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약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45)
- 정약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 『한국천주교회사』(달레 원저, 최석우‧안응렬 역주, 분도출판사, 1980) 정약종(1760-1801) 1760(영조...이칭별칭아우구스티노
- 정약종(丁若鍾)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약종 정약종 丁若鍾 천주교도 인물 한국 조선 정조~순조 홍연주 박종국 2013 양반 남자 1760년(영조 36) 1801년(순조 1) 2월 26일 나...
- 최필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들에 대한 체포령이 내려져 1800년 12월 17일 제일 먼저 체포되었다. 이듬해 4월 8일 정약종(丁若鍾)ㆍ이승훈(李承薰) 등 5명의 교인들과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일성록(日省錄)』이칭별칭토머스
- 경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헤아려 총 43행의 짧은 노래로, 4‧4조가 주조이다. 작자가 두 사람인 셈이나, 사상사적 중요성으로 보아 흔히 이가환이 작자로 불린다. 이가환은 1783년(정조 7) 그의 생질인 이승훈이 북경에 가서 영세를 하고 돌아와 이벽(李檗)‧권일신(權日身)‧정약종(丁若...
- 황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75(영조 51)∼1801(순조 1). 초기 천주교회의 신자‧순교자. [내용] 세례명은 알렉산데르, 자는 덕소(德紹). 한림학사 석범(錫範)의 유복자로 강화도에서 태어났다. 정약종(丁若鍾)을 사사하였다. 1790년(정조 14) 16세...이칭별칭 덕소(德紹)|알렉산데르
고서·고문서(7)
- 幼年必讀釋義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學術과 工藝ᄅᆞᆯ 盛稱ᄒᆞ고 仁祖時에 使臣이 回奏ᄒᆞ되 西人의 學이다 天人의 道라 其立敎가 孔, 孟과 無異ᄒᆞ고 生死의 理ᄂᆞᆫ 佛法과 近ᄒᆞ다 ᄒᆞ고 仁祖時에 鄭斗源, 金堉等이 明에 使ᄒᆞ얏다가 歐洲의 書籍과 器械等을 携歸ᄒᆞ니라 其後正祖時에 李惠寰, 李康寰兄弟及丁若...서명幼年必讀釋義 | 자료명第十九課 本朝歷代[十四]
- 추안급국안 : 신유년(1801, 순조 1) 사학(邪學) 죄인 이가환(李家煥)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一事右袒邪學罔念國恩之狀可以推知寧不萬萬痛惡更 良推問爲去乎毋敢如前矣身迷溺之實狀次次敎授爲幾人 愚夫愚婦之所以易惑之術一一直告供曰凡看文字所見各 異或有惑溺者或有恠駭者矣身所見以其恠駭也故刀割還冊 是白乎所以恠駭之所見豈知惑溺人之心乎至於敎授之爲 幾人矣身亦嘗排斥何可敎人是白乎旀近未聞之則丁若鍾...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5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신유년(1801, 순조 1) 사학(邪學) 죄인 김여(金鑢)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敢當當稱之曰奉敎人耳所交之搢紳士夫向 日於捕廳招及禁府招已盡之矣今若重新上白則洪樂敏於 乙卯三人被殺前相見於桂生洞崔瑪弟亞家權相文黃嗣永 又有前日未上白之二人韓永益權哲身又丁若鍾及其子之 岳父洪姓人名不知又洪之子亦不知其名其餘或有無顯名 士夫見而不能記憶者有之矣非不欲告也問曰怨國之徒必 以洪時浩爲...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5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幼年必讀釋義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ᄒᆞᆯ 際에 朝鮮使臣이 支那로브터 還ᄒᆞ야 盛히 西人의 學術工藝ᄅᆞᆯ 稱道ᄒᆞ야 上䟽ᄒᆞᆫ지라 其根源이 此에서 起ᄒᆞ니라 其後正祖時에 李家煥, 李承薰, 丁若鍾等은 다 一時名儒로 其敎에 染ᄒᆞ얏다 ᄒᆞ야 坐死ᄒᆞ고 丁若鏞은 若鍾의 弟라 被訊不服ᄒᆞ다가 康津에 竄ᄒᆞ니 若鏞은...서명幼年必讀釋義 | 자료명第二十九課 三十課 三十一課 本朝歷代[十六 十七 十八]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上疏ᄒᆞᆫ지라 其根源이 此에서 起ᄒᆞ얏ᄂᆞ이다 其後 正祖時에 李家煥,李承薰,丁若鍾 等은,다 一時名儒로,다만 其敎에 染ᄒᆞ얏다,ᄒᆞ야 坐死ᄒᆞ고 丁若鏞은 若鍾의 弟라 被訊,不服ᄒᆞ다가 康津에 竄ᄒᆞ니 若鏞은 聰悟가 絶人ᄒᆞ야 九流百家에 無所不通이오 經濟學에 尤深ᄒᆞ야 本...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歐米及淸日의 關係
주제어사전(9)
-
정약종 / 丁若鍾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천주교순교자(1760∼1801). 정약용의 셋째 형, 이익의 문하생으로, 서학서에 심취하여 가톨릭교리를 연구하였고, 명도회장을 맡으며 우리말로 《주교요지》라는 책을 써서 전교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신유박해 때 주문모 신부의 입국사건에 연루되어 체
-
신유박해 / 辛酉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801년에 일어난 천주교에 대한 박해. 약 100여 명의 천주교인들이 처형되었으며 약 400여명의 신자들이 유배되었는데 이때 천주교의 많은 지도급 인사들이 처형되거나 유배되었다. 권철신, 이가환, 이승훈, 정약용, 정약종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
이벽선생몽회록 /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
-
성교전서 / 聖敎全書 [종교·철학/천주교]
정약종(아우구스티노)의 미완성된 교리서. 천주교 신도들의 교리연구회이며 전교단체인 명도회의 초대 회장인 정약종은 한국 교회 초창기에는 한문으로 된 교리서가 있을 뿐이었으므로, 어리석고 한문을 모르는 사람들에게까지 교리를 전하려는 목적으로, 그가 가지고 있던 여러 한문
-
상재상서 / 上宰相書 [종교·철학]
호교를 논한 책. 정하상이 지었다. 정약종의 둘째아들인 정하상은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체포될 것을 예상하여 이 글을 작성하여 자신이 체포되자 우의정 이지연에게 전달케 하였다. 주요내용은 천주교 교리의설명, 호교론, 신교의 자유에 대한 호승 등이다. 이 글은 18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