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옥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3)
- 정옥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5(태조 4)∼1447(세종 29).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삼가(三嘉). 자는 곤보(崑寶), 호는 경재(耕齋). 아버지는 증승정원도승지 사중(師仲)이며, 어머니는 임급(任伋)의 딸이다. [내용] 길재(吉再...이칭별칭 곤보(崑甫)| 경재(耕齋)
- 鄭玉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49 鄭玉良 인물 人性, 至孝, 河陽縣監, 退居, 鄕里, 葬祭, 朝夕上食, 祠堂, 白棗 三嘉縣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玉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128 鄭玉良 인물 白棗, 性至孝, 祠堂 孝子 D_11_07_29 대동운부군옥 11권 7장 2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7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卷十八 嘉善大夫行漢城府右尹鶴巖姜公行狀 (1) 姜碩龜(字: 洛瑞, 號: 鶴巖, 1726∼1810)의 행장이다. 贈左承旨行河陽縣監耕齋鄭公行狀 (6) 鄭玉良(字: 崑寶, 號: 耕齋, 1395∼1447)의 행장이다. 高山察訪鰲洲韓公行狀 (8) 韓克昌(字: 裕伯...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우왕 9)東堂試에 장원하였으나 會試에는 낙방하였고, 1386년(우왕 12)문과에 급제하였으나 1392년(태조 1) 조선이 들어서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하였고, 태조가 명성을 듣고 승정원도승지를 제수 하였다. 저자는 월곡의 아들 耕齋鄭玉良의 행장도 지었다. 通訓大夫蔚...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정옥량 / 鄭玉良 [종교·철학/유학]
1395(태조 4)∼1447(세종 29).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정사중, 어머니는 임급의 딸이다. 길재와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 박팽년·유성원·정창·이석형·정준 등과 교우가 두터웠다. 세종 때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봉직랑행하양현감에 임용되었으나 곧 향리에 은거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