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호” 에 대한 검색결과 4,9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78)

사전(954)

  • 오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金)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연활자본. 1918년 장지연(張志淵)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지연ㆍ정일우(丁日宇)의 서문, 권말에 정봉태(丁鳳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성...
  • 명계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義)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99년 후손 연목(淵穆)ㆍ치경(致敬) 등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표제는 ‘상화집(常華集)’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이종기(李鍾杞)와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이칭별칭상화집(常華集)
  • 구주신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독일에서 발간되었던 교포신문. [발간 경위 및 변천] 1981년 12월 1일 남(南)가 서독 프랑크푸르트에서 창간하였다. 남는 신문기자 출신으로 한때 한국일보 유럽통신원으로 활약하다가 이 신문을 창간하였다. 독일에는 우리 교포...
  • 삼휴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신(信)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후손 진국(鎭國)ㆍ진헌(鎭憲)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간년은 미상이다. 권두에 장승원(張升遠)의 서문과 권말에 진국ㆍ진헌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죽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용(鎔)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41년 용의 문인 배원찬(裵源燦)‧강시중(姜時中)과 아들 정좌영(鄭左永)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과 이현규(李玄圭)의 서문, 권말에 최명희(崔命...

단행본(8)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 종법宗法의 원리와 정착과정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 단국대학교]
    저자 : 정호훈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240430
    이 책에서는 15세기 이래 종법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또 틀을 잡아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시간상으로는 영조 대 『속대전續大典』이 간행되는 18세기 중엽이 하한이 된다. 이 시점에 이르러 조선의 현실을 반영한 종법이 자리 잡고 또 현실을 압도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여...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上 [한국고대사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 한성대학교]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 출판사 : 주류성 | 출판일 : 20181228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中 [한국고대사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 한성대학교]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 출판사 : 주류성 | 출판일 : 20181228
  •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下 [한국고대사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 한성대학교]
    저자 : 정호섭 외 10인 ... | 출판사 : 주류성 | 출판일 : 20181228

고서·고문서(2,660)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현 송 남자 부산광역시 하북성(河北省) 정흥현(定興縣) 정흥현 전기장 3 2 현, 전동기공장, 1986년, 토...
    대표표제어정호현 | 성씨
  • (李)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宋名臣言行錄 外集 卷二 明道先生 純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42 明道先生 純公 字伯淳五世而上居中山之博野高祖羽太宗朝以輔翼功顯賜第京師今爲河南人踰冠中嘉祐二年進士第調鄠縣簿再調上元簿就移澤州晉城令改著佐尋以呂公著薦授太子中允權御史裏行權發遣京西提刑改鎭寧僉判監西京竹...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4 第四統統首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5년_부내면(府內面) 1705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九伴鷗亭東部里 4 第四統統首金 @5 統第一戶 府案付主鎭步兵金年伍拾玖丁亥本蔚山父千卜祖末叱千曾祖 石乙元外祖崔莫建本慶州妻私婢春節年伍拾柒己丑本蔚山父良人李生伊母 私婢金今祖有建二祖不知上典慶州居薛永...
    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九伴鷗亭東部里
  • 4 第四統統首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三下垈里 4 第四統統首김 第一戶 幼學김年參拾參戊辰本慶州父學生鳳領祖學生淳尙曾祖學生是贊外 祖學生김有光本김海妻吳氏年參拾捌癸亥本海州父學生致侃祖學生世德曾祖學 生汝周外祖學生朴文郁本密陽婢月每年壬午...
    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三下垈里

구술자료(50)

  •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317 507 전라북도 음악조사자료 1) 이리 줄풍류 전수생인 이, 강기석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정호
  • 07_261 전북 전라북도 장수군 전라북도 장수군_모노래 곡풍 모노래 곡풍 장수읍 지심노래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1987.1.27 素87-1-27A. 성(1926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무후렴 모노래 류 독창 이골 저골, 어서나 매고,
    녹음지역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 녹음날짜1987.1.27 | 가창방식독창
  • 06_319 경남 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남도 통영시_술기야 술기야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법송3리 1989.2.23 素89-2-23②A 박(1936년생.남. 도산면 법송3리 토민) 이소라 이소라 술기 류 멕받형 (선후창) *참고용 ; (어기야) 술기야
    녹음지역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법송3리 | 녹음날짜1989.2.23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317 507 전라북도 음악조사자료 1) 이리 줄풍류 전수생인 이, 강기석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기석
  •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리 향제 줄풍류 전수생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I-317 507 전라북도 음악조사자료 1) 이리 줄풍류 전수생인 이, 강기석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문진

