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약용” 에 대한 검색결과 10,2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45)

사전(665)

  • 중용자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 『중용』의 각 절을 잠(箴)으로 기술한 책. [내용] 3권 1책. 필사본. 『여유당집(與猶堂集)』 제74책에 수록되어 있다. 권1에 『한서』 예문지(藝文志)의 중용설(中庸說) 2편 등을 인용,
  • 주역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에 근거, 주역사법(周易四法)을 추이(推移)‧물상(物象)‧호체(互體)‧효변(爻變)으로 나누어 풀이하고, 괘사(卦辭)와 효사(爻辭)에 주석을 붙인 책. [서지적 사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들이 존중하는 성리설과는 달리 선진유학에 기초한 새로운 개혁의 이론을 일찍부터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들의 학문적 경향을 ‘근기학파’라는 범주 안에서 이해하기도 한다. 은 바로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태어났고, 소시적부터...
    이칭별칭 귀농(歸農), 미용(美庸)| 사암(俟菴), 탁옹(?翁), 태수(苔?),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다산(茶山)| 문도(文度)
  • 춘추고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 『춘추』에 대하여 고징한 저서. [내용] 4권. 활자본. 1936년 김성진(金誠鎭)의 편집과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 등의 교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의 유택.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7호. 봉분은 단분이며 숙부인(淑夫人) 풍산홍씨(豐山洪氏)와의 합장묘(合葬墓)이다. 묘소에는 묘비‧상석(床石)‧향로석(香爐...
    연계항목정약용선생묘(丁若鏞先生墓)

단행본(2)

  • 저자 : 허태구 ... | 출판사 : 휴머니스트 | 출판일 : 20201130
    이 책은 근대 서구의 척도로 평가해온 정조대 군사 분야의 기획과 성취를 당대 사회의 맥락에서 새로이 분석했다. 이 시기 군사사의 주요 이슈인 장용영 신설, 화성 축조, 군제 개편 시도, 병서 편찬 등의 성과와 한계를 살피고, 이를 둘러싼 정조의 대외 인식과 문무겸전론의...
  • 저자 : 이봉규, 한정길, 이원석, 엄연석,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조선시대에 연행사절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해 서양의 종교와 학문을 수용한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서학의 충격과 접변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후기 사상가들이 서학을 형상화하는 방식 서학의 세계상에 대해 보인 반응을 조명하였다.

논문(2)

  • 과 래지덕의 효변설 비교 [茶山 丁若鏞 易學理論의 淵源에 대한 文獻學的 考察 | 서울대학교]
    저자 : 임재규(서울대학교) | 게재정보 : 철학탐구 38권, 게재일 : 2015.05
    다산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효변설은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그런데 다산은 1808년에 지은 『주역사전』과 1821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학서언』에서 효변설의 역사적 전승과 관련해 서로 다른 언명을 하고 있다. 즉 『주역사전』에서는 효변설이 한대(漢代) 이후...
    유형논문
  • New Old Foundations for Confucian Ethical Philosophy: Itō Jinsai 伊藤 仁斎 (1627 –1705), Dai Zhen (戴震) (1722-1776), and Jeong Yakyong ( ) (1762–1836) [Korean Philosophy in Comparative Perspectives |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저자 : Philip J. Ivanhoe(City University of Hong Kong) | 게재정보 : Taiw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1권 1호, 게재일 : 2014.06
    유형논문

고서·고문서(9,231)

기초학문(70)

  • 철학과 성리학적 리기관의 해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영배, 게재일 : 2001
    08382 송영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1 철학과 성리학적 리기관의 해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다산 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문형, 게재일 : 2011
    44903 최문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11 다산 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정제두와 의 대학 이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상리, 게재일 : 2014
    47463 박상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4 정제두와 의 대학 이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한위유의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방인, 게재일 : 2013
    58290 방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의 ?한위유의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경방의 벽괘설에 대한 의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방인, 게재일 : 2014
    60810 방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경방의 벽괘설에 대한 의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8)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先生 紀念講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27 1934 9 4 1 1 茶山先生 紀念講演 오는 八일에 청년회관에서 신문 조선중앙일보 2면 8단 기사 교육 간접자료 선집외 茶山, , 講演 A19340904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丁茶山先生 百年記念講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50 1935 7 16 1 1 丁茶山先生 百年記念講演 發明學會主催로 신문 조선중앙일보 2면 10단 기사 교육 간접자료 선집외 , 丁茶, 發明學會, 科學智識普及會 A19350716조선03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丁茶山百年忌記念講演會開催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52 1935 7 17 1 1 丁茶山百年忌記念講演會開催 今夜基靑講堂에서 신문 조선중앙일보 2면 9단 기사 교육 간접자료 선집외 , 發明學會, 科學智識普及會, 講演會 A19350717조선02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우리文化의大河流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48 1935 7 16 1 1 安在鴻 안재홍 茶山先生 歿後百年祭 特輯 (一) 우리文化의大河流 現代에빗나는偉業 신문 조선일보 3면1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4권 茶山, , 經世遺表, 牧民心書, 欽欽...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先生과種痘法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56 1934 12 15 1 1 樗山後學 안재홍 茶山硏究 (3) 茶山先生과種痘法 先生은種痘法의先駈者이다 잡지 신조선 7호 50~54쪽 인물평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茶山, , 種痘法, 李圭景,...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54)

  • 의 경세론_8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 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2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8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 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3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8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 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4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8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 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5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8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 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6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2)

  • (한국교육의 맥7) 과 다산초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7) 과 다산초당 (한국교육의 맥7) 과 다산초당 (한국교육의 맥7) 과 茶山草堂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교육총류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금장태,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연재교양) 우리 교육의 선각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우리 교육의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의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의 선각자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문원 | 사료철명문교행정

연구과제(10)

주제어사전(5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1762∼1836). 정조 연간에 문신으로 활동,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생활을 했다. 이 유배 기간 동안 《경세유표》·《목민심서》·《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이후 자신의 회갑을 맞아 자서전

  • 논어고금주 / 論語古今註 [언론·출판]

    저자 (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이 책은 <헌문> 하에서 <위령공> 상까지 수록되어 있다. 의 <논어고금주> 총40권 가운데 권25, 권26, 권27의 3권을 1책으로 묶은 것이다. 내용은 <헌문 제14>의 13장부터 <위령공 제15

  • 물명고 / 物名攷 [언어/언어/문자]

    ()이 지은 물명에 관한 어휘사전.1책. 필사본. 유희(柳僖)의 『물명고(物名攷)』와는 다른 종류의 것으로 필사본의 『물명고』 중 가장 많이 전하고 있는 책이다. 『물명괄(物名括)』 또는 『물명류(物名類)』라고도 한다. 이본에 따라 대개 1,000∼1,6

  • 대학공의 / 大學公議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실학자 이 지은 <대학>의 주석서. <여유당전서> 제2집에 수록되어 있다. 1814년 이 강진에 유배되어 있던 당시에 완성하였다. 이 책은 고본대학의 순서를 따르면서 주해의 편리를 기하기 위하여 27분절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 기기도설 / 奇器圖說 [과학/과학기술]

    특히 그 응용기구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은 1789년(정조 13) 한강에 배다리를 놓을 때와 1792년 수원에 성을 쌓을 때 기중기를 고안하여 공사를 크게 도왔는데, 이때 그는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기중기를 만들었다. 정조가 직접 이 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