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익하” 에 대한 검색결과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8(숙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자겸(子謙), 호는 회와(晦窩). 양(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보연(普衍)이고, 아버지는 천(洊)이며, 어머니는 심약명(沈若溟)의 딸이다. [내용]...
    이칭별칭 자겸(子謙)| 회와(晦窩)| 충헌(忠獻)
  • 병촉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연마를 지향한 자신의 가치관과 포부를 서술한 장편의 「영회(詠懷)」와 안성세(安聖世)ㆍ홍범구(洪範龜)ㆍ()ㆍ권두기(權斗紀) 등을 대상으로 지은 만시(輓詩) 등 다양한 제재의 시가 고루 실려 있다. 서(書)는 스승인 권상일ㆍ이유를 비롯하여 김성탁(金聖...
  • 가산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암문(暗門 : 누각이 없이 적에게 보이지 않게 만든 성문)‧수구문(水口門) 건물지 등이 남아 있다. 내‧중‧외성은 시대에 따라 따로 축성되었으며 1741년(영조 17) 관찰사 ()의 장계가 윤허됨에 따라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1640년에 내성...
    연계항목가산산성(架山山城)
  • 가산산성(架山山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41년(영조 17)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이명웅(李命雄), 이지형(李枝馨), 이만(李曼), 이세재(李世載), () [정의] 영남의 대표적인 관방처로 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를 두었던 경상북도 칠곡군 가사면 가산리에 소재한 산성. ...
    상위어산성(山城) | 동의어가산성(架山城) | 관련어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 팔공산(八公山), 금오산성(金烏山城), 천생산성(天生山城)
  • 박종덕(朴宗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되었는데, 이때 상소하여 ()의 승진을 비난함으로써 그와 분란을 빚었다. 그 해 3월 문학(文學)이 되었다가 다시 수찬을 거쳐 승지(承旨)가 되었는데, 이때 대간의 처벌에 반대하다가 체차(遞差) 당하였다. 다시 승지·대사간(大司諫)을 거쳐 곡산부사(谷山府...

고서·고문서(69)

  • 48174 B04817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12月 28日_008 ○以趙榮國爲執義, 金廷潤爲掌令, 李壽海爲持平, 李度遠爲副校理, 鄭純儉爲說書, 尹得徵爲司僕正, 韓啓朝爲肅川府使, 兪鴻觀爲大靜縣監, 爲副修撰, 金聖廈爲掌樂主簿, 李禎恒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2829 B062829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五年(1729) 十一月 영조실록_10511019_003 ○諫院【正言。】申前啓, 不允。 又啓: “前島配罪人尹志, 以賊商之子, 爲逆虎之黨。 其所締結斗昌, 密地陰謀之狀, 論以王法, 誅殛亦輕, 頃年聖上之特允島配 ....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615 B076615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三年(1737) 十二月 영조실록_11312002_002 ○以安相徽爲執義, 吳遂采、金尙魯爲校理, 朴師正爲吏曹參議, 洪昌漢、爲副修撰, 南泰良、宋敎明爲修撰, 李錫杓爲副校理, 具宅奎爲東萊府使。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今番沁留事言之, 都尉一出, 廟薦先屬, 越次玷資, 汲汲毋難, 臣竊慨然也。 之向來墨謗, 至今未息, 而投合成風, 駁難無人, 今日士氣, 可謂掃地。 關西島民, 與宮房相訟田事, 秋曹延拕, 經年不決。 宮房之與民相訟, 已非美名, 宜令停訟, 使宮房還退, 以示如傷之意。○批曰: “...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而守令非應旨陳弊, 則無上章之例, 故原疏退送, 而今尹得和, 若爲一番疏辨而上京, 則此時災邑, 一日離官, 誠爲悶切, 請令廟堂, 稟旨指揮矣。 蓋, 爲上番翰林, 而尹得和, 卽其下番也。 其時罷職, 尹得和削職, 削職則已離本館, 而罷職則無異時任, 故修史之役, 歸於罷職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역사/조선시대사]

    1688년(숙종 14)∼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자겸(子謙), 호는 회와(晦窩), 본관은 영일(迎日), 시호는 충헌(忠獻)이다. 1721년(경종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으로 예조참판‧도승지‧대사헌(大司憲)‧형조참판 등 조정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