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재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3)
- 사무자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로(丁載老)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8년 후손 규직(奎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황용한(黃龍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성익(權聖翊)ㆍ정문교(丁文敎)ㆍ정주섭(丁珠燮)의 발문이 있다...
- 만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익종(翼宗) 예제(睿製)의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로 처음 추어졌다.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되며, 족자(簇子) 1인, 봉탁(奉卓) 2인, 봉반(奉盤) 1인이 따로 있다. 순조 무자(戊子) ≪진작의궤≫ 부편(附編) 만수무조에...
- 향악정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음악은 당악정재 양식을 따르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새로 등장한 향악정재로 순조대 이전을 살펴보면, 지방 교방에서 먼저 공연되다가 정조대에 궁중으로 올라온 「선유락(船遊樂)」과 「검기무(劍器舞)」를 비롯하여 「광수무(廣袖舞)」․「초무(初舞)」․「첨수무(尖袖舞)」...
- 몽금척(夢金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덕망도 지식도 있어 백성들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다.”라면서 금척(金尺)을 주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건국 초에 지어진 송축의 악장이 대부분 가송(歌頌)되었던 것에 비해, 「몽금척」은 연행되지 않다가 태종대에 정재와 악장이 연주되었다. 정재로 만들어진 「몽금척」은...상위어당악정재(唐樂呈才), 정재(呈才) | 동의어금척(金尺), 금척무(金尺舞) | 관련어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 정도전(鄭道傳)
- 하성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량에 의하여 창제된 이후 곧 정재로 무악화(舞樂化)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12명의 무원(舞員)과 족자 1명, 죽간자(竹竿子) 2명, 개(蓋) 4명, 인인장(引人仗) 2명, 정절(旌節) 8명, 용선(龍扇) 2명, 봉선(鳳扇) 2명, 작선(雀扇...
고서·고문서(14)
- 미상(1862)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8826 19303_67_4_0226 奎19303_67_4 미상(1862)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1.5 1.5두락 정재노(鄭在老) 정재노(鄭...자료번호19303_67_4_0226 [奎19303_67_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미상(1862)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8827 19303_67_4_0227 奎19303_67_4 미상(1862)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10.5 10.5두락 정재노(鄭在老) 정재노...자료번호19303_67_4_0227 [奎19303_67_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미상(1862)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8862 19303_67_4_0262 奎19303_67_4 미상(1862)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황해도 재령군 安城坊 下垌 5 5두락 정재노(鄭在老) 정재노(鄭在老)자료번호19303_67_4_0262 [奎19303_67_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守溫詩亭在滄江欲盡頭野情漠漠更休休靑春丘隴臨長道紫闕煙霞接上流喬木半遮祠戶暗閑雲時鎭洞門幽遲公出沐來 投晚擧酒吾當太白浮○徐居正詩孝思亭在露梁頭風樹情懷幾日休壟合松楸霜露感鄕成桑梓歲時流鑑湖作主人長在盤谷傳家地自幽退食歸來多睱日倚闌山水碧浮浮○李承召詩卜居初卜此江頭勝地應開百世休韋氏一經存舊學謝...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 第六統統首梁命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丙寅本月城父石乙夕祖之伯曾祖不知外祖柳益九本密陽妻車姓年參拾柒丁卯 本延安父通政日雲祖通政在輅曾祖通政尙豪外祖廉尙德本達城等庚子戶口相准 第四戶 寡車姓年肆拾捌丙辰本延安父學生汝載祖學生震贊曾祖學生永栢外祖學生李起漢本月 城率婢次先年貳拾甲申率婢次今年伍己亥等庚子戶口相准 第五戶 府軍官鄭萬太年肆拾...연도_면이름1783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九道士菴
기타자료(1)
-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보고서-청자9호‧10호요-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아궁이 부분이 남 아 있는데 현존하는 가마 전체의 길이는 750cm이다. 가마의 양벽은 갑발을 잘라 점토와 함께 쌓았으며, 가마 내벽의 폭은 120cm이다. 가마 내부에는 天井材로 사용되었던 갑발편, 가마벽편, 절구형 도침편 등이 쌓여 있었다. 가마 A의 위에 축조된...발행연도1996(도판편)/1997(본문편) | 발굴기관국립중앙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4)
-
정재로 / 丁載老 [종교·철학/유학]
1731∼1802(영조 7∼영조 7). 고조는 시옥, 증조는 도명, 조부는 희신, 부친은 지익이다. 어머니는 홍덕상의 딸이다. 생부는 지겸, 생모는 김홍렬의 딸이다. 1731년(영조 7) 4월 1일에 태어났고, 지익의 뒤를 이었다. 1756년(영조 32) 진사시에 합
-
사무자시집 / 四無子詩集 [종교·철학/유학]
정재로의 시문집. 석인본, 발: 정문교, 정주섭, 1938. 권1에는 황룡한 쓴 서문과 300여 수의 시. 권2에는 임지로 떠난 형과 아들에게 보낸 편지 등이 수록, 기문인 「포사기」와 「중향와명」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권성익이 쓴 행장‧정종노가 찬한 저자의 묘
-
만수무 / 萬壽舞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임금에게 선도(仙桃)를 올리며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춤으로, 1828년(순조 28) 6월 진작(進爵)에서 익종(翼宗) 예제(睿製)의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
-
당악정재 / 唐樂呈才 [예술·체육/무용]
악은 넓은 의미에서 중국의 악(樂)을 뜻한다.당악과 구분하기 위해 우리 음악을 향악(鄕樂)이라고 하였고, 춤에도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로 구분하게 되었다. 원래 정재(呈才)는 기예를 드리는 것이었으나, 이후 궁중무용의 대명사처럼 사용하였다. 당악정재가 상연된 최초의 기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