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환직”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필적 1843(헌종 9)∼1907.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칭별칭 백온(伯溫)| 동암(東巖)|치우(致右)|관직(寬直)
  • 손영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5(철종 6)∼1907.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호는 서숙(迺叔). 경상북도 영일 출신.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시종관 ()이 아들 용기(鏞基)를 고향으로 보내 의병을 일으키게 할 때 이한구(李韓久)‧정순기(...
    이칭별칭 서숙(?叔)
  • 영천충효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장(山南義陳大將)으로 활약하다 순국한 동엄(東嚴) ()과 그의 아들 용기(鏞基) 부자의 충효정신을 추모하기 위하여 1923년에 건축한 재사이다. 혜민원(惠民院)총무, 독립회○만민회 등에 참여한 큰아들 용기는 아버지가 의병단을 조직하자 의병대장이 되어...
    연계항목영천충효재(永川忠孝齋)
  • 모충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솔하는 산남의진(山南義陣)에 참가하여 항일전투에 참전하였다. 1907년 의병장 정용기가 순국하고 그뒤 후임 의병장 ()마저 순국하여 의병부대가 흩어졌다. 그러나 새로이 의병부대를 편성하기 위하여 군자금 모금활동을 벌이는 한편 친일파 숙청활동을 전개하였...
    이칭별칭준이(俊伊)
  • 윤흥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1(고종 18)∼1910.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경상북도 청하 출신. 1907년 군대해산 이후 후기의병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경북 일대에서 활동 중이던 의병부대에 참여하였다. 1907년 10월 29일 백...

고서·고문서(1)

  • 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렇듯 왜병과 싸워 크게 이김으로써 을사의병 중 경상북도의 申乭石 진영, 鄭鏞基, 진영과 3대 전투의병으로 손꼽힌다. 홍주의병의 항일 세력은 서울과의 교통로 때문에도 일제 침략군에게는 큰 위협거리였다. 그런 까닭에 서울에 주둔하던 일군이 토벌군으로 파견되어, 5월...
    제목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의병장(1843∼1907). 토포사로 동학군을 진압하여, 태의원시종관이 되었다. 을사조약 이후 아들 정용기가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가 순절하자, 정순기 등의 추대를 받아 삼남의병부대의 의병장에 올랐고, 포항·신령·청송 등지를 공격하여 일본군수비대에게 많은

  • 장헌문 / 蔣憲文 [역사/근대사]

    1905년 을사오조약을 강제로 체결, 국권을 침탈함을 보고, 김재홍·김복선 등과 함께 재기를 결의하고, 이듬해 5월 300여명의 의병을 모집, 그 의병장에 추대되었다. 그리하여 주로 영일군내의 죽장·흥해·청하 등지에서 활약함으로써 부근의 ()·신돌석(申乭石)

  • 정진한 / 鄭鎭漢 [종교·철학/유학]

    1867년(고종 4)∼1947년. 한말의 의병. 영천의병장 환직의 재종질이다. 1905년 일제에 의하여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를 계기로 고종의 밀명을 받은 은 아들 용기에게 거의할 것을 명하였다. 정진한은 이때 정용기·이한구·손영각 등과 함께 거의계획을 세우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