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7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공법
연구성과물(19,625)
사전(1,693)
- 정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정이 두터움. 俯惠諸種物 隨情. 珍謝無已, 민규호(閔奎鎬), 31-10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75(성종 6)∼1513(중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자원(子遠). 아버지는 사직 원운(元耘)이며, 어머니는 최계림(崔繼林)의 딸이다. 형운(亨耘)에게 입양되었다. 1498년(연산군 4) 사마시에...이칭별칭 자원(子遠)
- 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9(선조 2)∼1639(인조17).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보(壽甫), 호는 송오(松塢). 양구현감 사성(士誠)의 아들이다. 아버지를 통하여 이황(李滉)의 학문을 이어받았으며,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이칭별칭 수보(壽甫)| 송오(松塢)
- 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9(영조 5)∼1790(정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성임(聖任), 호는 송창(松滄). 아버지는 형보(亨輔)이며,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로 정구(鼎九)의 딸이다. 큰아버지 인보(仁輔)에게 ...이칭별칭 성임(聖任)| 송창(松滄)
- 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토지제도. [개설] 722년(성덕왕 21) 백성 가운데 정(丁)의 연령층에게 주어졌던 토지이다. [연원 및 변천] 정전으로 지급된 토지의 성격과, 이와 같은 조처가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가...
단행본(2)
- 정전 검열 기억 [정전과 검열 그리고 기억 | 고려대학교]저자 : 강영미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1712유형단행본본 연구는 남북한에서 정전 형성과정에 작용한 특이성을 동시적 국면에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남북한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동일한 시적 자산을 공유했음에도, 분단 이후 체제의 차이로 인해 각기 다른 문학 정전을 구축해 왔다. 한쪽에서 배제하고 금기한 논리가 다...
- 한국 전쟁과 정전체제 [한국학시리즈 5개 분야 5책 태국어 발간 | 서울대학교]저자 : 박태균 ... | 출판사 : 태국 | 출판일 : 201701유형단행본
논문(2)
-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 기간 정전담판에 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내 근·현대한국학 및 한중관계학 선도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저자 : Shen Zhihua | 게재정보 : 중국근현대사연구
- 经典的解构与重构-龙贤重的 白雪春香传与金仁顺的 春香 比较研究 정전의 해독과 재구성: 용현중의 백설춘향전과 김인순의 춘향 비교 연구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염 | 게재정보 : 어문논총 63권, 게재일 : 2015.03유형논문
고서·고문서(14,595)
- 정전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정전 대한민국(남북한) 청계천문화관 문헌자료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미군, 삐라, 신변안전 보증서...대표표제어정전 | 저작권자청계천문화관 | 자료구분문헌자료 | 키워드미군, 삐라, 신변안전 보증서, 전쟁, 투쟁
- 亭前汎月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230 亭前汎月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井田論 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00 經世遺表 卷五 ITKC_MP_0597A_1100_010_0010 井田論 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經世遺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井田論 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00 經世遺表 卷五 ITKC_MP_0597A_1100_010_0020 井田論 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經世遺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井田論 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00 經世遺表 卷五 ITKC_MP_0597A_1100_010_0030 井田論 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經世遺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9)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정전,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부정전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정전,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주옥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정전,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홍종화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정전,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연실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정전,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의복
기초학문(69)
- 정전화와 탈정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인모, 게재일 : 200836111 정인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8 정전화와 탈정전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정전의 정치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류찬열, 게재일 : 201239437 류찬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문학회 2012 정전의 정치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정전과 문학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5575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3 정전과 문학교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영미, 게재일 : 201246401 강영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학회 2012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탈식민지 문학의 정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태상, 게재일 : 200004200 장태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00 탈식민지 문학의 정전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489)
