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종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02)
- 입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정종로(鄭宗魯)의 시문집. [내용] 48권 24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1∼7은 시 733수, 권8은 소(疏)로 그가 사헌부지평의 소명을 받던 1796년(정조 20)에 올린 일련의 상소이며, 또 이상정(...
- 강세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2(영조 38)∼1833(순조 3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 아버지는 필형(必炯), 어머니는 성산이씨(星山李氏) 석좌(碩佐)의 딸이다. 정종로(鄭宗魯)의 문하...이칭별칭 공서(公敍)| 긍암(兢菴)
- 최효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래부사 이휘령(李彙寧), 어사 박규수(朴珪壽)와 임응준(任應準) 등이 번갈아 천거하여 1860년(철종 11) 장릉참봉(莊陵參奉)에 임명되고, 그 뒤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거쳐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1866년(고종 3...이칭별칭 치선(穉善)| 지헌(止軒)
- 정종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현상윤, 민중서관, 1949)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태극동정설(太極動靜說)」(유명종, 『조선후기성리학』, 이문출판사, 1985) 정종로(1738-1816) 1738(영조 14)∼1816...이칭별칭 사앙(士仰)| 입재(立齋), 무적옹(無適翁)
- 손윤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걸(之杰)에게 입양되었다. 정종로(鄭宗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거인(巨人)의 상(像)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문에 전심하여 경사(經史)와 제자백가 등을 두루 섭렵하였다. 20세가 되어서는 서울에 올라와 유심춘(柳尋春)과 교유하며 학문의 범위를 넓혔...이칭별칭 경부(經夫)| 성재(省齋)
고서·고문서(67)
- 1796년 정종로(鄭宗魯) 노문(路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노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노문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789년 정종로(鄭宗魯)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789년 정종로(鄭宗魯)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797년 정종로(鄭宗魯)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797년 정종로(鄭宗魯)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주제어사전(35)
-
정종로 / 鄭宗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8∼1816). 이상정의 문하에서 영남학파의 학통을 계승하고, 주리론적인 입장에서 성리학의 연구와 저술에 전념했다. “경학과 문장이 융성하여 영남 제1의 인물.” 이라는 채제공의 평으로 의금부도사에 특진되었고, 사포서별제·강령현감·함창현감에
-
우헌집 / 愚軒集 [종교·철학/유학]
채헌징의 문집. 목판본, 서:정종로(1806), 발: 김소락(1865), 7권 3책. 입재 정종로가 1806년(순조 6)에 쓴 서문과 의성김씨 김소락이 1865년(고종 2)에 쓴 발문이 있다. 권말에 실려 있는 우헌의 8세손 성환이 쓴 발문에는 간행 연도를 무진년이라
-
남고집 / 南皐集 [종교·철학/유학]
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작품이 들어 있다. 또한, 정종로(鄭宗魯)·유상조(柳相祚)·유태좌(柳台佐)·황찬희(黃贊熙)·김상원(金尙元)·유치목(柳致睦) 등 당시 유명인사에 대한 만시가 많이 들어 있다. 소에는 스승인 정종로를 포증(褒贈)하여줄 것을 청하는 상소가 있
-
최효술 / 崔孝述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70년(고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정종로의 딸이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래부사 이휘령, 어사 박규수와 임응준 등이 번갈아 천거하여 1860년(철종 11) 장릉참봉에 임명, 돈령부도정, 부호군에 이르렀
-
남한호 / 南漢皜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남도훤, 조부는 남정구, 생부는 남필석이다. 남필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손재 남한조에게 수학하였다. 1778년(정조 2) 퇴계학의 맥을 잇는 입재 정종로를 찾아가 공부하였다. 순암 안정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