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홍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
사전(85)
- 오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홍명(鄭弘溟)의 문인이다. 1639년(인조 17) 사마양과(司馬兩科)에 합격하고, 1640년 고두강(高斗綱)ㆍ정한(鄭漢)을 찾아 산사로 가서 함께 『주역』을 강론하였다. 1650년(효종 1) 태학(太學)에 들어가 이듬해 정시(庭試)에 응하였으나 자급...이칭별칭 명중(明仲)| 장계(藏溪)
- 정홍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효종실록(孝宗實錄)』 정홍명 1592(선조 25)~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학자.이칭별칭 자용(子容)| 기암(畸庵), 삼치(三癡)| 문정(文貞)
- 정홍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란 때 전라도의 의병대장이다. 공주에 이르러 적이 돌아갔다는소식을 듣고 군사를 해산시키고 돌아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정홍명(鄭弘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859 인물 정홍명(鄭弘溟) 정홍명 鄭弘溟 1592 1650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자용(子容), 호는 기암(畸庵) 또는 삼치(三癡).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 과 김장...유형분류인물
- 오이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都事) 복흥(復興)의 딸이다. 정홍명(鄭弘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이시백(李時白)ㆍ이식(李植)ㆍ오두인(吳斗寅) 등을 포함한 당대의 명사들과 폭넓은 교유를 가졌다. 1635년(인조 13) 진사시에 합격하여 음공으로 세자익위사세마에 서임되었으며, 그...이칭별칭 빈중(贇仲)| 지천(支川)
고서·고문서(31)
- 정홍명(鄭弘溟)의 『기암집(畸庵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敎書, 上樑文이다. 10은 檄書, 疏, 祭文, 哀辭, 誌銘, 行狀, 書, 跋, 記, 辨, 策問이다. 권11과 12는 續錄이다. 『기암집』은 17세기 호남의 문인 정홍명의 저작으로 당대 호남인의 동태를 살필 수 있는 저작물이다....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기암집(畸庵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764 B01276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7年 5月 28日_015 ○引見時, 左議政洪命夏所啓, 工曹判書李浣, 曾以備邊司, 句管江都之事, 而徐必遠變通軍制之後, 所見相左。 故至於文書之間, 不爲可否, 亦不能指揮, 不可强令句管, 合有變通之擧。 上曰, 姑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317 B034317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5年 9月 20日_004 ○刑曹判書李德泂, 吏曹佐郞李景奭, 應敎鄭弘溟, 校理李行遠, 兵曹正郞李景義, 說書鄭維城, 知事朴東善, 副修撰李昭漢, 刑曹正郞李鍵, 南海縣監池達沂, 庇仁縣監梁斗南, 碧沙察訪田大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822 B076822 동래 東萊 정치행정 顯宗實錄 六年(1665) 二月 현종실록_10602018_002 議政洪命夏、兵曹參判柳赫然。 太和曰: “公貿木事, 差倭以此尙今不去, 故欲速稟定矣。” 上曰: “備局之意, 欲許之耶?” 對曰: “然。” 上曰: “若以減作米貳斗, 則當...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정홍명 / 鄭弘溟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철, 어머니는 유강항의 딸이다. 송익필·김장생의 문인이다. 송익필에게 글을 배우고, 김장생의 문하에 들어가 『주역』·『근사록』 등을 배웠다. 1616년(광해군 8) 문과에 급제, 부제학, 대사성,
-
나성두 / 羅星斗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63(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보덕 급, 아버지는 참의 만갑, 어머니는 좌찬성 정엽의 딸이다. 장유·정홍명의 문하에 있었으며, 스승의 권유로 1646년(인조 24) 과거에 응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산현감을 역임하였다.
-
서필원 / 徐必遠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서익 증손, 할아버지는 서용갑, 아버지는 서운기이다. 어머니는 이택민의 딸이다. 김집과 정홍명에게 수학하였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 이조좌랑, 평안도어사,
-
조구석 / 趙龜錫 [종교·철학/유학]
1615(광해군 7)∼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남 증손, 할아버지는 존성, 아버지는 계원이다. 어머니는 신흠의 딸이다. 정홍명의 문인이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 교리, 헌납, 이조좌랑, 전라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장륙당유
-
해동사부 / 海東辭賦 [문학/한문학]
하책에는 장유(張維)의 「견발문 遣魃文」·「설부 雪賦」·「조령부 鳥嶺賦」, 정홍명(鄭弘溟)의 「서석산부 瑞石山賦」, 이민구(李敏求)의 「남정부 南征賦」·「몽서부 夢筮賦」, 정두경(鄭斗卿)의 「검부 劍賦」 등 21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