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탁” 에 대한 검색결과 5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0)

사전(212)

  • 매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57년 후손 승기(承璣)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ㆍ황헌(黃憲)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규연(鄭圭淵)ㆍ김회진(金晦鎭)ㆍ승기 등의 발문이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63(공민왕 12)∼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여괴(汝魁)ㆍ축은(築隱), 호는 춘곡(春谷). 아버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공권(公權)이다. [내용] 1...
    이칭별칭 여괴(汝魁), 축은(築隱)| 춘곡(春谷)| 익경(翼景)|청성군|청성부원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52(문종 2)∼1496(연산군 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경숙(警叔). 지평 충기(忠基)의 아들이다. 1483년(성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조좌랑‧사간원헌납‧호조정랑을 지냈으며, ...
    이칭별칭 경숙(警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약포연보(藥圃年譜)』 『청선고(淸選考)』 초상 조선 중기...
    이칭별칭 자정(子精)| 약포(藥圃), 백곡(栢谷)| 정간(貞簡)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중추부판사이다. 이순신의 형벌을 결정할 때, 이순신이 명장이며군문의 사정은 밖에서 알기 어려우니 만일을 위하여 살려두고 후일 공을 세우게 하자고 말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49)

  • 6 第六統統首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청양면(靑良面) 1792년 청양면(靑良面) 第十四良川里 6 第六統統首金 第一戶 幼學金年參拾貳辛巳本金海父學生聲龜祖學生時鳴曾祖學生碩興外祖學生姜遇晟 本晋州妻朴氏年參拾肆己卯籍密陽父學生潤彩祖學生興泰曾祖學生世發外祖學生金日徵 本金海率婢申金年肆拾...
    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四良川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온남면(溫南面) 1864년 온남면(溫南面) 第五大雲里 2 第二統統首恒 第一戶 幼學恒年伍拾肆辛未本東萊父學生裕權祖學生東采曾祖學生 淳外祖學生宋再彬本延安妻都氏年伍拾肆辛未本星州父學生仁德祖學 生東載曾祖學生世昌外祖學生鄭敏淳本東萊子幼學國杓年...
    연도_면이름1864년_온남면(溫南面) | 면이름온남면(溫南面) | 마을이름第五大雲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온남면(溫南面) 1864년 온남면(溫南面) 第五大雲里 3 第三統統首局 第一戶 幼學局年肆拾柒戊寅本東萊父學生裕權祖學生東采曾祖學生 淳外祖學生宋再彬本延安妻車氏年肆拾玖丙子本延安父學生有成祖學 生轉行曾祖學生弼化外祖學生梁奉世本南原子幼學智杓年貳拾...
    연도_면이름1864년_온남면(溫南面) | 면이름온남면(溫南面) | 마을이름第五大雲里
  • 약포(藥圃)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917년 족질(族侄) 진(鎭)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

  • 과 이여송(계속)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진왜란에 관계되는 이야기를 하나 더 했다. 계속 생각이 나는 모양이었 <page id="157" /> 다.*
    조사일시1980-06-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기1동 | 제보자박노활

기초학문(3)

  • 임진왜란시 도교 술법(術法)의 수용의 양상 -의 〈약포선조유묵〉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058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임진왜란시 도교 술법(術法)의 수용의 양상 -의 〈약포선조유묵〉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动词/形容词+(了/得)+副词+形容词”형식 연구 - 정도 부사 “很”, “太”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성은, 게재일 : 2015
    57099 최성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5 “动词/形容词+(了/得)+副词+形容词”형식 연구 - 정도 부사 “很”, “太”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반편견 교육방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탁준, 게재일 : 2008
    30561 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반편견 교육방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48)

  • 商議常議員 二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商議常議員 二名乎 1934년 12월11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는 상의원 증가 건을 역원회에 부의한 결과 현재의...
    대표표제어商議常議員 二名程度乎 | 연월일1934년 12월11일 | 지역서울
  • 金融組合貸付의 引下를 决議 仁川商議金融部會서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金融組合貸付의 引下를 决議 仁川商議金融部會서 1938년 10월26일 인천 인천 인천상공회의소는 24일 금융부회를
    대표표제어金融組合貸付의 程度引下를 决議 仁川商議金融部會서 | 연월일1938년 10월26일 | 지역인천
  • 金組의 貸付引上 中小商工業者 救濟 仁川商議서 金聯에 要望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金組의 貸付引上 中小商工業者 救濟 仁川商議서 金聯에 要望 1938년 11월25일 인천 인천 인천상공회의소는 22일...
    대표표제어金組의 貸付程度引上 中小商工業者 救濟 仁川商議서 金聯에 要望 | 연월일1938년 11월25일 | 지역인천
  • 민세안재홍전집 : 夏穀收集드디어決定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486 1947 5 10 1 1 夏穀收集드디어決定 總生産量의五分之一로 신문 서울신문 3면 1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夏穀收集 A19470510서울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中國은共産化할것이냐?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276 1927 4 10 1 1 安 在 鴻 안재홍 中國은共産化할것이냐? 社會民主主義의에서 勞資協調의政策下에支配될것 잡지 신민 24호, 3권4호 43~44쪽 설문 국제정세 직접자료 6권 中國, 共...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5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19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86면 ; 1923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78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5면 ; 1923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868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3면 ; 경기 강화군;釜山 朝鮮紡織會社 제3회 191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78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이;李 제4회 1944-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715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12면 - 김;金 소화15년 3월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6)

  • / [종교·철학/유학]

    1363(공민왕 12)∼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공권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후 춘추관수찬관·사헌규정·좌정언·호조좌랑·병조좌랑·광흥창사 등을 역임하였다.1392년(태조 1) 이성계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

  • /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605(선조38). 조선 중기의 문신. 원로의 증손, 할아버지는 교, 아버지는 이충, 어머니는 한종결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2년(명종 7) 성균생원시를 거쳐 155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우의정, 좌의정, 영중추부사를 역임

  • 도정서원 / 道正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도정리에 있었던 서원. 1700년(숙종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6년(정조 10)에 정윤목(鄭允穆)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

  • 위성공신 / 衛聖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임진왜란 때 광해군 호종에 공을 세운 관원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윤두수·이항복·윤자신·심충겸 등 10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이라 하였고, 2등 17명은 갈충

  • 이양오 / 李養吾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 5월 6일∼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문장가. 증조는 이문좌, 조부는 이시발이다. 부친 이의채와 모친 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장한응의 딸이다. 1786년(정조 10) 모친상을 당한 이후 과거시험에 대한 뜻을 접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