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정석오” 에 대한 검색결과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4)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호(攸好). 좌의정 태화(太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재대(載岱)이고, 아버지는 혁선(赫先)이며, 어머니는 이영(李泳)의 딸이다. 효선...
    이칭별칭 유호(攸好)| 정간(貞簡)
  • 조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역대 왕의 여러 행적 중에서 후세에 교훈이 될 만한 것을 모아 엮은 책. [개설] 상하 1책. 고활자본. 조선 영조의 명으로 빈객(賓客) 이태좌(李台佐), 문학 조현명(趙顯命), 사서 () 등이 엮었다. 정유자(丁酉字)를...
  • 대맥(大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름에 맥수라[麥水刺], 즉 보리밥을 즐겨 먹었다. 1730년(영조 6) 5월 17일에 약방의 부제조(副提調) ()가 영조에게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여염집 사람들이 말하기를 서월(暑月), 즉 6월에는 보리밥[麥飯]이 좋다고 합니다. 그런데 오늘 아...
    상위어맥(麥) | 관련어교맥(蕎麥), 소맥(小麥)
  • 정형복(鄭亨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문관응교로 승진하였다. 이후, 1729년 사헌부지평을 거쳐 1740년 대사간 및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며, 1744년에는 대사성을 거쳐 다시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1748년 동지사 겸 사은사(冬至使兼謝恩使)인 ()를 따라 부사의 자격으로 중국에 갔다. 175...
    유형분류인물
  • 숙정공주(淑靜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대로 의빈은 다시 장가들 수 없다는 법이 생기면서 정재륜은 후처를 맞을 수 없게 되었다.[『숙종실록』 7년 7월 12일],[『숙종실록』 7년 7월 26일] 그러다가 1723년(경종 3) 병이 든 정재륜은 종손(從孫) ()를 아들 정효선의 후사로 삼게 해줄...

고서·고문서(113)

  • 3009 1734_01 奉和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일상생활, 시문류, 시문 한자 고문서 LK145.JPG 奉和 시문 22 25.5 1 안동권씨 이우당 권환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이...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40830 B040830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12月 13日_025 ○統制使狀啓, 初等進上生大口魚腐傷, 全數退下, 惶隕待罪事, 傳于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789 B040789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12月 13日_025 ○統制使狀啓, 初等進上生大口魚腐傷, 全數退下, 惶隕待罪事, 傳于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7169 B047169 대정현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4月 22日_007 ○啓曰, 李儒佐等配所, 定於何邑耶? 卽爲問啓事, 命下矣。 考見禁府草記, 則震佐 濟州牧旌義縣, 儒佐 大靜縣絶島定配矣,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7562 B047562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4月 22日_007 ○啓曰, 李儒佐等配所, 定於何邑耶? 卽爲問啓事, 命下矣。 考見禁府草記, 則震佐 濟州牧旌義縣, 儒佐 大靜縣絶島定配矣,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혼이 되어 돌아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제보자 강태생에게 맹동면 마산리에 있는 정석오 묘에 얽힌 이야기를 요청하자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10.07.09 | 조사장소강태생 자택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2리 덕금로234번길43 | 제보자강태생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91(숙종 17)∼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 증손, 할아버지는 정재대, 아버지는 정혁선,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정효선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 검열, 수찬, 교리, 지평, 좌의정, 영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