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필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4)
- 정필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3(효종 4)∼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종지(宗之). 의주부윤 경업(慶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숙(橚)이고, 아버지는 태구(台耉)이며, 어머니는 김진곤(金振坤)의 딸이다. 민정...이칭별칭 종지(宗之)
- 정필동(鄭必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필동 정필동 鄭必東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효종~숙종 이현숙 이범직 2012 종지(宗之) 양반 남자 1653년(효종 4) 10월 17일 17...
- 부지군(負持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다. 1712년 장령 정필동(鄭必東)은 당시 통신사 일행의 방물(方物)을 한양으로 수송하는 일에 부산첨사가 동원하는 부지군의 수가 천 명이 넘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통신사 일행의 복물(卜物)은 각 고을로 하여금 말을 세 내어 운반하도록 하였으나, 그 외에 사람이...유형분류제도
- 부지군(負持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 38) 장령 정필동(鄭必東)은 당시 통신사 일행의 방물(方物)을 서울로 수송하는 일에 부산첨사가 동원하는 부지군의 수가 1,000명이 넘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통신사 일행의 복물(卜物)은 각 고을로 하여금 말을 세 내어 운반하도록 하였으나, 그 외에 사람이 져서...동의어담부군(擔負軍) | 관련어방역(坊役)
고서·고문서(23)
- 동래정씨족보(東萊鄭氏族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족보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검모포(黔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啓, 請還收安置罪人睦來善, 移配罪人李玄逸放歸田里之命。 上曰, 勿煩。 正言鄭必東所啓, 請還收罪人睦來善·李玄逸放歸田里, 柳大運放送, 金德遠·柳命賢放歸田里, 睦昌明職牒還給之命。 上曰, 勿煩。 請還收定配罪人宋相周減等之命。 上曰, 勿煩。 請還收圍籬安置罪人李玄紀放歸之命。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모포(黔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啓, 請還收安置罪人睦來善, 移配罪人李玄逸放歸田里之命。 上曰, 勿煩。 正言鄭必東所啓, 請還收罪人睦來善·李玄逸放歸田里, 柳大運放送, 金德遠·柳命賢放歸田里, 睦昌明職牒還給之命。 上曰, 勿煩。 請還收定配罪人宋相周減等之命。 上曰, 勿煩。 請還收圍籬安置罪人李玄紀放歸之命。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 第二十一統統首金光潤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第四戶 業武金宗佑年參拾捌壬申本慶州父尙甫祖善奉曾祖有臣外祖通政李夏才本慶州妻朴姓年貳拾伍乙酉 本慶州父泰昊祖奉三曾祖起善外祖朴必文本密陽母李姓年柒拾肆丙申等丙午戶口相准 第五戶 工匠鰥夫梁大林年參拾陸甲戌本南原父世用祖德文曾祖通政必東外祖孫介東本密陽母孫召史年伍拾柒 癸丑等丙午戶口相准연도_면이름178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西洞里
- 忠淸道庄土文績_제38책 : 忠淸南道洪州郡化城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04. 乾隆五十六年-辛亥-十二月初十日金政丞宅奴明大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장, 48.8x43.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좌촌 1791년(정조 15) 12월 10일 申忠州宅奴福世 奴 답주 申忠州宅奴福世 奴 답주 金政丞宅奴明大 奴 金政丞宅奴明大 奴 金三乭/李盛祿 鄭必東 성지 杜陵里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 조선인민군_1951_0928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중간 전화소에 모였던 당원 전한용동무와 박정필동무는 곧 선을 검열하며 그쪽으로 달렸다. 1초가 천금처럼 귀중한 순간이다. 피복선을 훑으며 내달리는 두 동무의 머리에는 베루를 울리며 안타까이 상대방을 호출하고 있는 구분대장의 얼굴이 연신떠올랐다. 두동무는 그곳에서...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8_03_01 | 책임주필리춘백
주제어사전(1)
-
정필동 / 鄭必東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업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태구, 어머니는 김진곤의 딸이다. 민정중의 문인이다. 1684년(숙종 1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현산현감, 사간원정언, 동부승지, 경주부윤, 우승지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