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성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1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5)

사전(5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端穆章和)가 올려졌다. 소생은 없다. 시호는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단목장화(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端穆章和)이고, 능호는 홍릉(弘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에 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이칭별칭 단목장화(端穆章和),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
  • 홍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도동 에 있는 조선 제21대왕 영조의 비 서씨(徐氏)의 능. [내용] 1757년(영조 33) 가 죽자 이 곳에 묘지를 정하고 홍릉이라 하였...
  • 평태정(平太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고 도항(渡航)하였다. ()의 국휼에 조위하기 위해 왔으며, 이들에 대한 접대는 전례에 따라 향접위관(鄕接慰官)이 맡아 하였다. 『邊例集要』 ; 홍성덕 ‧ 하우봉 옮김, 『국역변례집요1』, 민족문화추진회, 2000. 국사편찬위원회,...
    유형분류인물
  • 서매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머니는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임진하(任震夏)의 딸이다. 영조 제1비 () 집안의 출신이다. 1787년(정조 11) 당진현감 재직중 56세의 나이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학술과 재능은 없었으나 성격이 원만, 근면하여 장자로 칭양받았다. 순...
    이칭별칭 덕이(德而)| 당헌(戇軒)| 익헌(翼憲)
  • 이이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듬해인 1749년 부승지에 오르고, 그 뒤 외직인 장단부사와 동래부사를 역임한 뒤 1762년 도승지가 되었다. 그 해 5월 영조가 세자를 휘령전(徽寧殿)에 불러, 죽은 ( : 영조의 비)와 영빈(暎嬪 : 세자의 생모)의 계시가 있다 하여 세자...
    이칭별칭 군칙(君則)| 수남(水南)| 충정(忠正)

단행본(2)

  • 영조 비빈 자료집 2-비지, 책문, 교지, 제문-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태희(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윤...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 정순왕후(貞純王后) 정빈이씨(靖嬪李氏) 영빈이씨(映嬪李氏) 관련사진 해제 칠궁의 합사 내력과 신주 감실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國恤儀軌》 《貞純王后國恤謄錄》 《貞純王后袝廟都監儀軌》 《弘陵志》 《弘陵寢郞先生案》 《弘陵祭器年限冊》 《孝安殿日記》

고서·고문서(70)

  • 국휼초등록(國恤草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씨는 영조의 첫째 정실이다. 연잉군의 부인으로 간택되어 경종 즉위 후 세제빈이 되었다가 영조가 즉위하면서 왕후로 격상되었다. 는 후사를 낳지는 못하였지만 영조가 후궁에서 낳은 첫째 아들 효장세자, 둘째 아들 사도세자의 법적인 어머니이기도 하였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책례도감의궤(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26년(영조2) 서씨( 徐氏, 1692~1757)를 세제빈(世弟嬪)에서 왕비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왕비로서,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서종제(徐宗悌)의 딸이다. 170...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비(妃) (, 1692~1757)의 국장(國葬) 과장을 기록한 책으로,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서씨의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徐宗悌)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빈전도감의궤(殯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비(妃) (, 1692~1757)의 국장(國葬) 때 빈전(殯殿)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으로 빈전도감(殯殿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왕과 왕비의 국장은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혼전도감의궤(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비(妃) (, 1692~1757)의 국장(國葬) 때 혼전(魂殿)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으로 혼전도감(魂殿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왕과 왕비의 국장은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8)

  • / [역사/조선시대사]

    1692년(숙종 18)∼1757년(영조 33). 조선 제21대왕 영조의 원비. 서종제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숙종의 제4왕자인 연잉군과 가례를 올려 달성군부인, 1721년(경종 1) 경종이 몸이 약하고 후사가 없어,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자 동시에 세제빈,

  • 홍릉비 음기 / 弘陵碑 陰記 [역사/조선시대사]

    영조의 원비 ()의 묘비를 종이를 떠낸 뒤 족자 형태로 장황하여 만든 탑본. 전면은 남아 있지 않고, 음기 족자만 4점이 남아 있다. 정조의 문집《홍재전서》권15에도 비문이 실려 있는데, 내용이 서로 동일하다.

  • 홍릉지문초 / 弘陵誌文草 [역사/조선시대사]

    1757년(영조 33) 봄에 사도세자가 돌아가신 를 위해 지은 묘지문의 초고. 단 1장의 종이에 행초로 글을 썼고 교정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이 글은 장헌세자의 문집 《능허관만고》권7에 실린 <홍릉지>의 앞부분과 거의 동일하므로, 홍릉의 지문의 초

  • 조선국 서씨 유제문 / 朝鮮國 徐氏 諭祭文 [정치·법제]

    1757년. 청 건륭제가 영조의 원비 () 서씨의 치제를 위해 조칙사 상태와 상령을 보내 의 영전에 고한 유제문. 의 망일은 1757년(영조 33) 5월이며, 청조칙사의 치제일은 동년 9월 21일이다.

  • 달성부원군잠성부부인사우견근시치제문 / 達城府院君岑城府夫人祠宇遣近侍致祭文 [역사/조선시대사]

    치제문. 1791년(정조 15) 12월 7일, 의 100번째 생신을 맞이하여 그 아버지 달성부원군 서종제(徐宗悌)와 어머니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에게 치제하기 위해 정조가 지은 제문이다. 자신이 어렸을 때 가 애지중지하였음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