기초학문(122)

  • 의 ≪노인정 산조≫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정체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선애, 게재일 : 2012
    59489 박선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이의 ≪노인정 산조≫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정체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를 위한 정성적 선호이론의 적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호원, 게재일 : 2000
    00277 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과학회 2000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를 위한 정성적 선호이론의 적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ELECTRE를 이용한 척도도구의 평가 및 선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호원, 게재일 : 1997
    01301 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보과학회 1997 ELECTRE를 이용한 척도도구의 평가 및 선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1997
  • 소프트웨어 제품평가 및 선정 모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호원, 게재일 : 1998
    01304 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8 소프트웨어 제품평가 및 선정 모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의 투입요소 선정모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호원, 게재일 : 1996
    00951 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과학회 1996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의 투입요소 선정모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1996

신문·잡지(58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 디방구역 졍에 려산군 운면을 은진군으로 부속지라 은진군에셔 려산군에죠회고 운면 결호문부와 호구쟝젹을 송교라얏더니 은진군에 당초 운면이라 명칭이업슨즉 송교 문부가 업다지라 은진군슈가 부로 보고기 려산군에 운면은업스나 군 북일면이 은진군...
    게재일1906년 10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書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밧 유동 목욕탕움물을 영친왕 뎐하셔 쟝슈졍이라 뎡야 친필로 셔하시고  목 삼필과 돈 일쳔량을 급셧다더라
    게재일1902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藏(藏) 서울 藏 本町 2-54 오락구및운동구 - 영화필름 대부 2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淀虎藏(淀虎藏)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영화필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嘉禮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칙을나리압셔 영친왕부인 간압시일은 임의긔얏거니와 가례도감의 명호가례쳥으로고 가례쳥졔반무 영선부졔죠를 임명야 감독케며 일이당상은물론기로뎡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 원산 李 - 榮町 - - 소면(素麵)제조업 판매 14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正浩(-)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소면(素麵)제조업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217)

  •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_ 김의 지도학_4주차_1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29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
    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_ 김의 지도학_4주차_2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0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
    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_ 김의 지도학_4주차_3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1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
    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_ 김의 지도학_4주차_4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2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
    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_ 김의 지도학_4주차_5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3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
    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기타자료(283)

  • ;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0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신;辛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365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2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2) 제12회(1922년) 도;都 경기 고양군 숭인면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471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5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6) 제16회(1927년) 김;金 함주군 주북면 신풍리...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禹 경상남도 밀양 소화7년 3월6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련;連 경상남도 진주 소화8년 3월8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70)

  • /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36(영조12). 조선 후기의 문신. 철 현손, 종명 증손, 할아버지는 직, 아버지는 경연이다. 어머니는 민광환의 딸이다. 168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정언이 되자, 오도일이 붕당을 키우고 권세를 부린다고 탄핵하였다. 광주

  • / 金 [지리/인문지리]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 당대의 실학자 최한기와 친교가 깊었고, 《대동여지도》의 재간과 《대동지지》의 간행연도가 모두 1864년(고종 1)인 것으로 보아 1800년경에서 1864년경까지 살았으며, 순조·헌종·철종대에 걸친 사람으로 추정된다.

  • / 洞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흡곡면 연화리(지금의 통천군 하수리) 북동부 연안에 있는 호수. 넓이 4.84㎢, 남북길이 4.5㎞, 동서길이 1.4㎞이며, 둘레는 18.1㎞로 소개되었으나, 1990년 현재의 영상을 중심으로 GIS 와 원격탐사 기법으로 측정된 규모는 넓이 4.68㎢ 이

  • 수 / 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호수. 산수의 면적은 약 0.024㎢이며, 1925년 (永北農地改良組合)의 관개용 저수지로 만든 인공호(人工湖)이다. 부근의 강포저수지·용화저수지와 같이 이 지역 농지개간에 큰 몫을 하였다. 산수의 위치는 서울에서 약 72㎞

  • 소동 / 小洞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흡곡면에 있는 호수. 호수 둘레 약 14.3㎞. 원산 동남동 25㎞ 지점에 위치하며 영동해안(嶺東海岸)석호군(潟湖群)의 북쪽 끝에 있다. 동쪽에는 너비 200∼500m의 청송으로 우거진 사구(砂丘)에 의하여 동해와 분리되며, 사구 중앙에 연화봉(蓮花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