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63)
사전(1,574)
- 정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왕이 거둥할 때 타는 가마. 국왕이 거둥할 때 타는 가마는 가마의 모양에 따라 연(輦)과 여(輿)로 구분된다. 지붕과 몸체가 있는 가마인 연은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사용되며, 이를 정연(正輦)[대연(大輦)]이라고도 한다. 정연외에 지붕이 있는 작은 가마를 하나 더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정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89(창왕 1)∼1444(세종 26).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중심(仲深), 호는 송곡(松谷). 아버지는 홍(洪)이며, 안평대군 용(瑢)의 장인이다. [내용] 1405년(태종 ...이칭별칭 중심(仲深)| 송곡(松谷)| 정숙(貞肅)
- 정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4(효종 5)∼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무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성원(聖源), 호는 사하당(四何堂). 아버지는 시석(時錫)이며, 어머니는 재령이씨(載寧李氏)로 상일(尙逸)의 딸이다. 8세 때 외할아버...이칭별칭 성원(聖源)| 사하당(四何堂)
- 정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정난공신 정현의 둘째동생으로, 추밀사이다. 문지와 덕행이 뛰어나 형이스승처럼 여긴다. 여씨부인과의 사이에 5자 1녀를 낳는다. 딸이 없어 아쉬워하던 중 여씨부인이 꿈을 꾸고 몽홍을 낳는다 이관성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찾아가 몽홍과 혼인시킨다. 몽홍이 집으로 오자 유모...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정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란 때 정포 만호이다. 청나라 군사가 강화로 공격해 오자 덕포 첨사 조종선과 함께 선봉이 되어 적의 배 한 척을 격침시킨다. 다시 나가 싸우려 하나 장신이 퇴군시켜 후퇴하여 돌아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5)
- 조선왕실의 풍정연향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김상보...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전자산업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박기주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40311전자산업은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산업이고 첨단산업이어서 선진국의 기술 보호가 심하고 기술이전이 쉽지 않은 산업이다. 후발국인 한국은 아주 단기간에 선진국의 기술을 추격하고 마침내 전자산업의 주요 부문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지위에 올랐는데, 이는 한국경제가 보여 준 놀라운...
- (조선시대 궁중회화 1) 왕과 국가의 회화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5.9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회화의 세계 (1) 궁중회화를 이해하는 첫걸음 (2) 왕실의 안위와 계승 - 어진, 공신상 (3) 국정의 운영과 실용 - 각종 시각적 문서와 실용화 (4) 기록과 보존 - 도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 장식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장식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동궁과 교육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10.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조선시대 화원과 궁중회화 (1) 화원, 궁중회화를 탄생시키다 (2) 화원의 신분과 생활 여건 (3) 화원제도의 운영과 변천 (4) 화원의 시험과 선발 (5)
논문(2)
- 韩国天然气进口最优方案的实证研究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崔文(延邊大學), 金华林(延邊大學:교신저자)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 게재일 : 2013.12한국 천연가스수입최우방안의 실증연구 (최문, 김화림) 이 글은 한국의 천연가스 수입 절차와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거기에 발생하는 장점과 단점을 소개하고 있는 논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한국의 천연가스 수입수량과 방안이 중국 천연가스의 친환경건설과 여러 안전문...유형논문
- 韩国中小企业全球供应链伙伴关系的水准及绩效的实证研究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文华(延邊大學) | 게재정보 : 동강학간 29권 3호, 게재일 : 2012.7한국중소기업글로벌供应链伙伴关系的수준과 실적의 실증연구 (문화) 이 글은 글로벌 供应链 파트너십의 영향이 기업의 경쟁력에서 중요한 부분임을 밝히고, 한국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부동한 변수가 글로벌 供应链 파트너십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한 논문이다. ...유형논문
고서·고문서(2,247)
- 종정연표(從政年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永保亭宴游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10_0120 永保亭宴游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物門2_貞燕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貞燕 黃參判 應奎有側室崔氏, 有賢行. 有雙燕巢于戶外, 其一死於猫, 一燕繞巢悲啼. 秋而去, 春又獨來, 崔後寡而移居, 燕亦隨而往. 營巢甚窄, 容半身, 穴其底, 終無雌雄卵育之意. 他燕至, 則輒逐之; 惟崔喚, 則下集掌上. 如是者, 十有餘年. 余聞之曰: “此貞燕也. 昔元人馮子...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질서정연하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질서정연하여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동녕현(东宁县) 동녕진 민악남 사도가 24호 11 10 질서정연하여, 경제동물,...대표표제어질서정연하여 | 성씨김
- 정연(鼎延)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구술자료(167)
- 정연락 인터뷰_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정연락 인터뷰_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12월 20일 DH_02_PI_정연락_171220.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정연락 인터뷰_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정연락 인터뷰_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1월 9일 DH_02_PI_정연락_180109.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정연락 인터뷰_003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정연락 인터뷰_003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1월 10일 DH_02_PI_정연락_180110.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정연락 인터뷰_004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정연락 인터뷰_004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1월 11일 DH_02_PI_정연락_180111.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정연락 인터뷰_005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정연락 인터뷰_005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7월 25일 DH_02_PI_정연락_180725.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327)
