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조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85)
사전(448)
- 정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원단(元旦)에 명나라나 청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내용] 하정사(賀正使)‧정단사(正旦使)라고도 하였다. 동지사(冬至使)‧성절사(聖節使)와 더불어 삼절사(三節使)의 하나이다. 이는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보내던 임시사절...이칭별칭하정사|정단사
- 정조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원단(元旦)에 명(明)나라나 청(淸)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정의조선시대 원단(元旦)에 명(明)나라나 청(淸)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gjosa | MR표기chŏngjo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송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73년(공민왕 22) 6월 응거시(應擧試)로 급제하고, 그 해 9월 정조사(正朝使)인 밀직부사(密直副使)주영찬(周英贊)을 따라 명나라에 과거를 보러 가다가...
- 김인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48년(충목왕 4)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첨의평리(僉議評理) 손홍량(孫洪亮)과 함께 원나라에 정조사(正朝使)로 다녀왔으며, 1349년(충정왕 1) 순성익찬보리공신도첨의참리(純...
- 정조사(正朝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조사 정조사 正朝使 정단사(正旦使), 정하사(正賀使), 하정사(賀正使) 동지사(冬至使), 연공사(年貢使), 정단(正旦) 정치외교/사행 직역 대한민국/중국 조선 태조~중종 박성주동의어정단사(正旦使), 정하사(正賀使), 하정사(賀正使) | 관련어동지사(冬至使), 연공사(年貢使), 정단(正旦)
고서·고문서(1,596)
- 조선사정조사서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사회사정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발행처불명
- 조선백정조사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조선호적령사안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가 조선호적령을 제정하기에 앞서 작성한 초안(草案)으로서 모두 137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909년에 제정된 민적법이 불과 00조항인 것과 비교하면 조선인의 호적에 관한 사항을 매우 세부적으로 규정하는 등 호적제도의 정비를 목표로 한 것이었다...분류법/관습법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발행처불명
- 1557년 손광서(孫光曙) 첩(妾) 정조이(鄭召史) 의송(議送)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57년(명종12) 죽은 손광서(孫光曙)의 첩 정조이(鄭召史)가 경상도관찰사에게 올린 민원문서이다. 내용은 남의 밭을 자기 것 인양 판 조종손(趙從孫)의 죄를 물어 달라는 것이다. 조종손은 정조이가 사는 경주 양동마을에서 멀지 않는 흥해(興海)에 사는 자로 손광서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정세균 “천안함 침몰 국정조사해야”… 이회창 “北(북)개입땐 무력제재 검토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정세균 “천안함 침몰 국정조사해야”… 이회창 “北(북)개입땐 무력제재 검토를”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대표표제어정세균 “천안함 침몰 국정조사해야”… 이회창 “北(북)개입땐 무력제재 검토를”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천안함, 침몰, 서해, 초계함, NLL, 포격, 폭발, 군인사망, 어뢰
기초학문(3)
- 행정조사의 형사법적 한계설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근우, 게재일 : 201452229 이근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원 2014 행정조사의 형사법적 한계설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행정조사의 형사법적 한계설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근우, 게재일 : 201455087 이근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원 2014 행정조사의 형사법적 한계설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한정조사 {(이)나}의 통사론과 서법 제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4831 한국연구재단 한글학회 2003 한정조사 {(이)나}의 통사론과 서법 제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36)
- 財政調査의派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 졍고문부에셔 공쥬와 쥬량도졍을됴샤졍리로 무관 굴뎡씨와 쥬 김영두씨 공쥬로 파송고 무관 길뎐졍치씨와 쥬최흥씨 쥬로 파송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事情調査會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36 1925 11 30 1 1 朝鮮事情調査會 각방면유지들이모여정치적기본사실을 연구 신문 시대일보 2면 6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朝鮮事情調査會, 安在鴻, 白寬洙, 白南薰, 金俊淵 白南雲 趙炳玉 朴...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鄭召史가本居小安동이러니具兵使鐘書로同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鄭召史가本居小安동이러니具兵使鐘書로同居水門동△十統七戶移居因以相別△該△本非具兵使之買給△△分後該鄭召史가往推家券則稱以遺失△今不給故不得不更出板刻文券故如是廣佈홈 水門동 鄭召史△白게재일1906년 12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麻포安永根處에長湍正租四十一石任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麻포安永根處에長湍正租四十一石任置票見失얏시니誰某拾得休紙施行오 金永佑 고게재일1906년 2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安城邑內居鄭召史가以靑年寡居로△無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安城邑內居鄭召史가以靑年寡居로△無主張而率孤兒苟送歲月이바鄭召史에世傳田土가在於本郡南面梧村前後坪七八石落와以此勤農資生이압噫彼시六寸鄭奎煥與시뉘남편姜泰鳳兩人이蔑視殘寡之孤了고敢生奪土之計야右土를以僞造文券으로京鄕間有勢力家에다가 暗爲盜賣以喫코져옵기로如是告白오니無論內外...게재일1906년 4월 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
- 1. 학원사태에관한국정조사특별위원회구성결의안(강원채의원외 80인 발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 학원사태에관한국정조사특별위원회구성결의안(강원채의원외 80인 발의) 1. 학원사태에관한국정조사특별위원회구성결의안(강원채의원외 80인 발의)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1대국회본회의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23. 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회국정조사결과보고(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장 정동...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23. 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회국정조사결과보고(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장 정동... 23. 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회국정조사결과보고(조선대생이철규군변사사건조사특별위원장 정동... 교육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3대국회본회의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주제어사전(6)
-
정조사 / 正朝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원단에 명나라나 청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동지사·성절사와 더불어 삼절사의 하나이다. 이는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보내던 임시사절이 아니라 정례사행이었다. 이 정례사행은 원래 별도로 엄격히 지켜지다가 1645년(인조 23)부터 피차의 편의를 보아
-
김정집 / 金鼎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9). 할아버지는 좌의정 사목, 아버지는 선공감부정 영수, 어머니는 조헌진의 딸이다. 18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한성판윤·에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황해도관찰사로 재직 중 김대건 신
-
고죽집 / 孤竹集 [문학/한문학]
오언고시 28수, 칠언고시 5수이다. 권말에는 부록으로, 최립(崔岦)의 「정옥봉고죽집합간불가설(訂玉峯孤竹集合刊不可說)」, 이호민(李好閔)의 「정조사주행촌소첩(呈詔使朱杏村小帖)」, 송한필(宋翰弼)의 「제최종성문( 祭崔鍾城文)」, 신흠(申欽)의 「옥봉전고서략(玉峯全稿序略)
-
김도 / 金濤 [종교·철학/유학]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문신. 1370년(공민왕 19) 8월 박실·유백유 등과 함께 향공으로 뽑혀 정조사 권균을 따라 명나라에 갔다. 이듬해 급제해 동창부 구현의 승에 임명되었다. 1379년 그의 가노가 연경궁 옛터의 돌을 훔친 일로 이인임의 탄핵을 받
-
연행사 / 燕行使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 청나라에 보낸 조선 사신의 총칭. 조선 전기에는 명나라에 보내는 사신을 조천사라 했으나, 조선 후기에는 청나라의 도읍인 연경에 간 사신이란 의미로 연행사라 했다. 조선에서 청에 파견한 사신은 청의 도읍이 심양일 때(1637년부터 1644년)는 동지사·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