 정상명이다. 최흥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6년(영조 32) 식년시 생원 2등 18위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고향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그의

  • / 高 [문학/현대문학]

    1948-1991.시인. 1975년『현대시학』에 「연가」, 「부활 그 이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고는 타계하는 해인 1991년까지 모두 열 권의 시집을 상재한 시인이다.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이후 『실락원 기행』(1981), 『

  • / 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1786∼1856). 1819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다. 저서에는《완당집》·《금석과안

  • / 朴 [정치·법제/정치]

    1917년∼1979년. 군인·정치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5·6·7·8·9대 대통령.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 3년간 국민학교 교사 근무, 만주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46년 육사 2기로 졸업하고, 육군포병학교장, 제5사단장, 제6사단장

  • 량 / [종교·철학/유학]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아버지는 중원. 명문의 자손으로 안음에 거주하면서 부귀를 누리다가 순흥으로 이사하였다. 1728년이인좌·박필현 등과 공모하여, 영조 즉위 후 벼슬에서 밀려난 소론일파의 호응을 얻어 밀풍군 탄을 추대, 왕통을 바로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