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윤해”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3)

  • 서귀자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활자본. 1925년 9대손 준락(浚洛)과 10대손 주익(注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채헌징(蔡獻徵)의 서문과 권말에 준락ㆍ주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
  • 청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서원. [내용] 1752년(영조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포(柳砲)‧유달존(柳達尊)‧박눌(朴訥)‧이겸(李謙)‧유종인(柳宗仁)‧홍약창(洪約昌)‧남영(南嶸)‧()‧박성민(朴成敏...
  • 공자가어(孔子家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七十二弟子解), 본성해(本姓解), 종기해(終記解), 정론해()’, 그리고 마지막 제10권에는 ‘곡례자공문(曲禮子貢問), 곡례자하문(曲禮子夏問), 곡례공서적문(曲禮公西赤問)’ 등이 실려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왕숙이 거짓으로 꾸며서, 지은 것으로 보아왔다. 그...

고서·고문서(5)

  • 16645 B01664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3年 3月 21日_013 ○敎京畿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開城府留守·江華府留守金宇亨書。 王若曰, 咨牧十二, 虞, 分陝東西, 周家共理, 惟其治化所自, 必須愼簡爲先。 睠玆千里邦畿, 實是四方根本,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정면예산서 소화5년도지정면예산추가경정의건(논산군강경면)-회의록첨부 국가기록원 강경 회의록(會議錄) 회의록 1930년 08월 14일 坂上富藏(강경면장) 谷口豊太郞, 伊賀倭治, 小島又助, 廣瀨健次郞, 金良玄, 高相俊, 梁奉玉, , 丁興...
    대표표제어회의록(會議錄) | 건명소화5년도지정면예산추가경정의건(논산군강경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0년 08월 | 회의일14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다. 金應祖에게 수학하였으며, 1654년(효종 5)생원진사 양 시험에 합격하였고, 1660년(현종 1)식 년문관에 급제하였다. 사간원. 사간과 집의 등을 역임하였으며, 곧은 절개로 이름이 나서 嶠南三諫의 으뜸으로 불렸다. 鋤歸子鄭公行狀 25 (1553~1618...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였다. 書鋤歸子鄭公遺稿後 6 鋤歸子 (1553~1618)는 본관이 청 주요, 藥圃 鄭琢(1526~1605)의 조카로 약포 에게 훈도를 받고, 친족인 寒岡 鄭逑(1543~ 1620)에게 알려졌다. 장성하여 月川 趙穆(1524~ 1606) 문하에 나아가 가르침을 받...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있다. 당시 會合이 있었던 듯한데, 저자는 喪 中이라 참석하지 못하여 한스럽다고 하였다. 答鄭伯兪 10 (1553∼1618)에게 보낸 답장이다. 본관은 淸州, 자는 伯兪, 호는 鋤歸子이고 , 趙穆과 鄭逑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문사에 능하고 예법을 지켰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848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101면 38. 졸업생;4) 1907년 졸업생 (13명)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590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50면 46. 졸업생;4) 1907년 졸업생 (13명)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42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95면 37. 졸업생;4) 1907년 졸업생 (13명)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750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50면 9. 졸업생;4) 1907년 졸업생 (13명)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127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01면 37. 졸업생;4) 1907년 졸업생 (13명)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553년(명종 8)∼1618년(광해군 10). 부친은 정련, 숙부가 정탁이다. 어려서부터 문사에 능하고 예법을 지켜 월천 조목과 한강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영달을 구하지 않았으며, 벼슬은 참봉을 지냈다. 저술에 시문집《서귀자선생유고》가 있고, 함창의 청암서원에

  • 청암서원 / 淸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서원. 1752년(영조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포(柳砲)·유달존(柳達尊)·박눌(朴訥)·이겸(李謙)·유종인(柳宗仁)·홍약창(洪約昌)·남영(南嶸)·()·박성민(朴成敏)·이영갑(李英甲)·남근명(南近明)의 학문과 덕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