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의림”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24)

  • 일신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1권 11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 및 간행연대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10에 시 294수, 서(書) 497편, 권11∼13에 잡저 8...
  • 근대신어 : 신모(新募)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3944 신모 사항 新募 唯其財時處分假令公債新募 오직 그 재정의 임시처분, 가령 공채를 신모(新募)함 兪致衡 憲法 미상 1907 125 금융
    출전憲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금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임시처분(臨時處分)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6651 임시처분 아항 臨時處分 唯其財時處分假令公債新募 오직 그 재정의 임시처분, 가령 공채를 새로 모집함. 兪致衡 憲法 미상 1907 125 행정 행위
    출전憲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공채(公債)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437 공채 가항 公債 唯其財時處分假令公債新募 오직 그 재정의 임시처분, 가령 공채를 새로 모집함 兪致衡 憲法 미상 1907 125 公債: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
    출전憲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금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원취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위도순(魏道純)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활자본. 1933년 위계룡(魏啓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이, 권말에 ()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부(...

고서·고문서(43)

  • 1894년 ()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94년(고종31)3월 29일에 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 스승이신 기정진선생이 돌아가신지 몇 년이나 되었는데도 아직 증시하는 일을 거행하지 못하고 있어서 일전에 월파 정시림과 논의하여 통문을 작성해서 사방에 알리려는 뜻으로 하사리의 기재형이 있는 곳에 보...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99년 ()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99년(광무3)1월 11일에 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노사집을 중간하는 일은 과연 세내에 끝마치지 못했는지, 그리고 그 비용은 어떻게 감당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연전에 형이 편지에서 칠송리에 조문하러 오는 길에 한 번 틈을 내어 들리겠다고 했는...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99년 ()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99년(광무3) 1월 24일에 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 노사집을 중간하는 일은 세내에 끝마치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근일에 다시 일을 시작했는지를 물으면서 자신은 1년 중 틈나는 때는 오직 연초의 며칠뿐인데 또 다시 여러 가지 근심 때문에 어긋나서...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99년 ()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99년(광무3)4월 2일에 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 대곡 김석구의 유묵은 마땅히 힘 닿는 대로 편집을 해야 하나 아직 못하고 있다는 것과 운재의 종형제가 여기에서 길을 떠난 지가 며칠이나 되었는데 용계 유기일과 화평하지 못한 것이 더 심해져서 다시는 합...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99년 ()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99년(광무3)4월 23일에 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 문집을 간행하는 일은 얼마나 끝마쳤는지, 일을 한지 오래되었는데도 끝내 당신을 외롭게 했으니 민망하다는 말을 하고 있다. 이어서 한쪽에서의 시끄러운 소문이 더욱 치성해져서 걱정인데 듣는 것이 있으면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845년(헌종 11)∼1910년(융희 4). 조선 말기의 유학자. 노사 기정진에게 유학을 배웠다. 스승인 노사의 문집 간행에 관여하였으며 스승의 학설을 옹호하는 글을 남겼다. 문집으로《일신재집》이 전한다.

  • 장성고산서원 / 長城高山書院 [교육/교육]

    주향(主享)되었으며, 김녹휴(金錄休)·조의곤(曺毅坤)·정재규(鄭載圭)·기우만(奇宇萬)·김석구(金錫龜)·()·이최선(李最善) 등의 위패가 배향(配享)되었다. 음력 3월, 9월 중정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 답문유편 / 答問類編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기정진이 지인들과 서찰로 나눈 학문적 내용을 분류해 엮은 문답서. 1891년(고종 28) 기양연(奇陽衍)·정재규(鄭載圭)·() 등의 문인들에 의해 목활자본으로 편집·간행되었고, 1902년 경상남도 단성의 신안정사(新安精舍)에서 목판본으로 중

  • 교채와유고 / 咬菜瓦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민백우의 시·서(書) ·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목활자본. 권두에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증손 영래(泳來)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시 50수, 서(書) 3편, 서(序) 2편, 발 1편, 제문 3편,

  • 노사집 / 蘆沙集 [종교·철학/유학]

    02년 목판본으로 중간되었다. 이 중간본은 초간본의 체재와 거의 같으며, ≪답문유편≫에 ()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문집 권1·2는 시, 권3은 소·사장(辭狀)·책(策), 권4∼15는 서(書), 권16은 잡저, 권17∼20은 서(序), 권21∼23은 기,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