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자” 에 대한 검색결과 15,0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747)

사전(4,123)

  • 인천신현동의회화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0.2m, 남북으로 24.5m 정도 퍼져 있다. 마을에서 자라는 목(木)으로, 마을에서는 꽃이 필 때 수관(樹冠: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의 윗부분에서 꽃이 피기 시작하여 밑부분으로 내려오면 풍년이 들고 이와 반대로 꽃이 피...
    연계항목인천신현동의회화나무(仁川新峴洞의회화나무)
  • 소송신사장에마(小松神社藏繪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ら読む日光道中』, 随想舎, 2007. 용(龍) 사전 한글 김숭배
    유형분류작품
  • 전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경연(經筵)의 정9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조선 성종 때에 홍문관(弘文館)을 설치하고 여기에 소속된 정9품관인 ()를 경연의 전경으로 임명한 것이 그 유래이다. →경연 『성종실록(成宗實錄)...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정겨운 편지. 伏奉正四兩月惠翰 半年之間 再獲 山河數千里之外 此豈易得者哉, 홍우원(洪宇遠), 44-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홍문관‧승문원‧교서관(뒤에 규장각에 소속)의 정9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홍문관은 1420년(세종 2) 3월에 설치된 집현전(集賢殿)의 후신이다. 집현전에도 정9품 2인의 가 설치되어 녹관(祿官)으로서 경...

단행본(3)

  • 개혁개방 후 중국조선족 언어, 문학 연구 자료집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김춘선 ... | 출판사 :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 출판일 : 20140925
    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이 자료집은 개혁개방이후 중국 조선족 언어, 문학의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자료들은 주로 개혁개방이후 조선족 문학의 전개 양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대표성을 띠는 그 가치에 치중하여 선정된 것들이다. 자료의 배렬은 발표...
  •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
    저자 : 장경희(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3.9.30.
    분야예술‧체육 | 유형단행본
    왕릉의 흉례용 의물 (1) 흉례란 무엇인가? (2) 빈전 혼전의 내부 의물 (3) 왕릉 각의 내부 의물 (4) 대한제국 황제릉 침전의 의물 (5) 왕릉제기의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8. 존호를 올릴 때의 악장 19. 시책문 20. 애책문 21. 존호를 추상하는 옥책문 Ⅱ.《헌릉지》권2 1. 상설 2.

논문(4)

고서·고문서(8,21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 남자 1 1 , 편지, 아직, 소식, 구금, 인편, 편지, 부송, 징명, 고대, 비행기징명, 마음, 서울, 편지, 회답...
    대표표제어정자 | 성씨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120_0020 菁莪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나무 박 남자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图县) 수리전력국 6 3 나무, 아버지, 나무, 아버지, 그리던, 나무...
    대표표제어정자나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매 김 여자 전라북도 익산시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寿县) 중화공사 민광대대 3 3 매, 시집, 고무...
    대표표제어정자매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 최 여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성교향 대격진촌 5 4 동, 최씨네문중, 마을...
    대표표제어정자동 | 성씨

구술자료(212)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 | 제보자엄봉지
  •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래로 이름난 제보자에게 청중들이 계속 권했다. 약 타령, 대추 타령 등 이분의 노래항목에 대해 청중들이 환히 알고 있는 것 같았다. 적극적인 권유에 다음 노래를 권유했다.*
    조사일시1981-07-30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공검면 부곡1리 | 제보자채정석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정수연
  •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1-2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김외순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2-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제보자박연악

기초학문(84)

  • 与谢野与中国妇女解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수련, 게재일 : 2010
    11165 우수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长江学术 2010 与谢野与中国妇女解放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fcc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斗 陽明學의 陽明右派的 特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47864 한국연구재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斗 陽明學의 陽明右派的 特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자작나무 문서의 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지형, 게재일 : 2015
    52306 한지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연구소 2015 자작나무 문서의 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霞谷 斗의 주자학 반성과 心本體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정길, 게재일 : 2005
    32025 한정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학학회 2005 霞谷 斗의 주자학 반성과 心本體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시대 건축의 유식공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협, 게재일 : 2009
    43547 김상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 2009 조선시대 건축의 유식공간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342)

