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습명”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151(의종 5).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호는 형양(滎陽). 영일정씨형양공파(迎日鄭氏滎陽公派)의 시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향공(鄕貢)으로 문과에 급제해 내시(內侍)에 보임되었다....
    이칭별칭 형양(滎陽)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벼슬이 내시지후(內侍祗侯)로, 조광 등의 2차 반란을 수습하기위해 남강으로 들어가 적선을 막는 역할을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3115 인물 調護, 太子, 欲立他子, 盡心, 不廢 毅宗, 太后 麗史 D_14_01_76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7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7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308 인물 措大, 奇才, 賦, 稱歎 睿宗 江南, 玉堂 石竹花 D_14_03_10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923 인물 知奏事, 平章事 延日 鄭均之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0)

  • 33207 B033207 난행량 難行梁 군사교통 東史綱目第八下 甲寅十二年 秋七月 _ ○鑿蘇泰河道⁄安興亭下海道爲衆流所激又有巖石之險往往覆舟或獻議由蘇泰縣今泰安境鑿河道之則舡行捷利遣內侍發旁郡卒數千人鑿之未就今泰⁄安郡西三十四里有安興梁古稱難行梁⁄掘浦在郡東十三里卽所鑿處
    출처전거東史綱目第八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000 B026000 고현성 古縣城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延日 壇廟 壇廟社稷壇(在縣西五里) 文廟(在鄕校) 城隍祠(在縣南十里) 厲壇(在縣北十里) 新增烏川書院(在縣東十里古縣城○高麗知奏事榮陽公文忠公圃隱鄭夢周所享也萬曆四十一年 宣賜)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始祖 滎陽公 의 별호가 없어 의혹을 가졌던 차에 상산황씨 집에 전해오는[東賢別號類聚]에서 우연히 발견하고 그것을 족보에 적어 후손들에게 선조별호가 “東河“인 줄 알게 하고자 이글을 적는다는 내용이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城爲戰卒其餘逃竄山谷富軾以爲若不招撫勢必嘯聚爲賊耳目分遣軍吏勞來慰諭逃竄者悉出或負糧餉願助軍費者絡繹不絶皆給衣食使得安居西人沿江築城自宣耀門至多景樓凡一千七百三十四*閒置六門以拒之⁄先是王遣內侍祗候濟危寶副使許純雜織署令王軾往西京西南海島會弓手水手四千六百餘人以戰艦百四十艘入順化縣南江禦賊船至...
    출처전거高麗史 98卷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幼沖卽政 素無知人之明 偏聽近習之說 致有西都之亂 俯仰深思 不勝痛悔 惟爾臺省侍從之臣 朝野有志之士 論列平西之策 及時政之失 朕躬之愆 無有所諱 遂命內侍祗候 濟危寶副使許純 雜織署令王軾 往西京西南海島 發水軍四千六百餘人 戰艦一百四十艘 入順化縣南江 以禦賊船 富軾 使軍吏盧仁諧 招...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151(의종 5). 고려 중기의 문신. 영일정씨 형양공파의 시조, 아버지는 정후감으로 부호장을 지냈다. 주로 간관 직을 맡아보았던 은 왕실의 사부로서 의종을 훈육하고 보필하는데 사명을 다하였다. 예부시랑, 추밀원지주사 등을 역임하였다. 병이 들어 김존중이

  • 석죽화 / 石竹花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이 지은 한시. 불우한 작자의 처지를 들에 핀 패랭이꽃에 비유한 작품이다. 『동문선』 권9에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선 모두들 붉은 모란꽃만 사랑하여/정원에 가득히 심고 가꾸네/누가 이 거친 초야에/좋은 꽃떨기 있는 줄 알기

  • 오천서원 / 烏川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면 원리에 있는 서원. 1588년(선조 21) 지방유림의 공의로 과 정몽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13년(광해군 5) ‘오천’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740년(영조 16) 정사도와 정철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