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숭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정숭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42(세종 24)∼1503(연산군 9). 조선 전ㆍ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효숙(孝叔), 호는 삼성재(三省齋). 할아버지는 종부시영 흥인(興仁)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인지(麟趾)이며, 어머니는 판한성부사 이휴(...이칭별칭 효숙(孝叔)| 삼성재(三省齋)| 장정(莊靖)|하남군(河南君)|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
- 권경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립의 불가함을 논하고, 정숭조(鄭崇祖)ㆍ이창신(李昌臣) 등의 탐폭을 규탄했다. 그러나 그해에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동생이 주모자로 처형되었고, 자신도 연루되어 강릉부 관노로 배속되었다. 성품이 강직해 권신에게 구차하게 의부하지 않았으며, 직무를 공정히 다스려 많은...이칭별칭 자수(子綏)
고서·고문서(5)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334 B06933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二十四年(1493) 六月 성종실록_12406015_004 ○傳旨司憲府曰: “戶曹判書鄭崇祖, 於年前李克墩爲慶尙道觀察使時, 司贍寺及東萊、熊川等邑官吏, 責納貢布, 升數過細, 民甚苦之事, 具由啓聞, 禮曹、戶曹同議詳定布子...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010 B015010 강화도호부 江華都護府 정치행정 成宗實錄 六年(1475) 七月 성종실록_10607001_008 ○以鄭昌孫爲大匡輔國崇祿議政府領議政, 尹士昕大匡輔國崇祿議政府右議政, 金礩大匡輔國崇祿上洛府院君, 尹子雲兼禮曹判書, 李叔琦嘉靖延安君兼黃海道觀察使, 鄭崇祖嘉...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方山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挾擊罪,律該斬待時."命議于領敦寧以上及政府. 沈澮等議"皆依啓本施行."又命六曹·漢城府議之. 韓致亨·韓致禮·愼承善·李封·盧公弼·閔永肩·金克忸·金首孫·李諿·李淑瑊·金碔議"依啓本施行." 鄭崇祖·權健議"近者盧効愼議罪,特從末減,然邊將觀賊勢,逗留不進,罪當依律." 朴楗·尹孝孫·尹坦議"...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湯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 盧思愼·韓致亨·鄭文烱·朴元宗議"本道失農,方事救荒,築城雖重,役民非時,姑停爲便." 許琮議"邑城退築,亦大段役事,且距邑十餘里之地,無可築之石,數年之間,勢難畢築,姑停邑城,先築長城何如?" 柳輊·鄭崇祖·洪貴達·朴楗·尹孝孫議"築城國家大計,不可以小弊而止.但本道因去年失農,今方事救荒,假...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허백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서를 짓는다고 하였다. 送河南君鄭公崇朝朝正赴京師序(1495) 69 鄭麟趾의 아들인 三省齋鄭崇祖가 正朝使로 연경에 갈 때 지은 送序. 정숭조의 家學과 학행을 칭송한 뒤 遠遊하며 많은 것을 얻어 오라고 당부하였다. 送鐵原府使韓曾序 70 벗 韓曾이 철원부사로 부임할 때...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정숭조 / 鄭崇祖 [종교·철학/유학]
1442(세종 24)∼1503(연산군 9). 조선 전·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흥인, 아버지는 인지, 어머니는 이휴의 딸이다. 1458년(세조 4) 음보로 통례문봉례랑이 되고, 사섬시주부, 종친부부전첨, 공조좌랑, 종부시소윤, 한성부소윤, 이조참판, 경상좌도병마절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