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93)
사전(756)
- 포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정양(鄭瀁)의 시문집. [내용] 8권 2책. 활자본. 1913년에 10대손 운호(雲灝)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학수(金鶴洙)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운호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 정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심신을 고요히 하여 요양함. 정(靜)은 대개 벼슬하다가 쉬는 경우에 쓰는 표현. 伏惟亢炎 老兄靜養體事萬旺 允玉安侍 面面充善 大少各節 勻謐竝用勞仰罔任, 김재정(金在鼎), 31-11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정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평안함, 건강함. 정(靖)은 정(靜)의 뜻. 謹未審秋暮靖養氣體候一向康旺, 왕수환(王粹煥) 외, 37-6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정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1423년(세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좌사간대부를 지냈다. 경시서주부를 지낼 때 세종의 명을 받아 예문관대제학 유사눌(柳思訥), 집현적대제학 정인지(鄭麟趾), 봉상판관 박연...
- 정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고대방(典故大方)』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정양(1600-1668) 1600(선조 33)∼1668(현종9). 조선 후기의 문신....이칭별칭 안숙(晏淑)| 부익자(孚翼子), 포옹(抱翁)| 정절(貞節), 문절(文節)
논문(1)
- 고고현상의 空間性에 대한 定量的 理解: 靑銅器時代 石製道具 분포에 대한 連續・多層的 分析을 기초로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崔鎭武 | 게재정보 : 고조선단군학
고서·고문서(2,100)
- 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069 창가 世界名曲通俗唱歌集 22147 1926 姜義永 永唱書舘 姜義永 權泰均 打鈴 〈mn〉오선보, 가사 없음〈/mn〉 〈#46〉 〈o〉가사 없음〈/o〉 〈f〉 終 〈/f〉구분창가 | 편저자姜義永
- 방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526 잡가 申五衛將本集 四 13021 방打鈴 [22] § 하날 우의, 白玉樓, 달 가운, 廣寒殿, 舜임군의, 南薰殿, 周文王의, 靈臺이며, 魯나, 靈光殿, 漢나 未央宮, 萬古天地, 셰여보면, 죠흔 宮闕, 만컨마는, 扶桑古國, 三千里요,구분잡가
- 서울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1012 신민요 C.171―A, C.171―B 1934년 시에론 레코드 서울打鈴 〈a〉李孤帆 作詩〈/a〉 〈co〉金月新 作曲〈/co〉 〈s〉金彰培, 崔香花 南宮仙〈/s〉 〈b〉伴奏 시에론 管絃樂團〈/b〉 [ 1, ] 남산에 청송 북악에 두견구분신민요
- 丹楓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1015 신민요 C.204―A 1934년 시에론 레코드 丹楓打鈴 〈a〉李孤帆 詩〈/a〉 〈co〉金曙汀 曲〈/co〉 〈s〉金聲波, 金允心〈/s〉 〈b〉伴奏 시에론 管絃樂團〈/b〉 [ (1) ] 추구월 때도 조타 풍년새 울어 산들바람에 단풍이 드...구분신민요
- 唱夫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855 잡가 19043(A)―A, 19043(A)―B 포리돌 唱夫打鈴 申海中月 大琴 金桂善 長鼓 金玉葉 [2] 아― 얼시고 얼시고 저얼시고 花爛春城萬化方暢(화란츈성만화방창) 는 조타 번님네야 山川景槪求景(산천경개구경)을 가세 竹杖(죽장)을 잡고...구분잡가
구술자료(13)
- 가문에 먹칠 않고 딸 개가시킨 정양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시 고광옥 제보자에게 얘기를 잘 하시니까 이리로 모실터이니 가서 얘기하자고 했더니 “하나 허까□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해 그곳에 모인 청중 모두가 웃음을 터뜨렸다. *조사일시1984-03-26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주암면 | 제보자고광옥
- 엄씨가 안 먹는 정양리 잉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어, 잉어가 대개 보은도 해 주고 뭐 그러 하는데, 보은 설화 이런 거 있으면 얘기를 하나 해 주시죠.”라고 하자 다음과 같이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박영국
- 통영검무 악사 대담조사 ④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I-320A.mp3 mp3 이보형 김진규 1937-05-29 남자 경남 통영시 정양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진규
- 통영검무 악사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김진규 1937-05-29 남자 경남 통영시 정양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진규
- 통영검무 악사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5-29 남자 경남 통영시 정양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진규
기초학문(15)
- 일가정양립지원 정책 목표와 대상 간 정합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은정, 게재일 : 201230212 김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족학회 2012 일가정양립지원 정책 목표와 대상 간 정합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대만의 일‧가정양립정책과 기업 및 가정의 대응- 모성보호 및 영유아보육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아, 게재일 : 201716181 이경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17 대만의 일‧가정양립정책과 기업 및 가정의 대응- 모성보호 및 영유아보육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7
