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토삼부경”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4)

  • 관무량수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하나로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중심 경전으로 유통되고 있다. [내용] 인도 마가다국의 태자 아자세가 부왕인 빈비사라를 가두고 왕위를 찬탈하려 하므로 모후인 위제희 왕후가 몰래 왕에게 음식을 가져다주어 목숨을 연명하게 하였다. 왕후...
    이칭별칭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십육관경(十六觀經)|관경(觀經)
  • 아미타경(阿彌陀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161 문헌 아미타경(阿彌陀經) 아미타경 阿彌陀經 아미타불 신앙을 설교하는 대승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1권. 대승불교 정토종(淨土宗) 소의경전(所依經典)인 () 중의 하나이다. 『일체제불소호염경(一切諸佛小護念...
    유형분류문헌
  • 아미타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세조가 ()의 하나인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보통 줄여서 아미타경이라 함.)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 [서지적 정보] 불분권(不分卷) 1책. 언해문은 ≪월인석보≫ 권7의 후반부에 나오는 ≪석보상절≫...
  • 동화사염불암관경변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 염불암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841년(헌종 7) 작. 모시 바탕에 채색. 세로 130㎝, 가로 121㎝. 정토 삼부경() 중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내용을 도상화한...
  • 증성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心無二相 而愍群生沒若海 起六入大超誓願 具修淨業離諸穢).” 아미타불(阿彌陀佛)이 부처가 되기 전 법장보살 때의 발심과 수행을 노래한 것이다. 이는 () 중의 하나인 『무량수경(無量壽經)』의 상권에서 그 사상적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칭별칭징성가(澄性歌)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

    정토교의 소의 경전이 되는 세 가지의 책. <무량수경> 2권, <관무량수경> 1권, <아미타경> 1권의 3부이다.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불경은 약 650여 부의 대승경전 중 200여부나 되는 것으로 그 수가 방대하다. 정토경전을 바탕으로 용수의 저술인 <대지도론>의

  • 관무량수경 / 觀無量壽經 [종교·철학/불교]

    ()의 하나로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중심 경전으로 유통되고 있다.

  • 관경소기 / 觀經疏記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통이 『관경소』를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관경소기』는 ()의 하나인 『관무량수경』의 주석서이다. 이 경전은 정토·불신(佛身)·인간에 대해 관찰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그의 제자 지례가 저술한 『묘종초(妙宗鈔)』

  • 아미타경 / 阿彌陀經 [종교·철학/불교]

    함께 을 이룬다. 한국인 찬술 주석서는 신라시대 8편, 고려시대 2편이 간행되었다. 원효의 <이미타경소>가 중요한 것으로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