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윤영”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4)

  • 후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의 시문집. [내용] 16권 8책. 필사본. 1899년 아들 수용(秀容)에 의해 필사되었다. 서울의 정재길(鄭載吉)이 소장하고 있으며, 1994년 보고사(寶庫社)에서 상하 2책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서 심성이기론(心性理氣論)을 주기(主氣)의 처지에서 피력하였다. 1881년(고종 18) 유생들의 신사척사운동(辛巳斥邪運動)이 전국적으로 일어날 때 경기도에서는 유기영(柳冀榮)과 신섭(申㰔)이 소수(疏首)로 활동하였는데, 은 「척사만인소(斥邪萬人疏)」를 작...
    이칭별칭 군조(君祚)| 석화(石華), 후산(后山)
  • 위방집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편찬한 시무개혁서. [개설] 6권 3책. 저자의 문집인 『후산집(后山集)』에 수록된 연보에 의하면 1884년 완성한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일부 조항에서는 그 뒤에도 추개(追改)가 이루어지고 있어 만년까지 편찬 작업이
  • 화동연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편찬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 연표. [서지적 사항] 저자의 문집인 『후산집(后山集)』에 수록된 연보에 의하면, 1894년 봄에 이 책을 완성했다고 한다. 1893년 저자가 작성한 서문과 발문이 있다. 서술 체재...

고서·고문서(16)

  • 1897년 고창군수(高敞郡守) 보고서(報告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97년 9월 3일에 고창군수이 전라북도관찰사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고창군수는 관찰사의 감결에 의거하여 의송을 보내는 자는 원장두를 먼저 쓰고 그 도착한 일자와 결정한 개개의 내용을 써 주라고 한 감결이 이날 오시에 도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보고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實爲斯文 世道之幸也如胤之 負抱無以釋疑於諸君子 之後又安得如 台執事之善爲紹介 也此不問問亦後奈何 全生謂當歷晉 門屛撥忙草草不戩. 庚辰仲春念二 拜手. 鄙近兪盈德家有婚說於 尊門云然否此家世襲儉 雅鄙人所聞知者也妄以爲 結親於尊門甚是好事 執事以爲如何.
    분야문학 | 유형문헌
  • 6 第六統統首李莫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拾壹丁卯本김海父芿孫祖岑巖曾祖岳只外祖 김石乙巖本慶州妻김召史年陸拾壹丁卯本蔚山父春在祖海用曾祖大 宗外祖김德河本慶州等甲子戶口相准 第三戶 營馬淳年貳拾陸壬寅本坡平父尙東祖北實曾祖德守 外祖崔小斤本慶州妻朴召史年貳拾伍癸卯本密陽父今孫祖萬石 曾祖光瑞外祖鄭再云本東萊等甲子戶口相准 第...
    연도_면이름1867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亭子里
  • 9 第九統統首金萬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청양면(靑良面) 1765년 청양면(靑良面) 第十四狗足里 9 第九統統首金萬益 第一戶 業武金萬益年肆拾柒己亥本慶州父業武進雲祖業武福良曾祖通政順東外祖業武金榮業本金 海妻朴姓年伍拾丙申本密陽父業武震白祖業武忠巾曾祖業武而淸外祖通進本坡平率子龍億 年貳拾柒...
    연도_면이름1765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四狗足里
  • 10 第十統統首李完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온양면(溫陽面) 1774년 온양면(溫陽面) 第十光靑里 10 第十統統首李完白 第十統一戶 黃山道驛吏李完白年陸拾柒戊子本慶州父驛吏萬仲祖驛吏自民曾祖立伊外祖通芝本坡平妻金姓年伍拾 捌丁酉本金海父業武太右祖富枝二祖不知率女召史年拾捌丁丑率女召史年柒戊子等辛...
    연도_면이름1774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十光靑里

구술자료(1)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자는 0돌석, 0영봉, , 0석봉 등이다.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리가 본적인 0석봉은 면사무소에 일할 당시 나이가 높아서 기능보유자가 된 경우이다. 이 죽고 대담자 이종대 본인이 보유자가 되었다. 큰꽃춤을 추는 사람이 2명이고 그 외에 춤을 추는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종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833년(순조 33)∼1898년. 조선 말기의 유학자. 아버지는 현풍, 어머니는 강시면의 딸이다. 큰아버지 현택에게 입양되었다. 임헌회의 문인이다. 전우·신두선·심의윤·윤치중·서정순 등과 교유, 이항로학파의 김평묵·유중교·유시수·홍대심과도 교유하였다. 저서로는《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