  • 吉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영친왕뎐하  지으시 길일을 츄얏 음력본월 십오일 병시로 야 상 쥬가얏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借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 리지용씨가 룡산졍 영친왕부로 밧치고 졍를다시 동소문밧 셩북동에 건츅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譴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령암군슈죠동완씨를 경무쳥에셔 착슈고로 법부에셔 논훈기를 죠동완이가 증경 칙임관인데 상쥬치아니고 경션구라 것이격례에어긔엿다야 경무 셔상대씨를 견에쳐다지라 경무가 발명기를 령암군슈 죠동완으로착슈얏고칙임관의쟈격으로 착슈일이업다으로 견을 물시...
    게재일1906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遺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슌졀 송산림의 문도들이 일젼상경야 송공의 유소를 비셔감에 맛쳣 아즉 등텰은 되지못얏 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九市(商店) 원산 九市 商店 仲町3 - - 정미업, 쌀, 콩, 잡곡상 판매 64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井上九市(井上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쌀, 콩, 잡곡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50)

  • 창원 성주개발사업지구 내 창원 삼동 48번지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창원 성주개발사업지구 내 창원 삼동 48번지유적 ss1-0272_#1 유구 도면 1. 유적 위치와 주변 일대의 유적‧문화재 2015-03-09_0.2494776_도면 1. 유적 위치와 주변 일대의 유적‧문화재.jpg ss1-0272_#2
    제목창원 성주개발사업지구 내 창원 삼정자동 48번지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_ 소양정_4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주차. 강원의 누정2 - 관동제일루 죽서루 4주차.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 소양정 5주차. 호남의 누정1 - <춘향전>의 무대, 광한루 6주차. 호남의 누정2 - 우리나라 민간원림의 원형, 소쇄원 7주차. 호남의 누정3 - 자연과 인공의 어울림, 부용동원림
    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_ 소양정_4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주차. 강원의 누정2 - 관동제일루 죽서루 4주차.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 소양정 5주차. 호남의 누정1 - <춘향전>의 무대, 광한루 6주차. 호남의 누정2 - 우리나라 민간원림의 원형, 소쇄원 7주차. 호남의 누정3 - 자연과 인공의 어울림, 부용동원림
    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_ 소양정_4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주차. 강원의 누정2 - 관동제일루 죽서루 4주차.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 소양정 5주차. 호남의 누정1 - <춘향전>의 무대, 광한루 6주차. 호남의 누정2 - 우리나라 민간원림의 원형, 소쇄원 7주차. 호남의 누정3 - 자연과 인공의 어울림, 부용동원림
    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_ 소양정_4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주차. 강원의 누정2 - 관동제일루 죽서루 4주차. 강원의 누정3 - 요산요수의 , 소양정 5주차. 호남의 누정1 - <춘향전>의 무대, 광한루 6주차. 호남의 누정2 - 우리나라 민간원림의 원형, 소쇄원 7주차. 호남의 누정3 - 자연과 인공의 어울림, 부용동원림
    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기타자료(716)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365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4면 (2) 졸업생일람 김;金 황해 금천군 금천면 금능리 221 고보15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56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5면 (학과)본과신제도 김;金 경성부 종로5정목 22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69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8면 (학과)본과신제도 이;李 경성부 연희정 167-1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7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8면 (학과)본과신제도 유;柳 경성부 아현정 69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203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1면 (2) 졸업생일람 성;聖 고보12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9)

주제어사전(27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승문원·교서관의 정9품 관직. 정원은 2인. 승문원의 는 1411년(태종 11)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2인을 둔 뒤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에 그대로 직제화하였다. 주로 외교문서의 검토·교정을 담당하였다.한편 교서관의

  • 타작 / [경제·산업/산업]

    곡식의 이삭을 떨어 알곡을 거두는 일. 경기도 김포에서는 개흙을 덧깔아서 바닥을 높인 다음 두레패를 끌어다가 이 위에서 놀게 하여 바닥을 다졌다. 함경남도 안변에서는 원래 바닥을 두 치쯤 파고 모래가 섞이지 않은 흙으로 메운 다음 물을 뿌려 가면서 골고루 밟아 다졌으며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문원·교서관의 종9품 관직. 정원은 각각 2인이다. 승문원의 부는 1411년(태종 11) 종래의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처음 1인,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 때 2인으로 증치하여 ≪경국대전≫에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종9품 와 함께

  • 양정재집 / 養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도응(金道凝)의 문집. 1권 1책. 목활자본. 저자가 죽은 지 180년 뒤에 9세손 종협(種協)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심응태(沈膺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7세손 현구(顯龜)와 9세손 용배(容培)·종협의 발문이 있다. 시 94수, 부(賦) 3편

  • 이노우에 가오루 / [정치·법제/외교]

    1836-1915. 일본 정치인. 외교관. 주한 일본공사. 일본 외무대신. 1869-1871년사이 조폐국지사, 민부대보 등을 역임하였다. 1873년 5월 대장대보를 사임한 후 선수회사를 설립, 제일국립은행과 삼정조를 원조하는 후견 활동을 하였다. 1875년 12월 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