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시연” 에 대한 검색결과 1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2)

사전(18)

  • 취성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5년(고종 12) 의 후손 정유규(鄭裕奎)와 정유석(鄭裕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정문승(鄭文升)의 서문이 있으며, 발문은 없다. [서지적
  • 학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서(序)‧발(跋)이 없어 편집경위가 자세하지 않으며, 1910년 이후에 등사된 것으로 보인다. 권1에 시 64수, 서(書) 4편, 잡저 2편, 서(序) 3편, 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2(인조 10)∼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달중(達仲), 호는 학암(鶴巖). 아버지는 진주목사 호인(好仁)이며, 어머니는 월성손씨(月城孫氏)로 노(魯)의 딸이다. 여러 차례 과거에 ...
    이칭별칭 달중(達仲)| 학암(鶴巖)
  • 집안우산하41호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上)에 수목 등이 묘사된 수렵도가 있다. 사슴의 좌쪽에는 절풍(折風)과 방책(方幘)을 한 3인의 인물이 있고 화(花)가 횡렬로 표현되어 있다. 도굴되었으나 사이호(四耳壺), 금동제 운주(雲珠), 철제‧은제‧칠기제품 및 황유도기(黃釉陶器)의 파편, 마구류, 쇠...
    이칭별칭우산하(禹山下) 1041호분(JYM 1041)
  • 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장 1편, 행장 1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박씨가록약초(朴氏家錄略抄) 1편, 운곡서원고왕록약초(雲谷書院考往錄略抄) 1편, 갈산집중건원시일기약초(葛山集中建院時日記略抄) 1편, 태극문변서변명록(太極問辨書卞名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고서·고문서(134)

  • 芙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10_0100 芙蓉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농소면(農所面) 1729년 농소면(農所面) 第九射廳坊 9 第九統統首 第一戶 府案付炮保兵營二道軍官年肆拾貳戊辰本東萊父正兵士得祖正兵山福 曾祖正兵守信外祖正兵朴大云本密陽妻李召史年肆拾貳戊辰本慶州父正兵永澤 祖御營軍成元曾祖正兵仁發外祖正兵金命吉...
    연도_면이름172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九射廳坊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청양면(靑良面) 1864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八回南里 1 第一統統首 第一戶 幼學年肆拾玖丙子本延日父及第得慶祖學生文達曾祖學生碩外 祖學生김仲彬本김海妻김氏年肆拾捌丁丑本김海父學生起八祖學生義振曾祖 學生禹鼎外祖學生車日道本延安弟時夏年參拾...
    연도_면이름1864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八回南里
  • 任免裁可書・大・任免巻十七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2016552014201655_004 任免裁可書・大・任免巻十七 李堈公職務ノ件 이강공 직무의 건 국립공문서관 本館-2A-019-00・任B00980100 0009 1 문서 내각총리대신 1921.04.2...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6. 2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職員録・大・職員録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2014662015201466_005 職員録・大・職員録 李王職 이왕직 국립공문서관 本館-2A-016-05・職A00843100 0064 1 문서 1921년 印刷局 1921년 7월 1일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0.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30)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호인, 어머니는 손노의 딸이다.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다가 실패한 뒤『심경』을 위주로 한 주자학 공부에 매진하였다. 한편, 어려서 아버지를 잃은 조카 석주의 교육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었다. 저

  • 죽림고회 / 竹林高會 [문학/한문학]

    )나라 간(間)에 완적(阮籍)·혜강(嵇康) 등이 구성한 죽림칠현(竹林七賢, 일명 江左七賢)에 비견하여, 이 시회를 ‘해좌칠현(海左七賢)’이라고도 한다. ‘죽림고회’라는 명칭은 최자(崔滋)의 『보한집』 발문에 보인다.

  • 정석달 / 鄭碩達 [종교·철학/유학]

    1660년(현종 1)∼1720년(숙종 46).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정의번, 부친 정시심과 모친 송시철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권숙의 딸이다.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유장·이형상·정시한·이현일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며, 학문적 성장을 이루었다.

  • 취성당유고 / 醉醒堂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5년(고종 12) 의 후손 정유규(鄭裕奎)와 정유석(鄭裕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정문승(鄭文升)의 서문이 있으며, 발문은 없다. 권1은 시 53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