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47)
사전(1,128)
- 남창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제(鄭梯)의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후손 기범(基範)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과 권말에 이학래(李鶴來)의 발문을 실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심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제(李鼎濟)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1년 증손 능완(能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능완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서(書)
- 계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정제용(鄭濟鎔)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09년 아들 인영(仁永)‧덕영(德永)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곽종석(郭鍾錫)의 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 구택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머니는 이만저(李曼著)의 딸이다 .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이다. [생애] 171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된 뒤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고, 1721년(경종 1) 노론의 실각과 함께 외직으로 물러났다. 1731년(영조 7) 진주목사...이칭별칭 성오(性五)| 존재(存齋)|명규(命奎)
- 만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정제호(鄭濟鎬)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98년에 아들 동식(東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준(宋炳俊)의 서문과 권말에 동식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앞에 「만포...
논문(1)
- 데이터 정제의 관점에서 본 한국문집총간 XML 문서 검토 [한국 역대 한자 자형 자전(字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 단국대학교]저자 : 최지연 | 게재정보 : 한문학논집
고서·고문서(1,742)
- 정제(情弟)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金正濟五回公判(김정제오회공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金正濟五回公判(김정제오회공판)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758일 창간 간첩,...대표표제어金正濟五回公判(김정제오회공판)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북괴, 북한, 월북, 괴뢰, 침투
- 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간첩, 괴뢰 19...대표표제어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괴뢰
- 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간첩, 괴뢰 19...대표표제어金正濟死刑執行(김정제사형집행)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괴뢰
- 金正濟(김정제)와도關聯(관련)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金正濟(김정제)와도關聯(관련)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간첩, 북한, 괴뢰 ...대표표제어金正濟(김정제)와도關聯(관련)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북한, 괴뢰
구술자료(8)
- 박병천 강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박병천 자진모리장단 자진육자백이장단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 어정제 남도들노래 무속음악 미상 미상 26:28 31:09 1) A면에는 장구 합주가 녹음되어 있다.- 자진모리장단, 자진육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병천
- 정광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져있다. 2) 음질 상 정광수 이매방 이진영 이소희 임동선 이생강 박판석 임방울 김창환 송만갑 정정렬 정응민 유성준 김연수 권금주 이준열사가 시나위 삼현 풍류 잔영산 도드리 군악 조청 당악 대방 어정제 패개성음 신청 권번 판소리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제주도 민요 및 권마성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 민요 및 곡에 대한 설명이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하 제주도 민요 권마성 본향당본풀이 성당본풀이 도산당본풀이 성주풀이 귀향풀이 문정제출갈이 영등손맞이 세경본풀이 남성제 사설시조 상산조자룡을 앞산타령 춘향가 민요;기악기타;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충선
- 제주도 민요 및 권마성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 민요 및 곡에 대한 설명이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하 제주도 민요 권마성 본향당본풀이 성당본풀이 도산당본풀이 성주풀이 귀향풀이 문정제출갈이 영등손맞이 세경본풀이 남성제 사설시조 상산조자룡을 앞산타령 춘향가 민요;기악기타;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신옥
- 이선재(개풍)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종약원, 전주이씨 종친회 부녀부, 전주이씨 종친회 청년부, 진명여고, 공민왕 사당제, 마포나루굿, 사직대제, 아소정제, 종묘대제, 인천상륙작전, 6.25(한국전쟁), 1.4 후퇴 한글 연세대학교 문화원 원장, 보호선도 연합회구술자이선재(개풍) | 직업문화원 원장, 보호선도 연합회 및 학력인정사회교육시설학교 연합회 회장 | 지역경기도
기초학문(58)
- 雍正帝의 盛京지역 통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0947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10 雍正帝의 盛京지역 통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호진, 게재일 : 200709031 유호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7
- 鄭齊斗 陽明學의 陽明右派的 特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47864 한국연구재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鄭齊斗 陽明學의 陽明右派的 特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霞谷 鄭齊斗의 주자학 반성과 心本體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정길, 게재일 : 200532025 한정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학학회 2005 霞谷 鄭齊斗의 주자학 반성과 心本體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정제두와 정약용의 대학 이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리, 게재일 : 201447463 박상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4 정제두와 정약용의 대학 이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496)
