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충신” 에 대한 검색결과 2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

사전(9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1576-1636) 명가필보' 중 의 필적. 장군 유품 중 영정 1576(선조 9)∼1...
    이칭별칭 가행(可行)| 만운(晩雲)| 충무(忠武)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무신으로 안주 목사이다. 이른 아침 일타홍이 찾아와 이괄의 반역 사실을 알리자 크게 놀란다. 갑자기 준비된 것도 없고 군사 또한 부족하여 방도가없자 일타홍에게 좋은 계책이 없는지 묻는다. 일타홍 또한 별다른 방도가 없어 급사를 보내 나라에 소식을 알리고 평양으로 가 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집에 머물 때, 어느 날 사랑방웃간에서 자다가 자리가 불편해 깬다. 옆에 누군가가 누워 있어 불을 키고 자세히 보니 병들어 죽은 여자의 시신이 눈을 뜨고 있어 가만히 생각해보고 수년 동안 골목에 드나들며 마주쳤던 처녀임을 알아차린다. 처녀가 관심이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집에 머물 때 이항복의 사위윤옥으로부터 핀잔과 욕을 얻어먹곤 한다. 어느 날 이항복이 입궐한 사이 찾아온 윤옥과 각자의 목을 건 내기 장기를 두게 된다. 기문 병법에 따라 장기를 두어 윤옥을 외통으로 몰아 이긴다. 윤옥이 빙글빙글 웃으며 한 판 더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평양 감사가 생일을 맞아 잔치를 벌였을 때 치진한다. 감사가 글을 잘 지어 백주가 읊게 하면 누구든 백주와 중매를 서 좋은 인연을 맺어 주겠다고 공언하여 고을 수령들이 글을 내는데 홀로 미소만 짓고 앉아 있는다. 감사가 여러번 재촉하자 마지 못해 마지막에 글을 할 수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95)

  • 人事門11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錦南君 , 卽光州通印. 通印者, 知印賤吏之俗稱. 爲白沙 李相國所知, 發身入仕, 甲子之變, 賴以成功策勳, 至副元帥. 蓋西厓知李舜臣於微官罪廢之中, 白沙知於下邑賤役之中, 後此更無其倫也. 癸亥改玉, 諸議皆謂: “非玉城 張晩, 不可.” 其女壻崔相 鳴吉曰: “...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798년 치제문(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백사선생북천일록(白沙先生北遷日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550 B000550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8年 4月 17日_008 ○遣摠戎使李曙, 副元帥, 征椵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지혜로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권율도원수가 과련 된 인물이라며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0.01.16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1리 53-1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권순암[[權純岩]]
  • 무등산의 정기를 받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김덕령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금남로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서 하겠다고 하면서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제보자는 연세가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긴 시간동안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셨는데, 이렇게 열정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다 보니 행여 건강을 해치지 않 을까 염려스...
    조사일시2010.12.18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권율과 그의 사위 신립,오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전에 서기선씨의 무가를 채록하고 오후에 이용정씨를 다시 찾아갔다. 어제 한 번 뵈었기 때문에 반갑게 맞이해 주었다. 어제와 같이 이용정씨 자택 사랑에서 채록했다. 방 안에는 조사자와 이용정씨 두 사람만 있었다. *
    조사일시1981-05-03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송악면 | 제보자이용정

신문·잡지(6)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지 9대손, 아버지는 윤이다. 어머니는 이인조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 부원수, 포도대장, 경상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만운집

  •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장 에 관한 설화. 주로 한문 야담집에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계서야담(溪西野譚)』의 「정금남충신(鄭錦南忠信)」, 『청구야담(靑邱野談)』·『해동야서(海東野書)』의 「거북산금남성대공(據北山錦南成大功)」, 『동야휘집(東野彙輯)』의 「주석견육자기경(酒

  • 서고청설화 / [문학/구비문학]

    중심이다. 서고청이 늘 고개를 숙인 채 엎드려서 아들을 가르치자 부인은 뒤에 서고청에게 양인이 될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나, 서고청은 분수를 범하는 일이라 하여 이를 사양하였다. 서고청은 송익필(宋翼弼)·()과 함께 삼노(三奴)의 명인(名人)으로 일컬어지는

  • 이괄의 난 / 李适의 亂 [정치·법제/정치]

    환도한 뒤 이괄의 반란 평정에 공을 세운 장만··남이흥 등 32인을 진무공신으로 포상하고, 난의 수습책을 마련하였다.

  • 진무공신 / 振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장만··남이흥 등 3인으로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이라 하였고, 2등은 이수일·김기종·변흡·유효걸·김경운·이희건·조시준·박상·성대훈 등 9인으로 갈성분위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