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태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14)
- 외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정태진(丁泰鎭)의 시문집. [내용] 14권 7책. 석인본. 1961년 문인 김용규(金龍圭)ㆍ정해봉(丁海鳳)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가원(李家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정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태진(1903-1952) 정태진(1903-1952). 한글학자.이칭별칭 석인(石人)
- 조선어학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있는 정태진(丁泰鎭)임을 파악하였다. 같은 해 9월 5일에 정태진을 연행, 취조해 조선어학회가 민족주의단체로서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억지 자백을 받아냈다. 이로써 일제는 3‧1운동 후 부활한 한글운동을 폐지하고, 조선민족 노예화에 방해가 되는 단...
- 급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안영호(安永鎬)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37년에 아들 승윤(承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정태진(丁泰鎭)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는 부(賦)‧시, 권3...
- 용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황익청(黃益淸)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5년 황익청의 후손 황영조(黃永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동준(柳東浚)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태진(丁泰鎭)과 황영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
고서·고문서(31)
- 朝鮮 古語方言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 古語方言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 古語方言辭典 丁泰鎭; 金炳濟 共編著 一成堂書店 서울 1948 언어사전;대표표제어朝鮮 古語方言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 古語方言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 古語方言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 古語方言辭典 丁泰鎭,金炳濟 共著; 정태진선생기념사업회 엮음 一成堂書店 : 민지사 ...대표표제어朝鮮 古語方言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詩文門3_曹鄴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不知此爲戕身之禍. 始也暗地揣摩, 後手脚不掩, 其勢不得免也, 猶强作正論以粉飾之, 是欺明也, 宵小情態盡之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연길편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374 0706_01 연길편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의례, 혼례, 혼서, 연길편지, 간찰 한자 고문서 WL722.JPG 연길편지 간찰 丁泰鎭 李生員 丙子年 11월 14일 26 44.5 이...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이창희 기탁)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之限, 曾以來三月爲定矣。 改以歲前爲限, 下去後, 須盡心爲之, 必於歲前, 盡爲代定, 可也。 萬秋曰, 聖敎如是丁寧, 敢不盡心, 而聞元無可代之丁云。 必有各別變通, 然後可於歲前了當耳。 萬秋退。 南海縣令柳挺泰進伏。 上曰, 職姓名? 挺泰仰對。 上曰, 履歷? 挺泰曰, 臣於甲戌年爲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9)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紅峴會同 辛孝承 壹圓 尹緯植 尹泰弘 辛厚承 各六十錢젼 朴魯相 三十錢 鄭元得 廿五錢 安尙默 李禧榮 김鼎凞 張然哲 嚴昌셥 李觀凞 鄭泰鎭各廿젼 已上合計 合四圓七十五젼 前日統計 七千五百二十二圓二十九젼五里 都統合計 七千五百二十七圓四錢五里 帝 國 新 聞 社게재일1907년 9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무궁화_1946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의 자연과 문화 정태진 12 조선노동운동의 현상 한석 23 여성교육과 여성들의 자각 정구충 2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 횃불_1970_02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2 조형와 예술적 창조교육 정태진 126 불황 속의 희망적 신인대두 오도광 128 유모어골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새한민보_1949_03_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3 한글전용론 정태진 24 24-25쪽 순서가 잡지에서 바뀌어있음 셰르촬영견학기-성벽을 뚫고 Q생 26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9
- 횃불_1970_02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07 유모어골 108 가정 및 사회의 미술교육의 문제점 정태진 112 음악의 생활화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기타자료(24)
- 정태진;丁泰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29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3면 정태진;丁泰鎭 제5회 1930년 3월 24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태진;丁泰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37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4면 정태진;丁泰鎭 제7회 1937-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태진;鄭泰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859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7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 제3회 4명(1907년 졸업) 정태진;鄭泰鎭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태진;丁泰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642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3면 1. 3. 각 과별 졸업생;7) 제7회 졸업생 (1925년 3월 졸업);(1) 문과 정태진;丁泰鎭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태진;丁泰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56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76면 1. 3. 각 과별 졸업생;7) 제7회 졸업생 (1925년 3월 졸업);(1) 문과 정태진;丁泰鎭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정태진 / 丁泰鎭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국어학자·독립운동가(1903∼1952). 조선어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 편찬의 일을 맡아보다가,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조선어학회로 돌아와 조선말 《큰사전》 편찬을 다시 시작하고, 연희대학·중앙대학·홍익대학·동국대학 등에서 국어학 강의를
-
동정집 / 東亭集 [종교·철학/유학]
동정 이병호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서문은 없고, 발문은 제자인 재종질 이선구와 서주 김사진이 1934년에 지었다. 표제는 동정집이고 판심제는 동정유고이다. 이 책은 최병인, 정태진, 권종원, 김사진 등이 원고를 수합한 뒤 면우 곽종석에게 교정을 받아서 간행되
-
외재문집 / 畏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정태진의 문집. 석인본, 발:이가원(1961), 14권7책. 권1,2에는 143제 242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내용은 주변 자연경관을 묘사한 시 및 유산시 등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권2,3,4,5,6,7,8에는 서 171편이 실려 있는데,경서와 예론ㆍ성리설ㆍ상제 등
-
용봉집 / 龍峰集 [종교·철학/유학]
황익청의 문집. 3권 1책:목판본, 1935. 문집의 편집은 저자의 10대손인 영조가 맡았다. 권두에는 류동준의 서문, 권말에는 정태진과 후손 영조와 영소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부 1편, 시 113수가 실려져 있다. 권2에는 대책과 소 2편, 서 11편, 비문 1
-
옥류산장시화 / 玉溜山莊詩話 [문학/한문학]
는 옛 사람들이 시화를 짓게 된 유래를 설명하였다.『옥류산장시화』의 특징은 1934년에 지은 하겸진(河謙鎭)의 『동시화 東詩話』 이후에 지어진 최후의 시화집이다. 따라서 다른 시화에서 다룰 수 없었던 신채호(申采浩)·유인식(柳寅植)·정태진(丁泰鎭)·변영만(卞榮晩)·안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