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중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2)
- 정중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1(숙종 17)∼1762(영조 3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국첨(國瞻), 호는 비와(卑窩). 혁(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두종(斗宗)이고, 아버지는 순(珣)이며, 어머니는 월성이씨(月城李氏)로 ...이칭별칭 국첨(國瞻)| 비와(卑窩)
- 비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정중대(鄭重岱)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2년 그의 8대손인 진화(鎭華)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과 이중균(李中均)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진화 등의 발문 5편이 있다. 국립중앙...
고서·고문서(9)
- 비와문집(卑窩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忠淸道庄土文績_제15책 : 忠淸南道魯城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33. 乾隆四十八年戊申十二月初十日尹生員宅奴卜金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x36.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좌촌 1783년(?) 12월 10일 鄭羅州宅奴鄭羅州宅奴就卜 奴 답주 鄭羅州宅奴鄭羅州宅奴就卜 奴 답주 尹生員宅奴卜金 奴 尹生員宅奴卜金 奴 鄭仲大 鄭仲大 충청 연산 외성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대정창(大靜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重大, 海外絶島, 時遣京官省察, 極爲便益, 不可不遣。 且大靜倉庫蓋瓦事, 必知首尾然後, 乃可竣事。 金欽祖箇滿臨近, 此間勿遞何如?” 傳曰: “大臣之議甚當。 但或令卽移; 或待京官更審似異。 大抵移邑, 不必汲汲, 俱竢後日京官審往, 移之何如? 欽祖箇滿, 則豈可不遞? 近者, 兩界主...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四息程也, 萬一有變, 則不得相援也。 況一時竝移, 弊必不貲。 今移大靜、旌義, 則待後日京朝官往來時, 令審察民情、形勢然後, 移之似當矣。 倉庫蓋瓦事, 與該曹議之。 不收數年奴婢身貢, 燔瓦蓋覆似當。 點馬事, 馬政重大, 海外絶島, 時遣京官省察, 極爲便益, 不可不遣。 且大靜倉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최참판 하집사 입납 채계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年來 靜中台體連衛萬祥,而曁令 胤三房侍度,又是珍迪未,小生資本 闒茸,早失所怙,而先子在世之日, 粗讀父書,然未有所得,退歸農 畝者,又有年矣,有何一半分發明於 斯文盛德之間也哉,咄歎咄歎,往在 庚寅及門之秋,賤祟幾乎死亡之 患,而當時如非 大君子推澤之仁,何能料生,寔 至于今,以睹靑天白日之光明...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土井重大治郞(土井重大治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井重大治郞(土井重大治郞) 서울 土井重大治郞 土井重大治郞 光熙町 1-193 청부업 - 토목 청부 61.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土井重大治郞(土井重大治郞)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2)
-
정중대 / 鄭重岱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62). 1717년 봉상시주부 겸 부정자에 임명되어 숙종에게 동서고금의 역사를 강설, 그 실력을 크게 인정받아 정자에 승진되고, 이어 박사가 되었다. 1718년 금교도찰방으로 나가 자신의 녹봉을 털어 주민들을 진휼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
비와집 / 卑窩集 [종교·철학/유학]
정중대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1931. <비와집> 권두에 노상직이 1926년에 쓴 서문과 이중균이 1931년에 쓴 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97수와 연설 1편이 실려져 있고, 권2에 서 23편‧기 1편‧잡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 제문 19편‧묘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