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의번”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0(명종 1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위보(衛甫), 호는 백암(栢巖). 아버지는 의병장 세아(世雅)이다. [내용]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
    이칭별칭 위보(衛甫)| 백암(栢巖)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인제(崔仁濟)와 이일장(李日將)ㆍ정세아(鄭世雅)ㆍ()ㆍ이영근(李榮根)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을 수복하였다. 이어서 경주를 수복하기 위해 경상좌병사 박진(朴晉) 휘하의 부대와 연합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자 김성일(金誠一)의 장계로 그 자손에...
    이칭별칭 언홍(彦洪)| 노암(魯庵)
  • 근대신어 : 부정(否定)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4066 부정 바항 否定 肯對.事物을‘非다’又는‘無다’고斷定는것 긍정의 반대. 사물을 아니다 또는 없다고 단정하는 것 英國이果然印度을保有凖備가充分냐면吾人은否定치아니치못지라(大韓學會月報 7, 1908.9.
    출전現代新語釋義[文昌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판단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긍정(肯定)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6412 긍정 가항 肯定 否對辭이니그리다는것을許容는것 부정의 반대말. 그러하다는 것을 허용하는 것 崔綠東 現代新語釋義 文昌社 1922 12 13 肯定: 小林花眠, 新しき用...
    출전現代新語釋義[文昌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판단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3)

  • 同治 9年 閏10月 에게 내리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472 1328_01 同治 9年 閏10月 에게 내리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1.JPG 同治 9年 閏10月 에게 내리는 교지 敎旨 國王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同治 9年 閏10月 에게 내리는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473 1328_02 同治 9年 閏10月 에게 내리는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1.hwp HJ011 敎旨 贈通政大夫承政院左 承旨兼經筵參贊官成 均生員...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53 1459_01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차계장류, 계문 한자 고문서 HJ309.JPG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계문 判書 臣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54 1459_02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차계장류, 계문 한자 고문서 HJ309-1.JPG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55 1459_03 鄭世雅와 에 대한 예조의 계문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차계장류, 계문 한자 고문서 HJ309-2.JPG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의병장 세아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에서 승리, 이어 경주에 진격하여 싸우다가 좌장군 박진의

  • 정석달 / 鄭碩達 [종교·철학/유학]

    1660년(현종 1)∼1720년(숙종 46).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 부친 정시심과 모친 송시철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권숙의 딸이다. 정시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유장·이형상·정시한·이현일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며, 학문적 성장을 이루었다.

  • 정수번 / 鄭守藩 [종교·철학/유학]

    1580년(선조 13)~1621년(광해군 13). 조선 중기 무신. 고조는 정이휘, 부친은 정세아이다. 부인은 조희익의 딸이다. 형은 ‧정유번‧정안번이다.1598년(선조 31) 무과 급제 후 내금위장‧감포만호‧재포만호,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슬

  • 정호례 / 鄭好禮 [종교·철학/유학]

    1604년(선조 37)~1672년(현종 13). 조선 중기 무신. 조부는 정세아, 부친은 , 생부 정수번과 조희익의 딸사이에서 3남 중 2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1636년(인조 14)에 의병을 일으킨 명계 정호의, 동생은 삼휴정 정호신이다. 슬하에 아들로 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