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일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46)
- 정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내용] 문종 관제에는 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 등 삼사(三師)와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 등 삼공(三公), 내직(內職)으로 귀비(貴妃)ㆍ숙비(淑妃)ㆍ덕비(德妃)ㆍ현비(賢妃)...
- 정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 7월 문산계(文散階)‧무산계(武散階)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특진보국숭록대부...
- 祿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01 祿俸 관직 正一品, 月支米八十八石, 一年則一千四十八石, 二千石, 斗石, 從九品, 月支米五石, 祿寡 皇朝, 漢, 宋 J_03_01_04 지봉유설 3권 1장 4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3권 1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장축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고 기러기를 주고받는 의식인 전안(奠案)을 치르므로 집사관의 하나인 집안자(執雁者)가 필요하였다. 一禮文內納采正使正一品副使正二品傳敎官承旨典儀通禮院官協律郎掌樂院官謁者參外掌畜者掌苑署官儐者參外掌次者典設司官納徵正使正一品副使正二品傳, (가례1727/042ㄱ05~0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領經筵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33 領經筵 관직 判中樞府事, 相臣, 立朝最久, 年高有學, 從一品, 陞秩, 勸講, 特陞, 正一品, 時任議政, 議政, 原任大臣, 兼帶, 非舊制, 舊制 明廟 申光漢, 沈連源, 尚震 J_04_01_02 지봉유설 4권 1장 2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0)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上)_章京 哨官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품 副 버금 正一品 正一品 從一品 從一品 誥命 가 俸祿 녹 錢糧 뇨편명1768_몽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357 B06935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十年(1479) 閏十月 성종실록_11010108_007 ○ H010404]東萊君鄭蘭宗爲館伴。 初以領中樞府事李克培爲館伴, 政府啓: “正一品爲館伴, 非古例。” 故改之。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名 李載冕, 1845~1912)가 공로가 있어 正一品 輔國崇祿大夫로 올린다는 내용으로 『李熹公事歷譯本』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東班官階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Link?DCI=ITKC_MP_0597A_1080_010_0010_2015_024_XML 024 正一品 ○相臣曰大匡輔國崇祿大夫。○宗親曰敦宗輔國崇祿大夫。○勳臣ㆍ戚臣曰同休輔國崇祿大夫。【元勳ㆍ儀賓ㆍ國舅同】 臣謹案 原制,每品各具二資,故輔國爲正一品之第二資。今擬每品只存一資,...권차명經世遺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거제군(巨濟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975 B017975 거제군 巨濟郡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11月 13日_009 任恭陵參奉, 主殿院電務課主事李祖承任昭慶園參奉, 正一品趙秉式命各宮事務整理委員長, 制度局參書官金鎔濟, 宮內府參書官徐廷岳, 正三品孫容悳, 正三品趙東浩, 正三品金秉勳, 六品金洛龜命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六品朴定圭 陞正三品四月六日 依願免本官 侍講黃時英 任侍講 六品鄭顯載以上五月二日 命特進官 正一品趙秉式五月五日게재일1905년 5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免本官 度支部主事金永逸 六月七日 依願免兼任掌禮 秘書丞徐相大 依願免本官 昭寧園守奉官韓鎭셜 命宮內府特進官 正一品李根命 兼任掌禮 秘書丞沈選澤 任 昭寧園守奉官方周燁 以上六月十七日게재일1907년 6월 21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內重四郞 任學部次官 俵孫一 帝室會計審査局長李鳳來 命奉常司提調 宮內府協辦金珏鉉 命帝室會計審査局長 命宮內府次官 鶴原定吉 宮內府特進官沈相薰 贈正一品大匡輔國崇祿大夫領敦寧司事 以上八月九日 主殿院主事金準植 公立振威普通學校敎員尹大善 公立振威普通學校副敎員朴斗永 免本官 以上八月十日게재일1907년 8월 13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東明王陵叅奉金尙燮 任崇善殿叅奉金顯禧 命掌禮院稽制課分書記郞林光勳 以上九月十四日 命宮內府特進官 正一品閔泳奎 依願免本官 裕陵叅奉金思洪 任裕陵叅奉閔兢植 以上九月十五日 正二品鄭顯英 正二品權膺善 命宮內府特進官 經理院技師金宅宗 主殿院警務官蘇允永 依願免本官 任主殿院警務官 九品李邦協...게재일1907년 9월 19일 | 기사분류관보
- 석마하연론찬현소(釋摩訶衍論贊玄疏) 2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粘葉裝 二帖 點本云正二位行權中納言兼太宰帥藤原朝臣季季仲依/仁和寺禪定一品親王仰遣使高麗國請來卽長治二年[乙酉]/五月中旬從太宰差專使奉請之同三年二□□□□之/建仁四年正月卄七日[酉時]於寶幢院一點了但/於點者未挍合本又有上宣[云云]/件本云於仁和寺轉輪院西住房書寫了三度挍了[云云]...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찬현소(釋摩訶衍論贊玄疏) 21 | 대표서명釋摩訶衍論賛玄疏 | 한글서명석마하연론찬현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정일품 / 正一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등급의 품계. 1392년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1품 상계는 특진보국숭록대부, 하계는 보국숭록대부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특진보국숭록대부는 대광보국숭록대부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1443년(세종 25) 12월
-
승경도놀이 / 陞卿圖─ [생활/민속]
였다. 사방으로는 이른바 외직인 8도의 감사·병사·수사, 주요고을의 수령을 배치하며, 중앙부의 첫 꼭대기에는 정1품(正一品)을, 그 다음에 종1품(從一品)을 차례대로 늘어놓아 맨 밑에는 종9품이 오게 한다. 벼슬자리의 수를 모두 다 써넣기도 어렵거니와 그렇게 하면 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