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홍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19)
- 정홍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정홍익(1571-1626) 1571(선조 4)~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문신.이칭별칭 익지(翼之)| 휴옹(休翁), 휴헌(休軒), 휴암(休菴)| 충정(忠貞)
- 정홍익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김덕함과 함께 광해군에게 순임금의 효에 관한 이야기를 예로 들며 인목대비를 잘 섬겨야 할 것을 주장하다 유배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안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승(子承). 숭효(崇孝)의 5세손이며, 아버지는 진선(進善)이다. 함평(咸平)에서 거주하다가 내종형인 정홍익(鄭弘翼)과 더불어 묘향산 절에 들어가 학문을 닦...이칭별칭 자승(子承)
- 정홍익(鄭弘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홍익 정홍익 鄭弘翼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선조~인조 이현숙 이범직 2012 익지(翼之) 휴옹(休翁), 휴헌(休軒), 휴암(休菴) 충정(忠貞) 양반 남자 ...
- 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 아버지의 상을 당해 한때 은거하였다. 1601년에 예문관검열로 복관되어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수원판관이 되었는데, 당시 간관이었던 정홍익(鄭弘翼)과 함께 무고를 받은 성혼(成渾)을 변론하다가 옹진현령으로 좌천되었다. 1605년 전적(典籍)ㆍ예조정...이칭별칭 자순(子順)| 남애(南崖)| 효간(孝簡)
고서·고문서(19)
- 어정홍익정공주고(御定洪翼靖公奏藁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862 B0688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北靑 祠院 老德書院仁祖丁卯建肅宗丁卯賜額李怛福見抱川金德諴見泗川(壯北樓)鄭弘翼字翼之號休軒東萊人官副提學贈吏曹判書諡忠貞閔鼎重見楊州吳斗寅見坡州李尙眞字天得號晚庵全義人官右議政諡忠貞吳道一字貫之號西坡海州人官兵曹判書典...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瞻等을 誅ᄒᆞ시고 先朝舊臣,李元翼으로 領相을 삼으시고 鄭蘊과 洪茂績과 鄭弘翼等을 召還ᄒᆞ시고 吳允謙[楸灘]과 李廷龜[月沙]와 鄭經世[愚伏]等을 收用ᄒᆞ시고 金長生[沙溪]을 擢用ᄒᆞ시다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六十五節 誅滅亂臣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84 B00688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閏6月 16日_016 ·金德諴·鄭弘翼賜諡之時, 亦皆有狀, 獨於愼儀, 不成狀行之文, 殊是欠事, 今聞其家狀, 方在京中云, 使主文者, 或有文望之人, 速爲撰出, 則其在事體, 豈不完備乎? 且官至正二品職然後, 方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245 B00824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閏6月 16日_016 ·金德諴·鄭弘翼賜諡之時, 亦皆有狀, 獨於愼儀, 不成狀行之文, 殊是欠事, 今聞其家狀, 方在京中云, 使主文者, 或有文望之人, 速爲撰出, 則其在事體, 豈不完備乎? 且官至正二品職然後, 方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성남-장호원 도로개설(제2공구) 구간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량 묘와 묘갈 7.정홍익 묘 8.이진 묘와 묘갈 9.이세응 묘 10.이석형 묘 11.함안이씨 정려문 12.정충묘 13.김태선 효자비 14.쌍동리 도요지 15.쌍동리 지석묘 16.늑현리 유물산포지 17.늑현리 은행나무 18.선동리 도요지1 19.선동리 도요지2 20.선동...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
-
정홍익 / 鄭弘翼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26(인조 4). 조선 중·후기의 문신. 수후 증손, 할아버지는 인수,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안혼의 딸이다. 159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예조좌랑, 지평, 성균관사예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휴옹집』이 있다.
-
종산서원 / 鍾山書院 [교육/교육]
669년에 정여창(鄭汝昌), 1684년(숙종 10)에 정홍익(鄭弘翼)을 추가 배향하였다. 지방유림이 회령서원(會寧書院)을 이 서원에 통합할 것을 건의하여 1686년 ‘종산(鍾山)’이라 사액되어 종산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회령서원에 봉안되었던 김상헌(金尙憲)과 정
-
노덕서원 / 老德書院 [종교·철학/유학]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에 있던 서원. 1627년(인조 5) 지방유림의 공론으로 이항복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6년에는 이곳에 유배된 바 있었던 김덕성과 정홍익을 추가 배향, 1687년(숙종 13)에 ‘노덕’이라고 사액되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