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성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34)
- 정성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신(而信)ㆍ겸부(兼夫). 자순(子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설(舌)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척(陟)이다. 어머니는 이양몽(李養蒙)의 딸이다. 김종직(金宗...이칭별칭 이신(而信)| 충절(忠節)|겸부(兼夫)
- 鄭誠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44 鄭誠謹 인물 知中樞府事, 登第, 節操, 承旨, 天性, 父母, 廬墓, 盡禮, 心喪三年, 忠孝, 卽位, 曹參判, 旌其門 晉州 謹夫, 我成廟, 燕山, 中廟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誠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394 鄭誠謹 인물 志不撓屈, 天性, 勁直, 奉使, 出門祇命, 胡牀, 擯倭 對馬島, 鶴林寺 島主 瑣錄 D_19_01_12 대동운부군옥 19권 1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誠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104 鄭誠謹 인물 詣墓省掃, 天性至孝, 親執饌供, 終身不怠 行實 D_11_07_19 대동운부군옥 11권 7장 1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7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鄭誠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028 鄭誠謹 인물 天性至孝, 哀毁盡禮, 朔望, 心喪三年 我成廟 行實 D_05_01_85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8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8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2)
- 1571년 정성근(鄭成斤)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71년(선조4) 정성근(鄭成斤)이 경주부(慶州府)에 올린 거래 사실 확인서이다.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계집종 5명을 이준(李浚: 1540~1623)에게 판 것이 사실이라는 내용이다. 조선시대에는 노비(奴婢) 거래 후 반드...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1571년 이준(李浚)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71년(선조4) 이준(李浚: 1540~1623)이 정성근(鄭成斤)이라는 자로부터 계집종 5명을 사고 받은 거래 계약서이다. 16살 이상 먹은 계집종이 2명과 그들의 나이 어린 딸 3명이다. 조선시대 노비(奴婢)의 법정가격은 저화(楮貨) 4,0...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노비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1571년 이준(李浚) 사급입안(斜給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71년(선조4) 이준(李浚:1540~1623)이 경주부(慶州府)로부터 내려 받은 소유권 공증 문서이다. 이준은 같은 마을에 사는 정성근(鄭成斤)이라는 자로부터 계집종을 다섯 명이나 사들였다. 조선시대에는 노비(奴婢) 거래 후 반드시 관에 고해...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교동현(喬桐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576 B028576 교동현 喬桐縣 정치행정 成宗實錄 十二年(1481) 十二月 성종실록_11212006_005 ○諭京畿觀察使孫舜孝曰: “敬差官鄭誠謹擲奸時, 喬桐縣監金孟江, 於境內流民空舍, 使他人入接, 似若不流亡, 欺詐莫甚, 玆降一資。 卿亦不曾撫恤, 使民流亡, 殊無...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71년 김가배동(金加背同) 등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71년(선조4) 김가배동(金加背同)와 김말석(金唜石), 성한명(成漢明)이 경주부(慶州府)에 올린 거래 사실 확인서이다. 이들은 정성근(鄭成斤)이 가난으로 인해 이준(李浚: 1540~1623)에게 계집종 다섯 명을 팔 때 증인과 거래계약서 작성...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구술자료(1)
- 내기 잘하는 정성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정촌면 | 제보자강선호
신문·잡지(4)
- 함남로동신문_1949_010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박경림 정성근, 정한영, 정경영 【고원】 군내면 현흥리 세포는 9개월 사업총화를 위한 세포총회에서 농촌 당단체들에세 당면 제기된 고공품 생산 기간 단축 초과 완수 운동의 목표를 내세우고 다...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05_02 | 책임주필강길모
- 군수지_1969_0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병참편-표준 조리법 장두일 67 병참편-부식물 조변 제도 개선 72 통신편-무선통신 정성근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군수지_1969_0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통신편-무선통신 정성근 85 수송편-수송의 날을 맞이하여 양성식 98 수송편-병과 업적 소개 9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조선인민군_1950_120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들부들 떨고 있었다. 그들 중에는 『국방군』도 끼여있었다. 『군호를 대라』리동무의 엄한 명령에 우물거리던 국방군놈은 『학교』라고 대답하는 것이였다. 무기를 로획한 후 놈들을 부락에서 떨어진 버두나무밑으로 끌고가 정성근동무에게 놈들을 지키게한 후 남은 동무들은 2중...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1205_02 | 책임주필서춘식
기타자료(13)
- 정성근;鄭性根;大田祐輔(鄭性根);대전우보;大田祐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985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1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0) 제10회 74명(1914년 졸업) 정성근;鄭性根;大田祐輔(鄭性根);대전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전우보(정성근);大田祐輔(鄭性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019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1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0) 제10회 74명(1914년 졸업) 대전우보(정성근);大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1 교육평가) 행동발달상황 평가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잡지 정성근 鄭聖根 1978 9 교육경남 60호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성근 | 사료철명교육경남
- (교육심리) 청년기의 심리와 학습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생활지도 잡지 정성근 鄭聖根 1966 9 교육경남 10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성근 | 사료철명교육경남
- 행동진단과 평가방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정성근 鄭聖根 1966 12 교육경남 11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48-57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성근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2)
-
정성근 / 鄭誠謹 [종교·철학/유학]
?∼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 자순 증손, 할아버지는 설, 아버지는 척. 어머니는 이양몽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경연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광주 구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구암서원 / 龜巖書院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굴바위마을에 있었던 서원. 1667년(현종 8)에 광주(廣州)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집(李集)·이양중(李養中)·정성근(鄭誠謹)·정엽(鄭曄)·오윤겸(吳允謙)·임숙영(任叔英)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원우를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