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태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고서·고문서(18)
- 11 第十一統統首鄭大福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04년_범서면(凡西面) 1804년 범서면(凡西面) 第十三川上里 11 第十一統統首鄭大福 第一戶 鄭萬益故代子都訓導大福年參拾捌丁亥本東萊父業武萬益祖業武治右曾祖 業武仁建外祖業武朴鳳鶴本慶州母朴氏年柒拾乙卯妻朴姓年肆拾參壬午本密 陽父元世祖貴復曾祖生立外祖李世己...연도_면이름1804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十三川上里
- 1741년 정대복(丁大復)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전라도 남평현에 거주하는 나주정씨의 호적자료이다. 자료는 준호구 14건, 호구단자 초(草) 1건, 호구단자 24건, 총 39건으로 총 9명의 호적사항을 알 수 있다. 가장 빠른 시기의 자료는 1741년정대복 호구단자이고, 1849년정진욱 호구단자가 맨 뒤 시기의 자료이...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나주 나주정씨 정문찬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46. 光緖二年-丙子-至月二十五日鄭大福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7442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3-146 146. 光緖二年-丙子-至月二十五日鄭大福前明文 가대매매문기 1 38.9x34.9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8.9...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43. 咸豊四年-甲寅-正月十四日鄭命宗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6.1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54년(철종 5) 1월 14일 鄭大福 답주 鄭大福 답주 鄭命宗 鄭命宗 朴奎煥 朴奎煥 전라 청산도 서면 邑里 尺山 전라도 청산도(군/현) 서면(면/방) 邑里 尺山...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75. 道光二十七年-己酉-六月十一日鄭大元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8x36.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49년(헌종 15) 6월 11일 鄭大福 답주 鄭大福 답주 鄭大元 鄭大元 金允玉 鄭允文 전라 청산도 동면 東村 間食 전라도 청산도(군/현) 동면(면/방) 東村...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2)
- 정로_1946_0316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성수 정로사 손창□, 최득□, 정태복, 정현복, 김□□, 이태국, 박성□, 안리명, 김용□, 차상익, 이□주, 오□□, 박영형, 김기□ ,박영일, 윤□근, 박마□, 고덕□, 이길□, 김영수, 김성룡, 김기준, 문태영, 김창환, 김충목, 한경환, 이정화,...대표표제어정로_1946_0316_04 | 책임주필태성수
- 연변교육_198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리진근 43 체육교수를 더욱 높은 고도에로 정태복 44 체육사업을 더욱 실속있게 김대봉 44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2
주제어사전(2)
-
정태복 / 鄭泰復 [종교·철학/유학]
1888년(고종 25) 10월 1일~1960년 1월 18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17년 9월 광복회원이 되었다. 중국 상해에서 가져온 문건을 이재덕과 함께 자신의 집에서 200여 매를 등사, 문건을 서울과 경상도 전역, 그리고 충청남도 지방에 거주하는 부호들에
-
정교 / 鄭僑 [종교·철학/유학]
1764∼1834(영조40∼순조34). 고조는 정요, 증조는 정지종, 조는 정태건이다.정교의 아버지 정형상은 원래 정연의 현손 정태복의 아들로서, 정요봉의 아들 정태건의 후사를 이었으며, 정요봉의 아들 정지집이 그의 본생고조부가 된다. 어머니는 풍양조씨,1764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