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원용” 에 대한 검색결과 1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7)

사전(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3(정조 7)∼1873(고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석증(錫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계순(啓淳)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동만(東晩)이다. 어머니는...
    이칭별칭 선지(善之)| 경산(經山)| 문충(文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로대신으로, 철종이 승하하자, 조대비의 뜻으로 일시 정사를 행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문헌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1년(철종 2) ()이 우리 나라의 문물 제도를 모아 편찬한 유서(類書). [내용] 10권 5책. 필사본. 우리 나라 상고시대부터 조선조 말기까지의 모든 문물 제도를 유별로 나누어 망라하고 있다. 내용은 권1에 천...
  • 경산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경산(經山) ()이 입었던 19세기 후반의 복식과 그 부속품. [개설] 조복에 해당하는 적초의(赤綃衣) 3점, 청초의(靑綃衣: 中單) 1점, 상(裳) 1점, 후수(後綬) 1점, 패옥(佩玉) 1점, 폐슬(蔽膝...
  • 경산 의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민속문화재 제13호. 조선 후기의 문신 정원용(鄭元容, 1783-1873)이 입었던 19세기 후반의 복식과 그 부속품.
    정의중요민속문화재 제13호. 조선 후기의 문신 정원용(鄭元容, 1783-1873)이 입었던 19세기 후반의 복식과 그 부속품.[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eongsan Jeong Won-yong Uidae | MR표기Kyŏngsan Chŏng Wŏn-yong Ŭid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81)

  • 1847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47년 12월 16일, 판중추부사이 문안차 자산부사인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한 해가 지나가는데 상대방은 어떻게 지내고 환곡의 일은 어떠한지를 묻고 있다. 또한 당신의 자제들을 잘 가르치고 계시는지 물어보고 자신은 전 해에 누이의 상을 당해 매우 슬프다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 第十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온양면(溫陽面) 1774년 온양면(溫陽面) 第十光靑里 15 第十五統統首 第十五統一戶 幼學年參拾陸己未本東萊父學生彦邦祖學生碩祉曾祖厦柱外祖學生朴承緖本密陽妻 全氏年參拾陸己未籍慶山父學生壽益祖學生尙炳曾祖學生承業外祖成均進士權道樞本安東率奴西生...
    연도_면이름1774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十光靑里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1)

  • () 정정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자를 처음 방문, 어려서 들은 얘기들을 기억나는 대로 들려달라고 하자 마치 준비라도 해놨던 것처럼 선뜻 꺼낸 것이 이 얘기였다. 처음에는 ‘정원용’담을 곧장 했다가 그것만으로는 전체 얘기로서 부족함을 느꼈는지 더 거슬러 올라가 한미했던 ‘동래정씨’가 어떻게 해서 ...
    조사일시1981-02-21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 제보자양해준

신문·잡지(1)

  • 도자기, 청동, 뼈, 나무, 라전에나멜, 자수, 나무껍질 혹은 짚으로 만든 편물 등등의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커다란 완상용 자기 꽃병, 문갑, 걸상, 인민 건설이나 실화를 주제로 하는 교묘한 무늬나 회화로 장식한 원통형의 질그릇도 있다. 중국 거장들의 이 작...
    대표표제어쏘베트신보_1953_0212_03 | 책임주필야·이·까둘린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37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4면 ; 제7회 1937-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418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52면 - ; 소화11년 3월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885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66면 15. 제15회 졸업자 (1939년) ; 무안 제15회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56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2면 ; 대구부 明治町 2-31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932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5면 ; 대구부 明治町 2-31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3∼1873). 1821년 서북 지방에 괴질이 크게 민심이 흉흉하자 관서위유사가 되어 이를 진정시켰다. 1863년 철종이 죽자, 원상이 되어 고종이 즉위까지 국정을 관장했으며 실록청의 총재관이 되어 《철종실록》의 편찬을 주관했다. 저서로 《경산

  • 정승상회방연가 / 鄭丞相回榜宴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철종 때 해평윤씨(海平尹氏)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가사. 철종 때 원로 정치인이었던 경산(經山)()의 둘째 며느리의 친가 언니인 해평윤씨가 의 회방연을 보고 지은 것으로 알려진 송축가사이다. 작품 제목의 정승상은 영의정을 지낸 을 지칭하는

  • 금강산기 / 金剛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신 조성하(趙成夏)의 기행록. 1865년(고종 2) 조성하의 나이 21세 때 간행된 책으로 권두에 조두순(趙斗淳)의 서문, 권말에 ()·윤정현(尹定鉉)·박도빈(朴道彬)·민규호(閔奎鎬)의 발문과 후(後)가 있다. 첫 부분에 「금강산기」 25장과

  • 박옹집 / 泊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김좌근··조두순·윤정현·김병학·남병철 등 고관·명사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만용의 발문이

  • 박옹시초 / 泊翁詩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李明五)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晩用)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洪就榮)·김좌근(金左根)·()·조두순(趙斗淳)·윤정현(尹定鉉)·김병학(金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