- 宋詩形成過程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용준, 게재일 : 200008451 송용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 宋詩形成過程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성복, 게재일 : 201239488 박성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嘉靖年間 東南沿海社會와 月港의 開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지선, 게재일 : 201453345 한지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14 嘉靖年間 東南沿海社會와 月港의 開放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흔적 읽기로서의 번역과정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혁, 게재일 : 201137172 김재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헤세학회/한국헤세학회 2011 흔적 읽기로서의 번역과정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표정연출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봉수, 게재일 : 200840886 하봉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학회 2008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표정연출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706)
- 叅政演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셔 작일회의 항은 이우에말바와갓거니와 참정대신 박졔슌씨가 그회의셕에셔 각대신을야 장황연셜얏다난 그의를 들은즉 금번리군대의 쳬임된 실은 황상폐하 셩의에도 진로신바잇고 이등통감이 신임치못 인물로 상쥬바잇셔 그럿케 쳬임되얏거니와 기외 각부대신...게재일1906년 1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議政筵 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셩신보를 거즉 의졍대신 리근명씨가 일젼에 다셧지 죠건을상 쥬얏는(일은)벼살을 돈밧고 시키지 말일이오 [이는] 긔도는 무당을 혁파일이오(삼은) 쓸업는 토목지역을 파일이오[는)무명잡셰를 혁파일이오(오는] 구실의 가결는일을 혁파일이라더라게재일1903년 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溪亭宴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일 하오한시에 챵의문밧 심계동 뎡에셔 상동 쳥년회원들이 로온 동양지휘춍감독하리스박 위야 유지인을만이 쳥고 환연회 셜난 강화육영학도 학원들도 참여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察定煉瓦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대신 민영긔씨와 협판 류뎡슈씨벽돌졔죠소 긔디를 획뎡기 위야 작일상오에 등디에 츌왕얏다가 하오륙시경에 입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憲政硏究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윤효뎡 심의승 졔씨가 헌졍연구회 셜시고 일젼에 회원을 조직얏난 회쟝은 쟝긔렴 부회쟝은 리쥰 평의쟝은 윤효뎡 무쟝은 심의셩 졔씨인데 그목뎍은 헌법졍치학을 번역도고 강론도기로 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135)
- 정연;鄭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0621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59면 6. 생도;2) 제2학년;(2) 특과 정연;鄭演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연;鄭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347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59면 6. 생도;1) 제3학년;(2) 특과 정연;鄭演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연;鄭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2985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92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구령에 따른 졸업생;(6) 제6회(1922년 3월 졸업) 29명 정연;鄭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연;鄭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1995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76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구령에 따른 졸업생;(6) 제6회(1922년 3월 졸업) 29명 정연;鄭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연규;鄭然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연규;鄭然奎 경상남도 하동 소화5년 3월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6)
-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완우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7 | 국내 | 경기
-
아시아와 한류-인문콘텐츠를 통한 해외 한국학 교재 개발 및 출판 계획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상환 | 성균관대학교 | 2010 | 국내 | 서울
-
단(壇)을 통해본 조선의 정치이념과 현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지연 | 대전대학교 | 2019 | 국내 | 대전
-
한국학 전공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Eunsook Yang |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University of Complutense Madrid) | 2021 | 국외 | 해외
-
한국 근현대의 학문 형성과 계몽 운동의 가치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허재영 | 단국대학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8)
-
정연 / 正輦 [생활/주생활]
국왕이 거둥할 때 타는 가마. 국왕이 거둥할 때 타는 가마는 가마의 모양에 따라 연과 여로 구분된다. 지붕과 몸체가 있는 가마인 연은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사용되며, 이를 정연또는 대연이라고도 한다. 정연외에 지붕이 있는 작은 가마를 하나 더 가지고 다니는데 이를
-
심정연 / 沈鼎衍 [종교·철학/유학]
미상∼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의 모반자. 중량 손자,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처형된 성연·익연의 동생이다. 1755년 2월에 나주의 벽서사건을 수습하고 3월에는 이미 처형된 김일경 등에게 역률을 추시한 후 5월에 춘당대에서 토역정시를
-
임화정연 / 林花鄭延 [문학/고전산문]
하는 인간형도 등장시켜 악인도 선인과 공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보다 사실적인 필치를 보여주는 걸작이다. 「임화정연」은 「쌍성봉효록」과의 연계적 연구로 양자가 연작소설이라는 설이 제의되었다.
-
정년제 / 停年制 [사회/사회구조]
정규직원이 일정한 연령이나 정해진 근무기간에 달하면 직장에서 자동적으로 퇴직시키는 제도. 종업원이 장기간 근속하여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거나, 일정한 기간 동안 승진하지 못하고 동일 계급에 머물 경우 자동적으로 퇴직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정년퇴직 제도에는 미리 정해진
-
대연 / 大輦 [정치·법제]
왕과 왕비의 가장 큰 가마. 가마를 지칭하는 말로 연(輦)과 여(輿)가 있는데, 연은 지붕이 있는 가마이고, 여는 지붕이 없는 가마이다. 궁궐 안에서는 여를 타지만 정전 바깥으로 나갈때에는 지붕이 있는 가마인 연을 이용했다. 연은 국왕ㆍ왕비ㆍ왕세자의 연이있고, 국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