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충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3)
- 정충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5(영조 1)∼1789(정조 13).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영일(迎日). 처음 이름은 흥필(興弼), 자는 창백(昌伯), 후에 자를 백경(伯敬)으로 고쳤다. 호는 노우(魯宇). 아버지는 욱(煜), 어머니는 영양이씨(永陽李...이칭별칭 창백(昌伯),백경(伯敬)| 노우(魯宇)
- 노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충필(鄭忠弼)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정충필의 동생 정동필(鄭東弼)이 편집한 것을 1881년(고종 18) 손자 정석우(鄭錫祐)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서지적...
- 백불암언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지 않으나 순조 때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앞머리에 목록과 세계도(世系圖)를, 권1에 연보를 실었다. 권2에 이광정이 찬한 행장, 안정복(安鼎福)이 찬한 묘지명, 정종로(鄭宗魯)가 찬한 묘갈명, 박광석(朴光錫)이 찬한 묘표를, 권3에는 정충필(鄭忠弼)이 기...
고서·고문서(7)
- 1784년 정충필(鄭忠弼) 등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梅軒照影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가 상주박물관 梅軒照影은 鄭煜(1708-1770)의 문집이다. 정욱의 자는 汝輝이고, 호는 梅軒이다. 본관은 迎日이다. 그는 李敏中에게서 수학하였다. 아들 鄭忠弼은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篆書와 草書에 능했다. 책의 머리에는 乙巳年 郭鍾錫(1846-1919)이...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27 第二十七統統首李憲默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79년_내상면(內廂面) 1879년 내상면(內廂面) 第三西洞里 27 第二十七統統首李憲默 第一戶 貢生李憲默年伍拾參丁亥本慶州父記官俊權祖記官宗洛 曾祖記官聖郁外祖安逸戶長鄭忠弼本延日妻鄭氏年伍拾柒癸 未本延日父安逸戶長弘允祖安逸戶長陽彙曾祖安逸戶長駿恒外 祖學生許溫...연도_면이름187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西洞里
- 2 第二統統首林聖宅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陳年年參拾參丙戌本慶州父記官斗權祖宗汶曾祖 聖郁外祖崔震亨本慶州妻김姓年貳拾玖庚寅本彦陽父達淵祖履祿 曾祖見龍外祖安逸戶長朴之復本義興婢學禮年乙酉等乙卯戶口相准 第三戶 營衙前李憲默年參拾貳丁亥本慶州父記官俊權祖宗洛曾祖聖郁外 祖安逸戶長鄭忠弼本延日妻鄭姓年參拾陸癸未本延日父安逸戶長弘 允祖安逸...연도_면이름1858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西洞里
- 14 第十四統統首李錫榮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本 密陽父學生思奭祖學生英秀曾祖學生東起外祖學生白聖圭本 水原婢莫乃年己丑等己卯戶口相准 第四戶營人吏李憲默年伍拾陸丁亥本慶州父俊權祖宗洛曾祖聖郁 外祖安逸戶長鄭忠弼本延日妻鄭姓年陸拾癸未本延日父安逸 戶長弘允祖安逸戶長陽彙曾祖安逸戶長駿順外祖許溫本김海 子祚榮年貳拾玖甲寅婦鄭姓年參拾參庚戌本延...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西洞里
주제어사전(4)
-
정충필 / 鄭忠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25∼1789). 경사와 제자백가에 통하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전초에도 뛰어났다. 저서로 《노우문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낙선당 손종로와 충노 억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783년(정조 7)에 세워진 손종로정충비각에 그의 글씨가 전한다.
-
정욱 / 鄭煜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0년(영조 46).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상문, 외조부는 이재륭이다. 처부는 이수춘이다. 이민중에게서 수학하였다. 아들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전서와 초서에 능한 정충필이 있다.
-
정일전 / 鄭一銓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중주, 형 정일옥이 있다. 이형상과 정중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생원 2등 17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었다. 정희·정충필 등과 학문적인 교유를 나누
-
노우문집 / 魯宇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충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1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2에 시 252수, 권3에 서(書) 44편, 권4에 잡저 9편, 권5에 서(序) 1편, 잠 1편, 명 2편, 상량문 3편, 축문 5편, 제문 18편, 행장 1편, 실기(實記) 1편, 권6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