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정사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11)
- 안분당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사하(鄭師夏)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850년(철종 1) 현손 두영(斗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 근대신어 : 군벌정치(軍閥政治)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246 군벌정치 가항 軍閥政治 軍隊 內에 特權層의 集合되여 잇는 勢力을 軍閥이라 하는데 이들이 政權을 잡아 政事하는 것을 軍閥政治라 함 군대 내에 특권층이 집합해 있는 세력을 군벌이라 하는데, 이들이 정권을 잡아 정사하는 것을출전新語辭典[靑年朝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행위, 군인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오미트(오밋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0768 오미트 아항 오밋트 Omit 省略, 無視, 除名等 생략, 무시, 제명 등 이作品도 槿花에서上演함에잇서 第三幕에『완다』가情死하는곳을 오밋트하고 달니뒤집어 補充하얏다(東亞日報, 1932.2.26. 5면)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유근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교행(金敎行)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67년(영조 43) 김교행의 동생 김우행(金友行)이 편집‧정사하였다. [서지적 사항] 9권 5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 동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조병황(趙秉璜)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필사본. 저자가 생전에 정사하여 편집한 것으로 보이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권1∼8에 시 770여수, 발(跋)ㆍ서(書)ㆍ서(序)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서·고문서(38)
- 전당집_錢塘集12 答正使賀九月旦 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80 중국 문집 전당집 010 기타 錢塘集12 答正使賀九月旦 伏以降霜及物 仰化育之成功 合朔在天 敬光華之順序 伏惟奉慰尙書 中和有守 業履素高 對令節以納休 養淸心而安正 方修詗候之禮 遽沐緘㬺之貽 感愧無窮 敷紓罔 旣謹奉狀賀兼謝 외교일반, 5대...국가중국 | 서명전당집 | 왕대기타
- 전당집_錢塘集12 答正使賀九月旦 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88 중국 문집 전당집 018 기타 錢塘集12 答正使賀九月旦 伏以金行脱節 方物理之告成 月吉佳辰 在人情而重始 伏惟朝賀 尙書秉彛正履 持節出疆 兹逄氣序之良 宜擁福休之集 方圖修詗 遽辱貺音 感激所深 指陳難盡 謹奉狀賀兼謝 외교일반, 5대ㆍ송,국가중국 | 서명전당집 | 왕대기타
- 전당집_錢塘集12 答正使賀五月旦 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596 중국 문집 전당집 026 기타 錢塘集12 答正使賀五月旦 伏以律當午位 氣肇一隂 屬改朔之令辰 有安時之妙理 伏惟奉慰尙 書秉心處正 順序納休 茂膺榖旦之和 倍擁繁禧之集 阻趨舍館 辱枉緘題 荷徳固深 撫躬増愧 謹奉狀賀兼謝 외교일반, 5대ㆍ송,국가중국 | 서명전당집 | 왕대기타
- 전당집_錢塘集12 答正使賀端午 伏以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607 중국 문집 전당집 037 기타 錢塘集12 答正使賀端午 伏以角黍薦甘 靈符祛癘 襲風流而惟遠 驚節候之遽遷 伏惟奉慰尙書 徳度汪洋 材資瑰瑋 遘良辰於行館 集休祉於直躬 方圖竿牘之脩 首沐緘㬺之貺 其爲悚荷 莫盡指陳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국가중국 | 서명전당집 | 왕대기타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535 B064535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9年 4月 25日_014 ○侍講院啓曰, 本院上番六員內, 輔德未差, 兼輔德金槃, 連山地病親, 呈辭下去, 弼善權淰, 島中致祭官, 出去, 兼弼善李行遠, 削罷遠竄事, 待命, 文學朴安悌, 親病上疏, 兼文學崔惠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4)
- 조선신문_1947_040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이에 있어서는 우선 서반아와 히랍을 예로 들어야 할 것이다. 서반아에서는 히틀러와 무쏠니니가 집정케 한 팟쇼독재 프랑코가 독단적으로 정사하고 있다. 히랍에서는 초보적 민주주의 자유까지도 인민들에게서 략탈하며 테로적 폭행으로서 반동적 군주파들이 정사하고 있다. 쏘련은 서...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405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신문_1947_0509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행정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홍아리는 군주국으로 인정되었으나 왕은 없었다. 국가의 수위를 『국가의 옹호자』 곳 □정자 호르재가 차지하고 있었는 바 그는 블죠아지주연합에 기초한 군사 정치독재에 의거하여 정사하였다. 제2차세개대전 즉전에 이르러서는 홍아리에 로골적으로 팟쇼적...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509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신문_1947_060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될 것이다. 나의 견지로는 가쓰뻬리가 모험의 노상에 올라섰으며 이런 경우에 그가 감행하여야 될 것 중 제일 훌륭한 것은 인민의 의지에 적응하게 정사하려는 자기 당의 어떤 활동가나 그러치 않은 당 외의 어떤 인물에게 자기의 권리를 양도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605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신문_1947_051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제 동맹국에서 포쓰담선언에 채택한 대일 제 조건을 위반하여 정사하고 있다. 다 아는 바와 같이 그 제 조건들은 일본에서 재벌의 세력을 청산하며 반봉건적 지주 토지소유제도를 청산하며 전체로 일본의 국가 밋 사회제도를 근본적으로 민주화할 것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민...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514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2)
-
정사하 / 鄭師夏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79년(정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정석중, 생부 정만중과 생모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만양과 정규양의 문하에서 수학, 후에 북계정사에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문집으로 현손 정두영이 편집간행, 유치명이 서문을 쓴 4권 1책의《
-
윤심덕 / 尹心悳 [예술·체육]
독창회를 가짐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로 데뷔하였다. 1926년 여동생 성진의 유학 배웅을 위하여 일본에 간 그녀는 닛토 레코드회사에서 24곡을 취입한 뒤, 김우진과 현해탄에서 정사하였다. <사의 찬미>는 널리 불려지고 있다.