- 憲政制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졍부에셔 외국졔도를 시찰기위야각국에 파송츌양대신들이 북경에 도라온후에 장지동 원셰개 잠츈헌씨등 각춍독이 일졔히상경야 립헌졍치를 졔뎡건으로 어젼회의를 셜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3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潛艇製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아국졍부에셔 구라파 각 면에 방어 획으로 잠슈뎡 이십쳑을 졔조하는 삼년동안을 계획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五號聲明과各界의反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19 1946 4 20 1 1 安在鴻 안재홍 五號聲明과各界의反應 平常한路線이다 신문 한성일보 1면 10단 시평 정치 직접자료 선집외 第五號聲明 三相會議決定第三條 A19460420한성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軍部官制改正提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부대신리병무씨가 부관졔 졍안건을 일젼각회의에 졔츌말은 임의 긔얏거니와 그 안건의 뎍당치 못 됴건을 다시 졍야 작일 각으로 입송얏 일간에 반포되리라더라게재일1907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鄭濟永(永本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濟永(永本商店) 서울 鄭濟永 永本商店 鍾路 1-48 가정용품 - 일본/서양식 가구(和洋家具) 제작 100.3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대표표제어鄭濟永(永本商店) | 지역서울 | 품목가정용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가구(和洋家具)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236)
- 18세기 중반 정제된흰소금[白鹽]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11_18세기_중반_정제된흰소금[白鹽] 경제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계보 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0주차. 19세기 한국 성리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최영진 외 9인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_1차시 Y2L03W09V01_선병삼.mp4 Y2L03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계보 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0주차. 19세기 한국 성리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최영진 외 9인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_2차시 Y2L03W09V02_선병삼.mp4 Y2L03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계보 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0주차. 19세기 한국 성리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최영진 외 9인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_3차시 Y2L03W09V03_선병삼.mp4 Y2L03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계보 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0주차. 19세기 한국 성리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최영진 외 9인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 하곡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_9주차_4차시 Y2L03W09V04_선병삼.mp4 Y2L03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기타자료(178)
- 김정제;金正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957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3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h. 1936년 3월 졸업 김정제;金正濟 (본적)전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제;金正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38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5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h. 1936년 3월 졸업(38명) 김정제;金正濟 (본적)전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제현;鄭濟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0758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66면 7. 졸업자;2) 同 제2회 졸업자 (1896년 4월) 정제현;鄭濟賢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제현;鄭濟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541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70면 7. 졸업;2) 同 제2회 졸업자 (1896년 4월) 정제현;鄭濟賢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제;金正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550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31 187면 1. 학생 및 생도 성명 (1931년 4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5) 문과 1학년 B조(45명) 김정제;金正濟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1)
-
하곡 정제두 저 『존언 (存言)』: 해설과 역주를 포함, 영문으로 번역한 후 북미지역에서 출판
한국 학술 번역사업 | Edward Chung |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 2014 | 국외 | 해외
-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남옥 | 한국국학진흥원 | 2019 | 국내 | 경북
-
영조(英祖) 시문(詩文)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안장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미얀마 내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기반 육성: 양곤 경제 대학교, 미얀마-한국 연구소(가칭) 설립을 통한 사회과학 부문 한국학 연구 및 교육의 진흥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Thida Kyu | Yangon University of Economics | 2015 | 국외 | 해외
-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항섭 | 성균관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5)
-
정제 / 鄭梯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65년(영조 41).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사제이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는 여러 차례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오직 학문 정진에 전념하였다. 학문적으로 교유한 인물로 정중기·정간 등이 있다.
-
정제두 / 鄭齊斗 [종교·철학]
1649-1736.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활동에 전념하였다. 당시 이단시하던 양명학을 고집하여 조선 양명학의 태두가 되었다. 그는 심즉리설에 입각하여 주자학의 성즉리설을 비판했다. 저서로는 <하곡집>이 있다.
-
교과서검인정제도 / 敎科書檢認定制度 [교육/교육]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교수·학습을 위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발행하는 교과용 도서 중 검정 또는 인정과 관련된 일련의 적용 체계. 교과서의 검정 또는 인정과 관련된 법률적 근거는 ‘교육법’(법률 제86호, 1949.12.31.) 으로부터 연원한다. 즉, 1977년
-
군현제 / 郡縣制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행정제도. 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획으로 나누고 여기에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해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
-
인부랑 / 印符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인부를 관장하던 관직. 인부랑은 고려 의종대에 있었던 부보랑(符寶郎)을 연원으로 1298년(충렬왕 24)에 정제(定制)를 갖추어 인부랑 2인을 두었고, 그 직품도 종6품으로 하였으나 곧 혁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