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지집”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3)

  • 병촉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후손 원국(源國)ㆍ건모(建模)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익(權相翊)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23수, 서(書)
  • 이자서절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혼의 후손 정인수(鄭仁壽)‧정인목(鄭仁睦)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이시수(李蓍秀)‧허훈(許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2권 6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정혼의...
  • 탄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화(題畫 및 기타 12편, 서(書) 3편, 서(序) 25편이 있다. 그 중에서 문집 서문이 6편이다. <제하사고 題霞思稿>는 이단전(李亶佃)의 시의 아름다움을 기렸고, <우정집서 雨庭集序>에서는 ()이 5‧7언을 즐겨 쓰는 세속과는 달리 6언을...

고서·고문서(5)

  • 1276 0641_01 炳燭齋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 炳燭齋集, 炳燭齋文集 한자 전적 WL250.JPG 목활자본 선장본 미상 31.6 21.4 2책...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崇寧三年初自蜀出峽留荆州待辭免乞郡之命與府帥馬珹甚歡閩人陳擧自臺出漕先生未嘗與交也承天寺僧爲先生乞㙮記文成珹飯諸部使者於塔下環觀先生書碑碑尾但書作記者黃某立石者馬某而已擧與李植林虞相顧前請曰某等願託名不朽可乎先生不答擧由此憾之擧知先生昔在河北與挺之有怨政遂以墨本上之謂幸災謗國先生遂除名羈管宜...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齋舍를 만들고 上梁式을 거행하였는데 上梁文은 族叔 이 지었다. 松溪菴 중수를 준비하다가 1742년(영조 18)에 宗孫이 돌아가셨고, 중수 후 1759년(영조 35)에 族叔이 돌아간 것을 슬퍼하면서 重建敍事를 마치고 있다. 문집의 주석에는 松溪菴에 관련된 조약은 중...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추안급국안 : 계해년(1623, 인조 1) 3월 이후 범죄사건(상, 8)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다 誅止李日馨李尙恒柳希奮柳希發內人女玉蘭香生伊道難秋英代香 ○ 난이 등에게 독약을 내리다 賜藥蘭伊淑眞 ○ 4월 5일 추국청 관원 명단 癸亥四月初五日推官 左議政鄭昌衍判義禁尹昉知義禁金瑬知義禁李貴同知義禁李慶涵 承旨韓汝溭大司諫朴東善持平兪百曾問事郞廳校理李敏求通禮...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浿水 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材作桴筏以濟,命焚之,火光照江,得尋路而行。遂渡臨津。【樊菴蔡濟恭云:“焚屋照江之謀,本延原府院君李光靮奴愛男之所贊也。亂定,愛男亦錄名于勳券。”】 五月初三日,賊入京城,都元帥金命元出走,更徵京畿ㆍ黃海兵,守臨津,與申硈同守,以遏賊西下之路。命元在臨津北,分付諸軍,列守江灘,斂江中船隻,悉在...
    권차명大東水經 其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93년(숙종 19)∼1754년(영조 30). 조선 후기 유학자. 용포 이유와 청대 권상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강학과 실천을 항상 염두하면서 위기지학에 힘썼다. 문집으로 후손인 정원국과 정건모 등이 편집·간행한 4권 2책의《병촉재문

  • 정교 / 鄭僑 [종교·철학/유학]

    1764∼1834(영조40∼순조34). 고조는 정요, 증조는 정지종, 조는 정태건이다.정교의 아버지 정형상은 원래 정연의 현손 정태복의 아들로서, 정요봉의 아들 정태건의 후사를 이었으며, 정요봉의 아들 이 그의 본생고조부가 된다. 어머니는 풍양조씨,1764년 상

  • 병촉재집 / 炳燭齋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24), 4권 2책. 후손인 정원국과 방손 정건모가 성재 권상익에게 교정과 서문을 요청하여, 1925년에 간행하였다. 권1은 시, 권2는 시와 서, 권3은 서와 잡저와 서와 발과 명과 상량문과 축문, 권4는 제문, 묘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