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태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5)
사전(113)
- 홍희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제로 부산에 내려가서 그 절차를 정하였으며, 그것이 그 뒤 일본사신의 전례가 되었다. 1657년(효종 8)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에게 일본에서 본 유황(硫黃)의 위용을 말하여 왕에게 그 필요성을 진언하게 하고, 1659년 문위사(問慰使)를 수행하여 일본에...이칭별칭 자열(子悅)
- 정태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譜 閥閱政治(黃元九,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1976) 정태화(1602-1673) 1602(선조 35)∼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의 필적.이칭별칭 유춘(囿春)| 양파(陽坡)| 익헌(翼憲), 충익(忠翼)
- 정태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평안 감사로, 명나라의 왕도사가 용천에 정박하자 대포를 쏘아내쫓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정태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임인년(1602)에 출생, 계해년(1623)에 과거에 급제하고 5년후에 다시 별과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친다. 경상도 관찰사를 하던 중 조정과 비밀리에 의논한 일이 누설되어 청나라의 노여움을 사나, 청나라 사신으로 가 일을 잘마무리한다. 그후 고위직을 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유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현종 즉위년)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에 의해 궁중 의약(議藥)에 참여시키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나 지방에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불허되었다. 죽은 뒤 경연관의 청으로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증직하였다. 『현종실록(顯宗實錄)』이칭별칭 약기(躍起)| 일재(逸齋)
고서·고문서(244)
- 익헌공정태화 치제문(翼憲公鄭太和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기사찬초(記事撰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양파년기(陽坡年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생활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양파연기(陽坡年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28922 19301_31_2_0269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133 3 133결 3두락 夫西 정태화(夫西鄭太化)...자료번호19301_31_2_0269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4)
- 함남로동신문_1949_062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강길모 함남로동신문사 박경림 한응달, 정태화 【고원】 고원군 농민들은 금년도 정성껏 재배한 조기작물 보리 감자 등 수확에 착수하였다. 지난 6월 15일 고원면 상고도리 한응달 동무의 수도전작 보리 2모작 300평 수확을 선두로서 고원면 덕흥리 농...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6_03 | 책임주필강길모
- 새기술_1971_0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과 이용현황 이양희, 양익환 2 도시폐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과 생산 정태화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통일평론_1990_3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南北高位級会談で, 南北は何を主張しているのか 柳正奎 32 オソオセヨ, 北の同胞のみなさん 姜潤 37 さまよう盧政権の統一政策 鄭大和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90
- 여원_1961_07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개혁한다 김용장 154 새로운 가풍의 창조-세계 제일의 <쏠디>화수회 안자순 160 새로운 가풍의 창조-4월남풍같은 <정태화>가풍 박...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1
기타자료(4)
- 정대화;鄭大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681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71면 1. 卒業生;18) 18회(47명: 1927년 3월 졸업) 정대화;鄭大和 진주부 榮町 三二商會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 현장 조사) 학교경영 체제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육 학교운영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잡지 유현숙, 정태화 1995 3 교육월보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유현숙, 정태화 | 사료철명교육월보
- (특집 교육계획과 장학활동) 과학 교육의 내실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과교육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 잡지 정대화 鄭大和 1985 3 문교행정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대화 | 사료철명문교행정
- (교위순례) 과학교육진흥 추진실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과교육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 잡지 정대화 鄭大和 1983 6 문교행정 18호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대화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6)
-
정태화 / 鄭太和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광필 5대손, 유길 증손, 할아버지는 창연, 아버지는 광성이다. 어머니는 황근중의 딸이다. 좌의정 치화와 예조참판 만화의 형이다.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을 모아 엮은 ≪양
-
정석오 / 鄭錫五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 증손, 할아버지는 정재대, 아버지는 정혁선,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정효선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 검열, 수찬, 교리, 지평, 좌의정, 영
-
야록 / [문학/구비문학]
孤靑)의 기신(起身)한 이야기, 제5·6화는 술수가 정강(鄭碙)의 이야기를 수록하는 등, 초록자가 과거와 술수에 특히 관심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태화(鄭太和)의 벗이 적괴(賊魁)가 된 이야기나, 김진사가 적괴가 된 이야기 등의 대적담(大賊談)과 유생(柳生)
-
매옹한록 / 梅翁閑錄 [문학/구비문학]
외조부 윤지완에게 들은 이야기임을 밝힌 곳이 많고, 윤지완도 그 이야기가 그의 외숙인 정태화(鄭太和)에게서 들은 것임을 전제한 경우가 있다. 이 책에는 서·발이 없어 그 편찬 과정을 알 길이 없다. 그러나 지질과 기타 형태로 보아 대체로 순조조 이후부터 고종 연간에 이
-
목장지도 / 牧場地圖 [경제·산업/산업]
다스리는 벼슬)로 있던 이서(李曙, 1580~1637) 밑에서 사복시정(司僕寺正)으로 있을 때 『목장지도』를 지어 올린 적이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효종 때 사복시제조 정태화(鄭太和, 1602~1673)가 정비하여 모사(模寫)하였고, 이것을 허목이 다시 정비했다는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