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용기”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2(철종 13)∼1907.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관여(寬汝), 호는 단오(丹吾). 경상북도 영천출신. 의병장 환직(煥直)의 아들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각지에 통문을 보내 ...
    이칭별칭 관여(寬汝)| 단오(丹吾)
  • 영천충효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천군지(永川郡誌)』(영천군, 1985) 영천 충효재 경북 영천시 자양면 충효동에 있는 재사 건물. 경상북도 기념물 제81호. 동엄 정환직과 부자의 충효정신을 추모하기 위하여 1923년...
    연계항목영천충효재(永川忠孝齋)
  • 윤기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8(고종 15)∼1917.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일명 무건(武建). 경상북도 청송 출신.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각지에서 항일의병이 궐기함에 이에 호응하여 ()를 중심으로 의병진의 구성을 준비할 때
    이칭별칭무건(武建)
  • 모충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고종 20)∼1960.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일명 준이(俊伊).?경상북도 청송 출신. 1905년 일제가 황제와 정부를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우리의 주권을 침탈하자 1906년 이에 분개하여 ()가 인...
    이칭별칭준이(俊伊)
  • 우영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0(고종 7)∼1963.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일명 영조(永祚). 경상북도 청송 출신.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된 뒤 1906년 5월에 ()가 영천(永川)에서 산남창의진(山南倡義陣)을 조직, 의병항쟁을 개시하자, 김일언...
    이칭별칭영조(永祚)

고서·고문서(14)

기초학문(1)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성과요인과 지속성장성 예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용기, 게재일 : 2012
    3942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경영학회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성과요인과 지속성장성 예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기타자료(2)

  • ;;하산문언;夏山文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361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6면 ;;하산문언;夏山文彦 경성부 통인정 135 제1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용기;朴容棋;신;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750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80-1면 박용기;朴容棋;신;新 제18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국방]

    1862년(철종 13)∼1907년. 한말의 의병장. 의병장 환직의 아들이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 강제체결되자 통문을 보내 일제의 침략상을 규탄하였다. 1907년 의병장으로 4백명을 거느리고 청하, 청송 등지에서 일본군 4명을 격살, 영천에서 일본 헌병 3명

  • 정환직 / 鄭煥直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의병장(1843∼1907). 토포사로 동학군을 진압하여, 태의원시종관이 되었다. 을사조약 이후 아들 가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가 순절하자, 정순기 등의 추대를 받아 삼남의병부대의 의병장에 올랐고, 포항·신령·청송 등지를 공격하여 일본군수비대에게 많은

  • 양제안 / 梁濟安 [역사/근대사]

    (李起燦)의병진의 중대장으로 허위(許蔿) 등과 청산·보은·괴산·청주·음성 등지에서 관군과 여러 차례 교전하였다. 1905년 대구에서 국권회복을 위한 국채보상운동을 벌였다. 1906년 ()를 중심으로 영남 지방에서 산남의진(山南義陣)이 결성될 때 상주·선산 지

  • 정진한 / 鄭鎭漢 [종교·철학/유학]

    1867년(고종 4)∼1947년. 한말의 의병. 영천의병장 환직의 재종질이다. 1905년 일제에 의하여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를 계기로 고종의 밀명을 받은 정환직은 아들 용기에게 거의할 것을 명하였다. 정진한은 이때 ·이한구·손영각 등과 함께 거의계획을 세우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