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운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8)
- 정운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북파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 등이 돌아와 소북파인 유영경‧이홍로(李弘老) 등을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들은 소북파 제거의 공으로 위태롭던 사직을 안정시켰다고 하여 1612년(광해군 4) 공신에 책록되었는데 이들을 정운공신이라 한다. 처음 책정될 때...
- 정운공신(定運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운공신 정운공신 定運功臣 공신(功臣) 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輸誠結義奮忠效節定運功臣), 수성결의분충정운공신(輸誠結義奮忠定運功臣), 수성결의정운공신(輸誠結義定運功臣) 유영경(柳永慶), 소북(小北)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輸誠結義奮忠效節定運功臣), 수성결의분충정운공신(輸誠結義奮忠定運功臣), 수성결의정운공신(輸誠結義定運功臣) | 관련어유영경(柳永慶), 소북(小北)
- 형난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을 밝히지 않았다. 형난공신은 광해군 때 책록된 위성공신(衛聖功臣)‧익사공신(翼社功臣)‧정운공신(定運功臣)과 더불어 1623년 인조반정으로 대북파(大北派)가 몰락하면서 공신호가 삭탈되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
- 이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柳永慶)의 옥사에 깊이 관여하여 1613년에 정운공신(定運功臣) 3등에 책록되고 완계군(完溪君)에 봉하여졌다. 이어서 1614년 대사헌을 거쳐, 이듬해 이조참판이 되어 수선도감제조(修繕都監提調)를 겸하였으며, 김제남(金悌男)의 역모사건을 추국한 공으로 숙마(熟馬...이칭별칭 자성(子省)|완계군(完溪君)
- 공신(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평난공신(平難功臣), 호성공신(扈聖功臣), 선무공신(宣武功臣), 청난공신(淸難功臣), 위성공신(衛聖功臣), 정운공신(定運功臣), 익사공신(翼社功臣), 형난공신(亨難功臣), 정사공신(靖社功臣), 진무공신(振武功臣), 소무공신(昭武功臣), 영사공신(寧社功臣), 영국공신(寧...상위어작호(爵號), 훈장(勳章) | 하위어훈봉공신(勳封功臣), 정공신(正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종묘배향공신(宗廟配享功臣), 문묘배향공신(文廟配享功臣), 원훈(元勳),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 중흥공신(中興功臣), 개국공신(開國功臣), 정사공신(定社功臣), 좌명공신(佐命功臣), 정난공신(靖難功臣), 좌익공신(佐翼功臣), 적개공신(敵愾功臣), 익대공신(翊戴功臣), 좌리공신(佐理功臣), 정국공신(靖國功臣), 정난공신(定難功臣), 위사공신(衛社功臣), 광국공신(光國功臣), 평난공신(平難功臣), 호성공신(扈聖功臣), 선무공신(宣武功臣), 청난공신(淸難功臣), 위성공신(衛聖功臣), 정운공신(定運功臣), 익사공신(翼社功臣), 형난공신(亨難功臣), 정사공신(靖社功臣), 진무공신(振武功臣), 소무공신(昭武功臣), 영사공신(寧社功臣), 영국공신(寧國功臣), 보사공신(保社功臣), 부사공신(扶社功臣), 분무공신(奮武功臣) | 동의어훈신(勳臣) | 관련어감훈단자(勘勳單子), 공신연(功臣宴),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 녹권(錄券), 공신적장(功臣嫡長), 녹훈도감(錄勳都監), 공신도감(功臣都監), 충훈사(忠勳司), 충훈부(忠勳府), 공신교서(功臣敎書), 공신녹권(功臣錄券), 공신초상화(功臣肖像畫), 맹족(盟簇), 맹서문(盟書文),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공신도감의궤(功臣都監儀軌), 공신호(功臣號), 표훈원(表勳院), 기공국(記功局), 위훈삭제(僞勳削除)
고서·고문서(1)
- 금강록(金剛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업이 활발하다.로 길을 택해 드디어 이곳에 왔습니다.”라고 했다. 이 사람은 무신년(1608) 때부터 당시 권세 있는 사람들과 서로 친밀하게 지내며 정운공신록(定運功臣錄) 정운공신록(定運功臣錄) : 1613년에 유영경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이산해, 정인홍, 이이첨 등...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정엽(鄭曄)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정운공신 / 定運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광해군 때 소북파 유영경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처음 책정될 때는 정인홍·이이첨·이산해·이성 등을 포함하여 1등은 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 2인, 2등은 수성분충정운공신 5인, 3등은 수성정운공신 4인 등
-
형난공신 / 亨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뒤에 1등 2명, 2등 12명, 3등 10명으로 모두 24명이 녹훈되었다. 수공자로는 신율만 기록되었다. 형난공신은 광해군 때 책록된 위성공신·익사공신·정운공신과 더불어 1623년 인조반정으로 대북파 몰락하면서 공신호가 삭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