- 領証轉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이의국에셔 셜 만국텰도 공회에 야 례송금으로 법국돈일법을송교얏 령슈표가 통감부로도야 농부에 젼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財政前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목하뎐씨가 말기를 한국졍부에 셰입이 팔만원에 불과나 인민은그삼갑졀이나 무난거시 지금인구이쳔만이상에 구실난거시 그졀반은 탐관오리가 흠쳐먹으니 이후징셰방법을 량야 관원의못된일을 금면 인민의츌렴은 얼마즘감고도 졍부셰입은 갑졀이 늘터이니 셰상에셔난 한국졍이말못...게재일1906년 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發程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일공가 외부로 뎐보하기 보빙 박공친왕이 작일 오후에 발졍하엿난데 체신신이 경부텰도 통식에 참여하기 위하야 동다 하엿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親書呈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일공관에셔 친셔 일본황샹 봉졍하고 외부로 회뎐하엿더라게재일1904년 1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尹議政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셩 리셕무씨 등이 본도관찰 윤덕영씨의 탐장을 탄야 부에 등소엿데 죠부 의졍윤용션씨지 탄지라 윤 의졍이 암동에 병츌야 죠칙 젼유 비셔승 리죵완씨로 야금젼 쥬기를 쥬민등의 연명 호소에 의가 흉휼야 감이못말을 참핍니 곳 변괴라 △...게재일1902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3)
-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1 4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2 5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1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1 4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2 5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2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1 4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2 5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3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1 4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2 5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4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1 4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2 5주차. 한국의 애정전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5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기타자료(1,693)
- 정전등;町田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499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8면 정전등;町田登 전주부 서정 35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전순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332 남한 경성 덕성여자실업학교 1-25 제8회 졸업기념 1943 0 정전순자 경성부 계동정 2-16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덕성여자실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전길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7351 남한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1-34 제34회 졸업기념 1943 0 정전길순 경기도 파주군 탄현면 대동리 34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정전린;新井銓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732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5면 1. A, B조 생도 명부 신정전린;新井銓麟 함남 북청군 하거서면 임자동리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정전;金岡正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773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24면 - 금강정전;金岡正展 소화16년 3월3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정전과 검열 그리고 기억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강영미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최동주 | 숙명여자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식민과 냉전의 해방전후 한국문학-남북협상파 문인의 통일독립에의 열망과 좌절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재용 | 원광대학교 | 2020 | 국내 | 전북
-
북한 ‘노획문서’ 분류목록·해제 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정용욱 | 서울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
‘正祖學' 총서- 正祖의 文/ 正祖의 武 / 正祖의 禮/ 正祖의 法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호 | 경인교육대학교 | 2015 | 국내 | 인천
주제어사전(70)
-
정전 / 正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의 농경지 가운데 휴한 혹은 진황시키지 않고 해마다 경작하는 상경전을 지칭하는 법제적 용어. 1444년(세종 26)의 공법수세제(貢法收稅制)의 제정에 즈음한 때부터였다. 정전이야말로 국가의 전세수입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 대상이었기에 구체적인 규제가 필요했던
-
근정전 / 勤政殿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 왕궁의 하나인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은 왕이 조신들의 하례를 받는 장소로 역대 군주들이 즉위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 전은 경복궁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에는 근정문·홍례문·광화문이 위치해 있고 동쪽에는 일화문, 서쪽에는 월화문이 있다.
-
정수정전 / 鄭秀貞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소설은 여성 독자를 의식한 작품이다. 즉, 불행이 닥쳤을 때 여성들이 소극적으로만 대처해 그대로 감수하는 것이 아니고, 남장을 하고 과감하게 남성 세계에 뛰어들어 국가에 혁혁한 공로를 세우고, 또한 남편
-
유의정전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글필사본. 이 소설은 전란중의 가족이산이 유씨가와 한씨가의 관계 속에 얽혀 있다. 유의정과 한영이 각각 도사를 만나 몸을 의탁하면서 탁월한 능력도 확보한다. 앞부분과 뒷부분이 누락되어 분명하지 않으나 이러한 능력의 확보는 인물의 사회 복귀
-
경복궁사정전 / 景福宮思政殿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각.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의 단층 팔작기와지붕건물. 근정전 뒤 사정문 안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로, 왕이 평상시에 거처하면서 정사를 보살피던 전당이다. 현재의 건물은 1867년에 중건된 것이다. 왕으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