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전” 에 대한 검색결과 19,9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844)

사전(1,693)

  • TD_F3_D_0040 조세 遺制, 勝蹟 平壤 D_14_02_91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9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9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F3_O_0002 조세 明君, 賢相, 碁局, 遂, 徑, 溝, 畛, 洫, 涂, 澮, 道, 川, 路, 廬舍, 封植, 商君, 魚鱗冊, 絶長補短, 什一, 開阡陌, 田疇, 形體, 大司徒, 富人, 貧民, 八家, 同井, 一夫, 百畝, 遺蹟, 羅祖, 畫田, 畦...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14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F3_O_0003 조세 稅, 三百步, 一里, 九百畝, 公田, 八家, 私田, 一戶, 五口, 餘夫, 稅畝, 什一, 中正, 大桀, 小桀, 大貉, 小貉, , 封建, 肉刑, 阡陌, 肉刑, 輕笞, 賦稅法, 貢法, 六尺, 步, 二百四十步, 畝, 徹, 侯國...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1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F0_D_0040 경제 기타 畎澮, 溝塗, 禾麻菽麥 平壤, 平壤舊城, 舊城內 箕子 朝鮮賦 D_14_03_24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2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F0_J_0001 경제 기타 町, 田中有井, 步數, 尺寸, 畝折算, 區畫, 七十畝, 六十四區, 含毬, 正陽, 田制, 好古, 阡陌, 之制, 殷制, 遺蹟 平壤, 南門, 箕子井, 殷周, 含毬, 正陽, 秦, 我東 箕子, 韓久庵百謙 說 ...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2권 1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검열 기억 [정전과 검열 그리고 기억 | 고려대학교]
    저자 : 강영미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1712
    유형단행본
    본 연구는 남북한에서 정전 형성과정에 작용한 특이성을 동시적 국면에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남북한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동일한 시적 자산을 공유했음에도, 분단 이후 체제의 차이로 인해 각기 다른 문학 정전을 구축해 왔다. 한쪽에서 배제하고 금기한 논리가 다...
  • 한국 전쟁과 체제 [한국학시리즈 5개 분야 5책 태국어 발간 | 서울대학교]
    저자 : 박태균 ... | 출판사 : 태국 | 출판일 : 201701
    유형단행본

논문(2)

고서·고문서(14,814)

구술자료(19)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부정전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주옥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홍종화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연실
  • 제주도 민요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27:28 26:05 A면 1) 오돌또기[소리: 김주옥] (00:10) 2) 이야홍타령[소리: 김주옥] (05:12) 3) 밭밟는 노래[소리: 부, 남제주군] (07:54) 4) 도리깨 소리[소리: 홍종화, 제주시 애월면 동기리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의복

기초학문(69)

  • 화와 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인모, 게재일 : 2008
    36111 정인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8 화와 탈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의 정치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류찬열, 게재일 : 2012
    39437 류찬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문학회 2012 의 정치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과 문학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575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3 과 문학교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탈식민지 문학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정환, 게재일 : 2000
    12824 신정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세계문학비교학회 2000 탈식민지 문학의 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동아일보와 시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영미, 게재일 : 2012
    46401 강영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학회 2012 동아일보와 시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48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에셔 이의국에셔 셜 만국텰도 공회에 야 례송금으로 법국돈일법을송교얏 령슈표가 통감부로도야 농부에 젼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목하뎐씨가 말기를 한국졍부에 셰입이 팔만원에 불과나 인민은그삼갑졀이나 무난거시 지금인구이쳔만이상에 구실난거시 그졀반은 탐관오리가 흠쳐먹으니 이후징셰방법을 량야 관원의못된일을 금면 인민의츌렴은 얼마즘감고도 졍부셰입은 갑졀이 늘터이니 셰상에셔난 한국졍이말못...
    게재일1906년 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일공가 외부로 뎐보하기 보빙 박공친왕이 작일 오후에 발졍하엿난데 체신신이 경부텰도 통식에 참여하기 위하야 동다 하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5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親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일공관에셔 친셔 일본황샹 봉졍하고 외부로 회뎐하엿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尹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셩 리셕무씨 등이 본도관찰 윤덕영씨의 탐장을 탄야 부에 등소엿데 죠부 의졍윤용션씨지 탄지라 윤 의졍이 암동에 병츌야 죠칙 젼유 비셔승 리죵완씨로 야금젼 쥬기를 쥬민등의 연명 호소에 의가 흉휼야 감이못말을 참핍니 곳 변괴라 △...
    게재일1902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3)

  • 한국의 애기 1_3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기 1 4주차. 한국의 애기 2 5주차. 한국의 애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1
    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한국의 애기 1_3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기 1 4주차. 한국의 애기 2 5주차. 한국의 애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2
    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한국의 애기 1_3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기 1 4주차. 한국의 애기 2 5주차. 한국의 애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3
    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한국의 애기 1_3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기 1 4주차. 한국의 애기 2 5주차. 한국의 애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4
    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 한국의 애기 1_3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역사 속의 사랑 2주차. 생사의 경계를 넘어선 사랑 3주차. 한국의 애기 1 4주차. 한국의 애기 2 5주차. 한국의 애기 3 6주차. 사랑과 자유 7주차. 춘향전 - 사랑, 인간의 권리 8주차. 야담 속의 사랑 9주차. 동아시아 속의 한국 애정서사 25
    강좌제목한국문학으로 읽는 사랑 | 강의자김지윤 교수

기타자료(1,693)

  • 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499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8면 등;登 전주부 서정 35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332 남한 경성 덕성여자실업학교 1-25 제8회 졸업기념 1943 0 순자 경성부 계동정 2-168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덕성여자실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길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7351 남한 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1-34 제34회 졸업기념 1943 0 길순 경기도 파주군 탄현면 대동리 34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린;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732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5면 1. A, B조 생도 명부 신린;新麟 함남 북청군 하거서면 임자동리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강;金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773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24면 - 금강;金岡 소화16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70)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의 농경지 가운데 휴한 혹은 진황시키지 않고 해마다 경작하는 상경전을 지칭하는 법제적 용어. 1444년(세종 26)의 공법수세제(貢法收稅制)의 제정에 즈음한 때부터였다. 이야말로 국가의 전세수입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 대상이었기에 구체적인 규제가 필요했던

  • / 勤殿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 왕궁의 하나인 경복궁의 . 근은 왕이 조신들의 하례를 받는 장소로 역대 군주들이 즉위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 전은 경복궁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에는 근정문·홍례문·광화문이 위치해 있고 동쪽에는 일화문, 서쪽에는 월화문이 있다.

  • 정수 / 鄭秀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소설은 여성 독자를 의식한 작품이다. 즉, 불행이 닥쳤을 때 여성들이 소극적으로만 대처해 그대로 감수하는 것이 아니고, 남장을 하고 과감하게 남성 세계에 뛰어들어 국가에 혁혁한 공로를 세우고, 또한 남편

  • 유의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글필사본. 이 소설은 전란중의 가족이산이 유씨가와 한씨가의 관계 속에 얽혀 있다. 유의정과 한영이 각각 도사를 만나 몸을 의탁하면서 탁월한 능력도 확보한다. 앞부분과 뒷부분이 누락되어 분명하지 않으나 이러한 능력의 확보는 인물의 사회 복귀

  • 경복궁사 / 景福宮思殿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각.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의 단층 팔작기와지붕건물. 근 뒤 사정문 안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로, 왕이 평상시에 거처하면서 정사를 보살피던 전당이다. 현재의 건물은 1867년에 중건된 것이다. 왕으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