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택하”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3(숙종 19)∼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자중(子中). 한(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연(光演)이고, 아버지는 집(濈)이며, 어머니는 오명석(吳命錫)의 딸이다. 용궁현감 식(湜...
    이칭별칭 자중(子中)
  • 민기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7(영조 43)∼1810(순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야(聖野). 직산(稷山) 출신. 진황(震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지 계(椋)이고, 아버지는 사정(師貞)이며, 어머니는 승지 ...
    이칭별칭 성야(聖野)
  • 이필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4(고종 21)∼1950.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충청남도 홍성 출신. 오양선(吳良善)이 이끄는 의병진에 가담한 뒤, 1908년 11월 ()ㆍ전봉학(田奉學)ㆍ채한영(蔡漢榮) 등과 같이 홍주군 화성면 제곡동에서 의병의...
  • 구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기설‧심성설 등에 관한 의문점을 질문한 「상장암정선생(上丈庵鄭先生)」‧「상지촌이선생(上芝村李先生)」과 ()‧이중협(李重恊)‧이정상(李正相) 등과 성리학에 대해 토론한 것이 있다. 또한, 종질(從姪) 흡(翕)에게 학문 연마의 기초적인 방법을 설명한 「답진사종...

고서·고문서(17)

  • 李森以下睦天任·沈廷玉·廷紳等, 酌處之命。 措辭見上 請礪山府使李遇新削去仕版。 措辭見上 新啓新除授司諫院司諫, 以接慰官時, 在慶尙道東萊府,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執義洪鉉輔引嫌而退, 嫌難參啓, 已有近例, 不可以此輕遞言官, 請執義洪鉉輔出仕。 答曰, 不允。 竣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森以下睦天任·沈廷玉·廷紳等, 酌處之命。 措辭見上 請礪山府使李遇新削去仕版。 措辭見上 新啓新除授司諫院司諫, 以接慰官時, 在慶尙道東萊府,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執義洪鉉輔引嫌而退, 嫌難參啓, 已有近例, 不可以此輕遞言官, 請執義洪鉉輔出仕。 答曰, 不允。 竣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需司 文績類_제2책 683.乾隆五十三年-戊申-十二月初四日幼學金元奎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金元奎 幼學 金尙義 전라 장흥 石莊員 전라도 장흥(군/현) (면/방) 石莊員 토지 1 圈 답 4두락...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48218 B048218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年 4月 21日_019 ○以爲執義, 蔡膺福爲掌令, 朴聖輅爲戶曹參議, 鄭東後爲刑曹參議, 金慶衍爲瑞山郡守, 宋國緯爲扶安縣監, 李世玧爲知禮縣監, 鄭運亨爲大靜縣監, 李重培爲典籍, 崔守迪爲氷庫別提, 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222 B048222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年 4月 21日_019 ○以爲執義, 蔡膺福爲掌令, 朴聖輅爲戶曹參議, 鄭東後爲刑曹參議, 金慶衍爲瑞山郡守, 宋國緯爲扶安縣監, 李世玧爲知禮縣監, 鄭運亨爲大靜縣監, 李重培爲典籍, 崔守迪爲氷庫別提, 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한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집, 어머니는 오명석의 딸이다. 식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 갑과에 탐화랑으로 급제하여 곧 종묘직장에 제수되고, 시강원의 설서를 거쳐 정언·지평

  • 정취하 / 鄭就河 [종교·철학/유학]

    1691∼1759. 조선 후기 문신. 정철 후손, 아버지는 정즙이다. 형은 정진하와 정민하, 아우는 이다. 1738년(영조 14) 무오 식년시 생원 3등 20위로 합격하고 1738년(영조 14) 무오 식년시 진사 3등 14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관장을 역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