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수” 에 대한 검색결과 7,7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24)

사전(1,641)

  • 우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09년 방후손 인휘(寅暉)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소락(金紹洛)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심발(沈撥)과 인휘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강운태(姜云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복선(卜船) 소속의 ()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 사전 한글 ...
    유형분류인물
  • 황일해(黃日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기선(騎船) 소속의 ()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
    유형분류인물
  • 오금봉(吳今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하루(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복선(卜船) 소속의 ()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
    유형분류인물
  • 김막대(金莫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일방(一房) 기선(騎船) 소속의 ()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 () 사전 한글 ...
    유형분류인물

단행본(11)

  • 저자 : 신정수 ... | 출판사 : Columbia University Press | 출판일 : 201801
    유형단행본
  •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정수환 ... | 출판사 : 세창출판사 | 출판일 : 20191022
    유형단행본
  • (고문헌 기증기탁목록 14) 다석 유영모 선생 문적 외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 | 출판사 : 소와당 | 출판일 : 2009.06.23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01. 유희원 기탁전적 - 다석 유영모선생 문적 02. 마르티나 도이힐러 기증고문서 03. 전주이씨 완양부원군 이충원종가 기탁고문서 04. 김식현 기증고문서 - 김해 의성김씨 고문서
  • (한국간찰자료선집 15) 의정부 반남박씨 서계 박세당 후손가편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정치영(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김... | 출판사 : junggin I&D | 출판일 : 2010.02.23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先蹟 2. 家藏遺墨(1) 3. 家藏遺墨(2) 4. 先祖遺筆 5. 先牘 6. 明翁簡帖 附錄
  • (수집 고전적 목록집 3) 광주안씨 순암 안정복 종가 고전적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정치영(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보존 관리 과정 및 자료 수량 2. 광주 안씨 순암 안정복 종가 가계도 3. 주요 자료 소개 4. 고전적 목록 5. 보존처리 보고서

논문(2)

고서·고문서(4,123)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10 大東水經 其三 ITKC_MP_0597A_1510_000_002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大東水經 其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320 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06513 창가 산술창가 22070 1929년 1월 25일 白南奎 以文堂 白南奎 번 50錢 의 性質 〈#8〉 〈sh〉(1) 倍數及約數〈/sh〉 甲의 數가 乙의 數로 整除될 때에 乙의 數은 甲의 數의 約數가 되고 甲의 數는 乙...
    구분창가 | 편저자白南奎

구술자료(61)

  • 의형제 이와 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이야기가 끝나자 이어서 했다. 앞 이야기 말미에 의형제 맺는 내용이 있어 제보자가 이 이야기를 생각해낸 것 같다. 앞의 이야기가 원수처럼 만나서 의형제를 맺는데 반하여 이 이야기는 의형제로 만나서 원수처럼 헤어진다. 박문수도 등장하는 아주 긴 이야기였다. 밤이...
    조사일시1979-04-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입실2리 | 제보자황경호
  • 수단이 좋은 술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에 이어 자발적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야기를 하면서 정수동의 호쾌한 행동에 자못 부러워하는 기색을 나타냈다. 이 이야기는 제보자가 잡지책에서 읽은 것이라고 했다. 옆 방에서는 젊은이들이 술을 먹고 노느라 매우 소란했다.*
    조사일시1984-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제보자임원기
  • 술 두 말을 마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시 이야기가 중단되었다. 조사자가 정만서와 방학중 이야기를 청했더니, 정수동 이야기를 들고 나왔다. 정만서와 정수동을 동일시하는 것 같았다. 혼자서 웃어가며 이야기를 즐겼다.*
    조사일시1984-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제보자임원기
  • 안동 동의 물 건너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방학중이를 두고 제보자는 ?정수동이 택 됐구나.?라고 했다. 그래서 정수동이는 어디 사람이냐고 물었더니, 안동 예안면 사람이라고 했다. 조사자가 정수동이 이야기를 권했더니 이 이야기를 했다. *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성태
  • 공술 마시고도 대접받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앞의 이야기를 받아서 정만서가 도포를 맡기고 공술 마시는 이야기를 했다. 그랬더니, 제보자 역시 공술 마시는 정수동 이야기를 했다. 정수동과 주모의 대화를 실감나게 구연했다.*
    조사일시1984-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제보자임원기

기초학문(162)

  • 민간에 의한 공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하중, 게재일 : 2001
    08901 정하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법학회 2001 민간에 의한 공행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f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신서의 가정덕목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철수, 게재일 : 2008
    30104 문철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문학회 2008 국신서의 가정덕목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립 후 轉向의 문화사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봉범, 게재일 : 2008
    34473 이봉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08 단립 후 轉向의 문화사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신행도 건설의 쟁점과 타당성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광태, 게재일 : 2004
    05831 송광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시행정학회 2004 신행도 건설의 쟁점과 타당성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장학회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231 한국연구재단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장학회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004)

