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인홍” 에 대한 검색결과 4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7)

사전(371)

  • 양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弘澍)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延安李氏)로 현감 사민(師閔)의 딸이다. 대북의 영수(領袖) ()의 처질(妻姪)이다. [내용]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아버지가 으로부터 배척당하자 서인편에 서게 되었고,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
    이칭별칭 군실(君實)| 순수(順受), 임천(任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5(중종 30)∼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정치가. [개설]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來庵). 합천(陜川) 출신. 희(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언우(彦佑)이고, 아버지는 건(健)이다....
    이칭별칭 덕원(德遠)| 내암(來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선조가 병이 들자, 이이첨과 함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라 청하여 선조의 분노를 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광해군의 근신으로, 벼슬은 영의정이다. 이이첨의 오른팔이다. 광해군의 포악함을 도와 변고를 만든다. 인조 반정이 성공한 후 잡혀 정형을 당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I3_S_0067 詩 시 命題, 呼韻, 貴顯, 志, 悲歌, 慷慨, 進取, 冠冕, 世絶, 士風 陜川 , 南冥 S_28_01_25 성호사설 28권 1장 25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8권 1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3)

  • 詩文門1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幼少時, 讀書於山寺. 有方伯適到, 夜聞誦聲, 訪之則是寡家稚兒. 異之邀至問: “汝能詩乎?” 仁弘遜謝. 方伯以塔邊矮松命題, 呼韻使作. 仁弘應聲曰: “短短孤松在塔西, 塔高松下不相齊. 莫言今日孤松短, 松長他時塔反低.” 方伯覺之, 嗟歎云: “他日必貴顯. 然志...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詩文篇]論文門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幼 幼: 연세대본(가)에는 없다.少時 時: 연세대본(나)에는 ‘詩’로 되어 있다. 讀書於山寺. 有方伯適到, 夜聞誦聲訪之, 是寡家稚兒. 與 與: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十二月。 以爲司憲府持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十二月。 以爲司憲府持平 29_207_206.jpg ○十二月。 以爲司憲府持平。 仁弘淸名, 居成渾之亞, 及拜是職, 士林望其來。 仁弘中路辭以疾, 不至。 ○以洪暹爲左議政。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2_027676 18241_2_2258 奎18241_2 明禮宮(1722) 전라도 해남현 花一面 전라도 해남현 花一面 40 40결 () ()
    자료번호18241_2_2258 [奎1824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_027677 18241_2_2259 奎18241_2 明禮宮(1722) 전라도 해남현 花一面 전라도 해남현 花一面 63 63결 () ()
    자료번호18241_2_2259 [奎1824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4)

  • ()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에 이어서 구술했다. 이런 정인홍의 일화는 합천 부근에 유포되어 있는 유화이다.*
    조사일시1982-01-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길우
  • 일화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곽재우 장군 전설이 더 나오지 않자, 이 마을과 비교적 가까운 초계 출신인 ‘정인홍’에 대하여 이야기해 달라고 하였더니, 비교적 소상하게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2-01-1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왕정효
  • 일화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에게 [설화 36]을 들은 뒤에 계속하여 ‘신반의 기우제’와 ‘족보덤’에 관한 사실을 들었다. 설화가 잘 나오지 않아 이곳과 가까운 합천 출신인 정인홍에 관해서 물었더니 그의 유년기 일화를 구술했다. 이 뒤에 동석했던 김정옥씨에게도 몇 편 설화를 구술시켜 보았...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정응진
  • 뱀의 앙갚음을 받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8-22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 제보자허달룡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821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大正7年~大正8年 1918―08―15 85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044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大正3年~大正4年 1914―12―28 112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0046 일본 熊本 第五高等學校 第五高等學校一覽 大正4年~大正5年 1915―12―17 119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熊本 | 학교명第五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791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3호 1936―10―30 115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내송리;음성군 원남면 연초경작자집회소 제1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558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94면 ; 조선 1918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1535(중종 30)∼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정치가. 희 증손, 할아버지는 언우, 아버지는 건. 조식의 수제자로서 최영경·오건·김우옹·곽재우 등과 함께 경상우도의 남명학파를 대표하였다. 1573년(선조 6) 학행으로 천거되어 6품직에 오르고, 1

  •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16∼17세기 조선의 문신이자 의병장 ()에 관한 인물설화. 설화는 인간과 자연의 대결에서 인간이 우위를 점하려던 시대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영웅이 무훈을 완성하기 위해서 해야 할 과제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용과의 전쟁, 악룡의 퇴치 등이었고

  • 남명문집 / 南冥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조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04년에 간행한 시문집. 1604년(선조 37) 제자 () 등에 의해 초판본이 간행되었으나 전해지지 않고, 『서애집(西厓集)』에 그 발문이 실려 있을 뿐이다. 1622년(광해군 14) 다시 이 중심이 되어

  • 도응유 / 都應兪 [종교·철학/유학]

    1574∼1639.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원량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선조대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최영경을 구호하고 오현의 문묘종사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1년(광해군 3) 이 이언적·이황을 배척하자 그 잘못을 반박하였고, 박이립 등이 정구

  • 신흘 / 申仡 [종교·철학/유학]

    1550년(명종 5)∼1614년(광해군 6). 퇴계 문인 회당 신원록의 아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였다. 1603년에는 조명으로『난중사적』을 찬진하였으며, 1611년에는 이 이황과 이언적의 출향을 주장하자 두 선생을 위해 당질 정봉과 함께「회퇴변무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