- 初期中国仏教における小乗仏教の受容について-吉藏の正量部に對する解釋をとし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21097 한국연구재단 일본인도학불교학연구회 2011 初期中国仏教における小乗仏教の受容について-吉藏の正量部に對する解釋をとし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아동 양육기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근로지속의사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은아, 게재일 : 201430073 정은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아동 양육기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근로지속의사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아동양육 취업여성의 근로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과 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 집단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제희, 게재일 : 201430091 손제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생활과학회 2014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아동양육 취업여성의 근로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과 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 집단비교 https://www.krm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01)
- 義王靜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친왕뎐하셔 금일부터 일본뎨실에 졉을 양고 상근에 젼왕야 잠시한양실터이라더라게재일1906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鄭養浩(鄭養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養浩(鄭養浩) 서울 鄭養浩 鄭養浩 大興町 471 금융 - 금융 - 3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鄭養浩(鄭養浩)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川井亮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川井亮吉(-) 부산 川井亮吉 - 富平町2-56 - - 주선(周旋) - -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川井亮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주선(周旋)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山本玉子(精養軒)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山本玉子(精養軒) 부산 山本玉子 精養軒 大廳町1-47 - - 요리 - 154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山本玉子(精養軒)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任學宰(三井洋服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任學宰(三井洋服店) 서울 任學宰 三井洋服店 黃金町 1-55 복장품 - 양복 조제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任學宰(三井洋服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양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107)
- 정양신;鄭良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958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8면 정양신;鄭良信 전남 順天;高陽郡 연희면 창천리 80 재학생 제2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양숙;鄭亮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정양숙;鄭亮淑 경상남도 창녕 소화12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양택;鄭洋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30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0면 (학과)본과신제도 정양택;鄭洋澤 경성부 17회 193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양숙;鄭陽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608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6면 (학과)본과신제도 정양숙;鄭陽淑 경성부 다옥정 75 19회 1941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양규;鄭良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56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8면 정양규;鄭良奎 제9회 1938년 9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근대 조선 다크투어리즘과 계몽의 파레시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철우 | 동의대학교 | 2019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32)
-
정양 / 鄭瀁 [정치·법제/법제·행정]
1600(선조 33)∼1668(현종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할아버지는 철(澈)이고, 아버지는 강릉부사 종명(宗溟)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참의 인걸(仁傑)의 딸이다.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동몽교관에 제수된
-
박정양 / 朴定陽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대신(1841∼1904). 외교가. 주미 조선공사. 독립협회 창설 관여. 1866년(고종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요직을 두루 거쳤다. 주미전권공사에 임명되어 미국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고 만민공동회에 참석하였다.
-
정양음 / 靜養吟 [문학/고전시가]
조선 전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죽계지(竹溪誌)』 초간본 권1 행후록(行後錄)에 한역가와 더불어 수록되어 있다. 청유형(請誘形) 종결어미를 여러 차례 반복서술함으로써 작자가 독자에게 주장을 설득하고 권고하는 교술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어 훈민가(訓民歌) 계통
-
마정량 / 馬廷亮 [정치·법제/외교]
?-? 청말 외교관. 주한 청국 총영사.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자 청국은 주한 공사 증광전을 철수시켰다. 1906년 6월 마정량은 주한 총영사로 부임하였다. 마정량은 이후 3년 동안 총영사직을 수행하면서 주로 청국 상인 보호에 노력하는
-
박정양시장 / 朴定陽諡狀 [정치·법제]
조선후기의 대신 박정양(朴定陽)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8년(융희 2) 7~8경 이근명(李根命)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박정양과 친구 사이이던 원임의정부의정대훈 이근명이 지었다. 이 시장의 작성 시기는 문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박정양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