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필규”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0)

  • 노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김대진(金岱鎭) 등의 편집을 거쳐 1886년(고종 23) 그의 문인인 정창덕(鄭昌德)과 사손(嗣孫)인 창구(昌九)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말에 김대진의 발문이...
  • 김도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의 문인이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여, 천문전차(天文躔次)ㆍ역책연수(易策衍數)ㆍ산학구고(算學句股)ㆍ사가궤범(史家軌範) 등에 정통하여, 「기삼백주해(朞三百註解)」ㆍ「월행산법(月行算法)」ㆍ「일월회합산별법(日月會合算別法)」ㆍ「일월회합...
    이칭별칭 덕언(德彦)| 암당(巖塘)
  • 노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문에 대한 토론을 서신으로 주고받은 것이 많다. 서(序) 가운데 「주자경어서(朱子儆語序)」는 『주자대전』‧『주자어류』 중의 경어(儆語)를 발췌하여 ‘주자경어’라 이름하고 붙인 서이다. 노암집 / 조선 말기의 학...
  • 김병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필형(金弼衡)의 문인이다. 젊어서부터 문명(文名)을 펼쳤으나, 집안이 빈한하여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어버이를 지성으로 섬기는 것을 세상의 낙으로 여기면서, ()ㆍ김현규(金顯奎) 등 숱한 문인운사(文人韻士)들과 더불어 산수(山水)를 소요하며 시부(詩...
    이칭별칭 사앙(士仰)| 계미(溪湄), 섬계자(剡溪子)
  • 가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전익구(全翼耉)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26년 무렵에 그의 현손 경채(景采)가 편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찬(贊)과 권말에 ()의 발문, 그리고 경채의 지(識...

고서·고문서(16)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31년(순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정유덕, 부친 정직과 모친 의성김씨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정필각, 동생은 정필경이다. 김강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문인으로 김희주·이종휴·이야순·이병원·유치명·유

  • 고몽찬 / 高夢贊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58년(철종 9). 의 문인으로 과거가 공정하지 못함을 알고 학문에만 힘썼다. 성리학 이외에도 성문, 지지, 음양, 복서, 율력, 산수 등에 통달하였다. 그리고 군제, 전부, 공거 등 당시의 시무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남겼다. 아들은

  • 노암집 / 魯庵集 [종교·철학/유학]

    노암 의 문집. 목판본. 발: 김대진(1862). 8권 4책. 발문만 김대진이 1862년(철종 13)에 썼다. 권1은 모두 시이다. 전체 시는 98제인데, 형식별로 분류되지 않았으며, 만시와 만사가 26수나 차지한다. 권2~권4는 모두 서이다. 스승 및 동학들

  • 매오일고 / 梅塢逸稿 [종교·철학/유학]

    매오 정영후의 문집. 목판본, 발:, 정교. 후지:정인기.4권2책. 1837년(헌종 3)에 이르러 저자의 7대손 정인기가 간행하게 된다. 책의 구성은 4권 2책이며 2책은 건책과 곤책으로 나뉜다. 권1이 본집이며 권2부터 권4까지는 부록이다. 권1에는 사1편,시

  • 가암유고 / 可庵遺稿 [종교·철학/유학]

    전익구의 시문집.2권 1책:목활자본. 가암유고는 1818년(순조 18)에 전익구의 5대손인 전희일과 종현손인 전경채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정종로의 서문, 권말에는 의 발문, 경채와 희일의 지가 있다. 권1에는 시 95수, 서 43편, 권2에 시정을 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