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인보” 에 대한 검색결과 1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4)

사전(1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원시조집(薝園時調集)』‧『담원문록(薝園文錄)』‧『담원국학산고(薝園國學散藁)』에 수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90년 건국훈장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담원전집(薝園全集)』 ...
    이칭별칭 경업(經業)| 담원(?園), 미소산인(薇蘇山人), 위당(爲堂)
  • 권봉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수환(王粹煥)ㆍ이병호(李炳浩)ㆍ왕재소(王在沼) 등 당시의 문사들과 문학적인 교류가 깊었으며 김천택의 『연암집』 간행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는 황현의 시맥(詩脈)을 이은 시인으로 ()는 그의 시풍을 평해, “세연토양지풍(?然土壤之風)은 수백 년 간...
    이칭별칭 경소(景韶),왈서(曰瑞)| 지촌(芝村)
  • 최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하였다. 10세 전후에 아버지와 가까이 지내던 박영효(朴泳孝)‧서재필(徐載弼)‧안창호(安昌浩) 등에게 사숙했고, 자라서는 최남선(崔南善)‧()‧이광수(李光洙) 등으로부터 지도와 조언을 받았다. 그리고 상면은 없었으나 신채호(申采浩)의 『조선...
    이칭별칭 해산(海山)
  • 이건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는 또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의 진보적 사상에 공감해 이건방과 함께 담헌(薝園)()의 스승으로서 양명학 사상을 그에게 전수했다. [평가] 는 이건승을 추모하는 글에서 “아! 생각건대 공께서는 맑은 절개를...
    이칭별칭 보경(保卿)| 경재(耕齋)
  • 송진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도의 앞날을 예언하였다. 1926년 3월 국제농민본부에서 보낸 3‧1절 기념사 관계로 『동아일보』가 제2차 무기정간을 당하고, 이때 주필로 징역 6월을 선고받았다.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와 유칙(遺勅)의 유작을 획책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이칭별칭 고하(古下)

단행본(1)

  • 저자 : 엄연석, 양일모, 강중기, 이원석, 한정길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본서는 19세기 말 이후 서기(西器)의 충격과 도전이 격화되던 시대적 전환기에 지식인들이 동도(東道)를 기초로 한 ’서기’의 수용이라는 소극적 대응으로부터 ’서도(西道)’까지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동서문명의 지평융합과 역전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고서·고문서(12)

  • 족종(族從) ()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당릉군유사징(唐陵君遺事徵)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경통지(東京通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933년에 간행된 경상북도 경주(慶州)의 지리지(地理誌)이다. 경주 유생들이 향교(鄕校)에 도청(都廳)을 설치하여 편찬하였고, ()와 최남선(崔南善)의 교열 보완을 거쳐 목판본 14권 7책으로 간행하였다. 경주는 신라 천년의 수도 서라벌이었고, 고려초기에...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통지(東京通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933년에 간행된 경상북도 경주군(慶州郡)의 지리지(地理誌)이다. 경주 유생들이 향교(鄕校)에 도청(都廳)을 설치하여 편찬한 다음, ()와 최남선(崔南善)의 교열 보완을 거쳐 목판본 14권 7책으로 간행하였다. 본서는 7책 가운데 제1책만 있는 영본(零本...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5 第十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부내면(府內面) 1684년 부내면(府內面) 第十四富平里 15 第十五統統首--- {統第一戶}---------------云年參拾參壬辰本蔚山父通政大夫弼永祖正兵石乙命曾祖正兵連守外祖通政大夫 -----------年貳拾玖丙申本慶州父正兵應上祖正兵應...
    연도_면이름1684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富平里

기초학문(10)

  • 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0969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0 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實學 연구의 맥락과 의 “依獨求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균, 게재일 : 2012
    42837 김진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實學 연구의 맥락과 의 “依獨求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의 눈에 비친 中國 明末淸初期의 知識人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8929 한국연구재단 한국 동서철학회 2008 의 눈에 비친 中國 明末淸初期의 知識人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爲堂 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영규, 게재일 : 2010
    42358 한영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0 爲堂 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위당 시문에 나타난 미의식과 ‘실심’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태옥, 게재일 : 2018
    16660 박태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18 위당 시문에 나타난 미의식과 ‘실심’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20)

  • 민세안재홍전집 : 移動講座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794 1948 12 12 1 1 移動講座 檀大主催로 신문 동아일보 2면 11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薛義植, 兪鎭午, , 移動講座 A19481212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先生〓記念講演會〓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28 1934 9 5 1 1 茶山先生〓記念講演會〓 八日中央基靑서 신문 동아일보 2면 11단 석간 기사 학술 간접자료 선집외 丁茶山, 新朝鮮社, 朝鮮學, , 文一平, 玄相允 A19340905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古英雄新認識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漢永, A19340911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지나문학논총 (5) 14 광고 및 판권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 지나문학논총 (3) 4 생명문제를 중심으로 한 자연과학의 일고찰 (1) 손재명 7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체육부주최 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기타자료(1)

  • 98. Korean Literary Men's ASS'N (Chun Chosen Moon Pil Ka Hyup Hoi):기록자료, 194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s, and United Nations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1945년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에 대해 전조선문필가협회의 지지 성명으로서 당시 회장 를 대신, 부회장 설의식이 1946년 5월 9일...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5)

  • / [교육]

    항일기의 한학자·교육자(1892∼?). 1912년 상해로 건너가 신채호·박은식 등과 함께 동제사를 조직하였다. 1936년 연희전문학교 교수가 되어 한문학·국사학·국문학 등의 강좌를 담당하였다. 1947년 국학대학 학장에 취임하였다.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자 행정

  • 현산문집 / 玄山文集 [문학/한문학]

    문인 이현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석인본. 저자는 학문과 강학에 평생을 바쳤다. 고문(古文)에 뛰어나 조긍섭(曺兢燮)·()와 당대에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이 책은 1968년 이성도(李聖道)가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 시문학파 / 詩文學派 [문학/현대문학]

    1930년대 <시문학(詩文學)>을 중심으로 순수시운동을 주도했던 유파. 박용철, 김영랑, , 변영로, 정지용, 신석정 등이 참여하였다. 시문학파의 시에서 은유와 심상이 비로소 제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 민족주의사학 / 民族主義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정면으로 대결하였던 민족진영의 역사학을 지칭하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박은식(朴殷植)ㆍ신채호(申采浩) 등과 1930년대 이후의 ()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

  • 육서심원 / 六書尋源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권병훈(權丙勳) 저, 등사본, 중동중학교(서울) 최규동(崔奎東), 1940년. 서문은 () 작성하였다. 구성은 서, 부수목록, 인용서적목록, 육서의례상하, 권1-27, 부록(6장), 별록(30장), 보편(색인)이다. 한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