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언유” 에 대한 검색결과 1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0)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7(숙종 13)∼1764(영조 4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임종(林宗), 호는 우헌(迂軒). 유징(有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주(匡周)이고, 아버지는 참봉 운서(雲瑞)이며, 어머니는 이정흥(李...
    이칭별칭 임종(林宗)| 우헌(迂軒)
  • 송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수대(李遂大)의 시문집. [내용] 상ㆍ하 2권 1책. 목판본. 아들 민현(民顯), 외손자 () 등이 편집하여 1860년(철종 11) 6대손 백배(0x9651培)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내주(鄭來周)ㆍ김이만(...
  • 김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文)」‧「조헌순의비문(趙憲殉義碑文)」‧「신숭겸충렬비문(申崇謙忠烈碑文)」‧「격묘비문(格墓碑文)」 등 다수의 작품이 전하고 있다. 저술로는 『남창잡고(南窓雜稿)』가 있다. 『남창잡고(南窓雜稿)』 『지봉집(芝峯集)』 『근역...
    이칭별칭 여경(餘慶)| 남창(南窓)
  • 사약방(司鑰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던 곳. [내용] 사약 외에도 대간(臺諫)이 왕에게 보고할 일이 있을 경우 대기실로 사용하였으며, 여러 명이 대기할 때는 숙장문(肅章門) 밖에서 장막을 치기도 하였다. [용례] 司憲府掌令楊熙止司諫院崇祖來啓曰 臺諫一員獨來啓事 則雖處司鑰房猶可矣 若兩司會...
    관련어사약(司鑰), 대간(臺諫), 계사(啓事)
  • 조명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듬해부터 헌납ㆍ겸문학ㆍ헌납ㆍ부응교ㆍ집의ㆍ응교ㆍ승지 등을 거쳐 1739년(영조 15)에는 경상도관찰사로 제수되었으나 전랑으로 임명될 당시 사사로운 청탁을 문제삼은 장령 ()의 탄핵으로 사직소를 올려 사양했다. 이듬해 대사간에 제수되었다...
    이칭별칭 백익(伯益)

고서·고문서(161)

  • 43427 B043427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0年 11月 12日_062 ○時模所啓,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3367 B043367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0年 11月 12日_062 ○時模所啓,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841 B050841 도거 島居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31年 11月 30日_020 ○以忠淸水使申本, 京畿西江栗島居船人全同等渰死事, 令于曰, 渰死人等, 令本道恤典擧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6530 B046530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9年 3月 22日_013 ○?啓曰, 請大靜縣爲奴罪人金壽賢, 更令王府, 設鞫嚴問,依律處斷。 請爲奴罪人河翼龍·金重得, ?令王府, 設鞫得情, 快正王法。 請大靜縣定配罪人聖中, ?令王府, 設鞫嚴問, 期於得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6539 B046539 대정현 大靜縣 도서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9年 8月 15日_034 ○?啓曰, 請大靜縣爲奴罪人金壽賢, 更令王府, 設鞫嚴問,依律處斷。 請爲奴罪人河翼龍, ?令王府, 設鞫得情, ?正王法。 請大靜縣定配罪人聖中, ?令王府, 設鞫嚴問, 期於得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64). 1721년(경종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좌랑·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헌납을 지내던 중 서슴없이 직언하여 왕의 노여움을 사는 등 성격이 강직하였다.

  • 탐라별곡 / 耽羅別曲 [문학/고전시가]

    1750년경에 제주목사 (, 1687∼1764)가 도내를 순방하고 지은 기행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총 120행으로 이루어진 장편 가사 작품으로, 기(起)-승(承)-전(轉)-결(結)의 4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사는 크게 제주의 역사·지리적

  • 택리지 / 擇里志 [지리/인문지리]

    1751년(영조 27) 실학자 이중환이 현지 답사를 기초로 하여 저술한 우리 나라 지리서. 1책. 필사본. 조선광문회에서 이중환 찬, 최남선 교로 민제호 장본에 의거하여 1912년에 신활자로 인쇄, 간행하였다. 내용은 1753년에 쓴 의 서문이 2면에 걸쳐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