  • 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통신관리국에셔 부로공문기 통신관리셔 각군에 셜시야 쳬젼인이 보통려관에 거졉더니 지금은 국고금 츌납을 쳬젼인에게 위임엿슨즉 보통려관에 거졉거시 소홀념려가 잇스니 각군에훈령야쳬젼인의유슉쳐소 신실 면임의집으로 별뎡면 셰금을 의례지발다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박참졍이 쥬품고 의졍부 북궐 슈졍뎐으로이졉기로 마련야 방쟝 슈리즁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6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신임 의졍대신 죠병호씨 삼작일에 상경얏 작일에 입 궐슈칙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旋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판수 김병슈라 쟈 디보기와 일기로 발쳔야 막즁 릉터라도 흑을 맛보고 호불호를 졍다고로 경무쳥에셔 무복 집슐쟈를 포착하즁에 김쟝님도 착득하야 한셩판소로 이슈하얏더니곳 방송이 되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5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移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셔 한국으로 셩옴겨오 슈효를 긔한을뎡고 왕 우편션일척에 삼오십명식 보더니 근일에 다시 뎡야 륜션쳑에 남녀이이십오명식되 남 일명 녀 칠십오명식이오 월 오일부터 실시기로 엿다며 일본셔 이민기 위야 조직 회샤가 도합 삼십이쳐...
    게재일1903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05)

  • 직업훈련원 수료식 및 입학식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직업훈련원 수료 및 입학식이 열린 가운데 박근혜, 당국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박근혜는 연설을 한 후 원생들과 악수를 나눴으며 전시작품을 관람하기도 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7년 9월 1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염상섭 – 사실주의 근대소설의 개척자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명되는 근현대 문화의는각국의언어예술인문학이라할수있다. 한국어와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성립하는 국제학으로서 한국학의 중심에는한국문학이자리하고있는것이다.본강좌는한류로 인해 고조된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의 학술수요에부응하고한국근현대문학에대한통시적이해를돕고자기획되었다. 문학 작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9인
  • 염상섭 – 사실주의 근대소설의 개척자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명되는 근현대 문화의는각국의언어예술인문학이라할수있다. 한국어와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성립하는 국제학으로서 한국학의 중심에는한국문학이자리하고있는것이다.본강좌는한류로 인해 고조된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의 학술수요에부응하고한국근현대문학에대한통시적이해를돕고자기획되었다. 문학 작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10인
  • 염상섭 – 사실주의 근대소설의 개척자_1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명되는 근현대 문화의는각국의언어예술인문학이라할수있다. 한국어와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성립하는 국제학으로서 한국학의 중심에는한국문학이자리하고있는것이다.본강좌는한류로 인해 고조된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의 학술수요에부응하고한국근현대문학에대한통시적이해를돕고자기획되었다. 문학 작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11인
  • 염상섭 – 사실주의 근대소설의 개척자_1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명되는 근현대 문화의는각국의언어예술인문학이라할수있다. 한국어와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성립하는 국제학으로서 한국학의 중심에는한국문학이자리하고있는것이다.본강좌는한류로 인해 고조된한국문학에 대한 세계의 학술수요에부응하고한국근현대문학에대한통시적이해를돕고자기획되었다. 문학 작
    강좌제목한국 근현대문학 작가 열전 | 강의자이만영 외 12인

기타자료(515)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96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박;朴 제11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홍;弘 경상남도 창원 소화15년 3월4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만;萬 경상남도 창원 소화15년 3월4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564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김;金 충북 청주읍 본정1정목 179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96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5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남;男 용산역(돈암정 458-7-6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2)

주제어사전(84)

  • / [종교·철학/유학]

    1609(광해군 1)∼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정언신 증손, 할아버지는 정협, 아버지는 정세미, 어머니는 이상의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간원정언, 병조정랑·예조정랑·영춘현감·지평 등의 요직을 지냈다. 1660년

  • 경전 / 景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활자본. 이 작품은 한국 고소설의 배경이 대부분 중국인 점과 달리, 한국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아울러 민담·운명·공안 등의 이야기가 혼재되어 있지만, 분량이 너무 짧아 서로 유기적으로 엮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고소

  • 기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64∼1752). 1699년(숙종 2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사간원정원에 재임 중 김춘택 등을 탄핵하였다. 신임사화의 주요인물로 지목되어 삭탈관직되었다. 복직된 이후 대사간·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동 /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하원시초』를 저술한 시인. 동은 왜어역관(倭語譯官)의 가계에서 출생했다. 아들 정낙술(鄭樂述)은 『역과방목(譯科榜目)』에 이름이 올라 있다. 동은 왜어역관(倭語譯官)의 가계에서 출생했다. 아들 정낙술(鄭樂述)은 『역과방목(譯科榜目)』에 이름이 올라

  • 번 / [종교·철학/유학]

    1580년(선조 13)~1621년(광해군 13). 조선 중기 무신. 고조는 정이휘, 부친은 정세아이다. 부인은 조희익의 딸이다. 형은 정의번‧정유번‧정안번이다.1598년(선조 31) 무과 급제 후 내금위장‧감포만호‧재포만호,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